자료실

조회 수 1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24일 포항시의회 추경 통과7월부터 중증장애인 3명 대상 24시간 활동지원 예정

포항시 장애인들 내년도 본예산에 제대로 반영될 때까지 투쟁할 것

 

 

 

 

                                                                                                                           등록일: 2020428

 

 

 

 

1588061193_13840.jpg

23, 포항시 장애계 및 시민단체들이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맞아 포항시청 앞에서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장애인 생존권 보장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참가자들은 포항시에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서비스 예산 지원 등을 요구했다. 사진제공 포항IL센터

 

 

포항시가 7월부터 경북 지역 최초로 중증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하루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시작한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24, 포항시의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중증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24시간 예산안이 통과됐다. 포항시는 기존 국비 등의 예산 지원을 고려해 중증장애인 한 사람당 1년에 58백만 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1년 동안 3명의 중증장애인에 대해 총 174백만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7월부터 6개월간 총 8,74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며, 지원대상자 신청을 통해 하루 24시간 활동지원이 꼭 필요한 3명의 중증장애인을 선정해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포항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아래 포항IL센터)를 비롯해 포항시 장애인단체들은 작년부터 포항시에 24시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지난 219일에는 포항시 장애인들이 포항시장실을 기습 점거해 하루 24시간 활동지원 보장을 촉구했다. 이에 포항시장은 중증장애인 5명에 대한 24시간 활동지원 예산이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성열 포항IL센터 사무국장은 작년 10월에 중증장애인 5명에 대한 24시간 활동지원 예산안이 포항시의회 안건에 올라갔지만, 심의조차 되지 않았다. 올해는 투쟁을 통해 다시 추경에 5명에 대한 예산안이 상정됐으며, 이중 2명이 삭감된 3명에 대한 예산안이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사무국장은 “47일부터 현재까지 포항시청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나가고 있다라며 포항시에서 독거 중증장애인 추가지원으로 최대 활동지원 시간을 받는 약 15명의 장애인과 중복발달장애로 지원이 필요한 분들 모두 24시간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내년 본예산에 제대로 반영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포항시는 지난 2017년 지진으로 인해 재난특별지역으로 선정되었고, 이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많이 발생한 경북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김 사무국장은 감염 예방과 재난 안전을 위해서라도 재난에 취약한 중증장애인에게 활동지원 24시간은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청 관계자에게 이번 예산안이 통과된 계기를 묻자 포항IL센터에서 지속적으로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을 요구했다면서 다른 시, 도 단위를 확인해보니 광역시 차원에서 지원할 뿐 경상북도나 전라남도 등에서는 지원하지 않아 곤란했다. 그러나 (장애계가) 포항시는 경상북도에서 큰 도시인만큼 선진적으로 추진해달라고 요구해 그 필요성을 인정하게 되어 진행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계자는 “24시간 활동지원을 받지 못해 생명이 위험한 장애인을 방치하면 안 되지 않나. 지자체가 예산이 부족해 부담되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가 (24시간 활동지원에 대한) 기준을 정해 지방정부가 따라갈 수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14620&thread=04r0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뉴스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겨냥해 후보 11명 내는 ‘탈시설장애인당’ 창당 file 이음센터 2020.12.22 137
24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34
23 뉴스기사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년 06월 22일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 이음센터 2020.06.24 134
22 뉴스기사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 이음센터 2020.09.07 132
21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2
20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유엔 특보에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진정 file 이음센터 2021.01.11 130
19 뉴스기사 뇌성마비 장애인 스포츠 뉴스 전하는 도맹그 file 이음센터 2020.08.18 129
18 뉴스기사 [영등포투데이]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기자명 김홍민 기자    승인 2023.09.01 18:18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이음센터 2023.09.15 128
17 뉴스기사 서울시·금천구, 5월 말경 행정처분… 시설 폐쇄 후 거주인 지원에 집중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6
16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15 뉴스기사 장애계, ‘시설에서 죽어야 하는 사회’ 철폐하는 한 해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11 124
14 뉴스기사 ‘비장애인 시청권’ 핑계 대며 뉴스 수어통역 방송 거부하는 KBS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2
13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대구시가 고르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26 121
12 뉴스기사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 결정한 포항시 file 이음센터 2021.02.09 119
11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9
10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7
9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14
8 뉴스기사 [서울뉴스][리포트]시설을 벗어나 자립해요 이음장애인자립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개최 이음센터 2023.08.31 111
7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8
6 뉴스기사 복지TV뉴스24 _ 제12회 이음여행, ‘그들이 말하는 자립생활’ / 2023.08.30 이음센터 2023.08.31 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