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뉴스기사
2020.06.29 15:11

그 매뉴얼은 죽음을 멈추지 못한다

조회 수 1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그 매뉴얼은 죽음을 멈추지 못한다

 

우리나라 첫 장애인 대상 감염병 대응 매뉴얼에 부쳐

 

 

                                                                                                                                                  등록일: 2020625

 

 

 

 

 

 

  1593056749_98714.jpg

코로나19 사망자를 애도하는 얼굴 없는 영정사진 11개가 국가인권위원회 계단에 놓여있다. 그 앞에는 국화꽃 한 송이씩 놓여있다. 사진 박승원

 

 

너무 초라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앞 다투어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그것도 모자라 기본소득이니 전국민 고용보험이니 하는 대논쟁이 시작되어 버린 시대, 천문학적인 예산을 연신 갱신하며 1, 2, 3차 역대급 추경을 이어가는 시대, 코로나19 이전의 세상으로는 다시는 돌아갈 수 없을 거라며 호들갑을 떠는 시대, 이 혼란과 역동의 시대에 이 땅의 장애인과 그 가족이 감염 발생 5개월이 지나서야 손에 쥐게 된 우리나라 첫 장애인 대상 감염병 대응 매뉴얼 말이다. (관련 기사 : 복지부, 장애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 첫 마련) 있는 자들은 확실함이 불확실해지는 것을 공포라고 여기겠지만, 없는 자들은 불확실함이 확실해지는 것이 더 두렵다. 이번 매뉴얼은 확실일까, 불확실일까. 확실한 것 하나는 있다. 이 매뉴얼은 죽음을 멈추지 못한다.

 

 

첫 번째 이유는 문제설정에 있다. 복지부는 감염병에 장애인이 취약한 이유를 바로 그 장애인의 특성에서 찾았다. 결국 감염에 불리한 원인이 자신의 장애에 있다는 말이다. 왜 수용시설의 장애인의 면역이 더 낮은지, 왜 장애인은 기저질환이 잘 확인되지 못하는지, 왜 그 많은 장애인이 자기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병원에 잘 가지 못하는지, 정부는 스스로가 말하는 그 장애인의 특성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지에 관해 관심이 없다. 그러다 보니 그 많은 코로나19 관련 통계에서 장애인 간의 상관관계를 찾으려는 노력도 없다. 줄줄이 세상을 떠난 장애인들 앞에서 뒤늦게라도 매뉴얼을 만들었다는 성찰과 사과는 바라지도 않는다. 정부가 '장애인의 특성'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에는 특히나 신중해야 한다.

 

 

두 번째 이유는 책임성에 있다. 정부는 감염병 정보 접근성 제고 이동서비스 지원 감염예방 및 필수 의료지원 돌봄 공백 방지 장애인시설 서비스 운영, 5가지 영역으로 세부 고려사항과 사례를 제시하여 매뉴얼을 구성했다고 한다. 실제 매뉴얼은 20쪽도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이제까지 나왔던 지침들을 수록해놓은 수준이다. 지금까지의 지침을 수록했다는 말은 이 매뉴얼이 나오기 전과 나온 후의 변화가 크게 없을 것이란 말이다. 더 큰 문제는 중앙정부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하는 매뉴얼이라는 점이다. 이행은 각 기관과 지자체에서 여력에 맞게 하면 된다. 책임주체와 예산 수반에 대한 내용은 당연히 매뉴얼에 없다. 예를 들어, 장애인 확진환자 입원을 위한 지정병동, 생활지원 인력 운영이 표기되어 있지만 그것을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얼마를 들여서 하면 되는지는 없다. 장애인과 그 가족, 활동지원사들에게까지 방역 물품을 제공하라고 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누가, 얼마를 들여서 하는 것인지는 또 없다. 돌봄에 공백이 없도록 하라고 하지만 활동지원을 그래서 누가 얼마나 어떻게 확대하여 제공할 것인지는 없다. 보기 좋은 '방향성' 이외에는 어떤 세부적인 책임 규정도 매뉴얼에 없다. 향후 세부지침을 별도로 하달할 것인지,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지역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언급이 없다.

 

 

세 번째 이유는 장기화 대책이 없는데 있다. 정부가 이번에 내어놓은 매뉴얼은 1~2월에 나왔어야 할 내용들이다. 3월 중순을 지나면서 이미 코로나19는 장기화 국면으로 들어섰고 검진-격리-입원 등 의료적 대응의 수준을 넘어 생활 전반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은 6월 말인데, 5개월 전의 매뉴얼을 갖고 나온 것이다. 100% 완벽한 매뉴얼은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시의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내용들은 있어야 하지 않았을까. 적어도 광주에서, 제주에서 장애인과 가족이 감염 이전에 이미 벼랑 끝으로 몰리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매뉴얼은 이 죽음을 막을 대책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보편적이고 신속한 재정 지원과 사회서비스 지원을 위한 예산이 수반되는 대책이 빠르게 수립되길 바라본다.

 

 

마지막으로 미래가 없다. 코로나19 이후 장애인 정책을 어떻게 전환시켜갈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없다. 특히, 사회복지시설과 정신병원 폐쇄병동의 문제가 그렇다. 한국이나 세계적으로나 코로나19 사망자 절반은 대략 시설과 병원에서 감염된 이들이다. 때문에 국제장애연맹(IDA)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벌어질 시설화의 심화를 우려했고, 유엔의 공식 인권정책 지휘기구인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코로나19 시기 장애인의 권리보장을 위한 조치로 장애인의 퇴소 및 퇴원 보장과 지역서비스 제공”, “시설폐쇄 및 탈시설화 전략 강화를 통한 더 나은 회복을 권고했다. 하지만 우리는 어떤가. 오늘 만난 시설 거주인은 재난지원금을 받고도 정부의 입소자 면회, 외출, 외박 금지 지침으로 시설 앞 슈퍼를 못 가고 있었다.

 

 

 

 

 

다행히 매뉴얼은 계속 보완될 것이라고 한다. 너무 늦지 않았으면 한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4809&thread=03r0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뉴스기사 ‘활동지원 24시간 지원’ 중단한 포항시, 협의 결렬되면서 농성 지속 ‘활동지원 24시간 지원’ 중단한 포항시, 협의 결렬되면서 농성 지속 활동지원 24시간, 독거중증장애인 13명 중 7명은 올해, 6명은 ‘2년 후에&r... 이음센터 2020.07.27 145
104 뉴스기사 위험한 지하철 단차에도 법원은 ‘차별 아니다’ 판결 위험한 지하철 단차에도 법원은 ‘차별 아니다’ 판결 법원 “서울교통공사 정당한 편의시설 못 만든 이유 있었다” 판단 장애계 “감... 이음센터 2020.07.31 158
103 뉴스기사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기재부, 명확한 근거 없는 압박으로 2차례 삭감 끝에 기본인상률 1%로 확정 회의... 이음센터 2020.08.03 169
102 뉴스기사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중 돌봄 공백 해소하기 위해 특별지원급여, 월 27만원 1회 지급 관할 읍면동 주민... 이음센터 2020.08.05 166
101 뉴스기사 정부의 잇따른 공약 파기에 다시 농성 돌입한 장애인들 정부의 잇따른 공약 파기에 다시 농성 돌입한 장애인들 내년 정부 예산안에 예산 확대 요구하자, 코로나19 이유로 어렵다는 정부 장애계 “재난의 시기에 더... 이음센터 2020.08.13 156
100 뉴스기사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향후 3년 결정하는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 의... 이음센터 2020.08.13 204
99 뉴스기사 내 잘못도 아닌데… 활동지원 자부담 두 배 납부 내 잘못도 아닌데… 활동지원 자부담 두 배 납부 건강보험공단, 재산 신고 안 했다고 건강보험료 과다 책정 지자체-사회보장정보원-복지부 지침 없어, 환급... 이음센터 2020.08.18 141
98 뉴스기사 뇌성마비 장애인 스포츠 뉴스 전하는 도맹그 file 이음센터 2020.08.18 129
97 뉴스기사 ‘권리 중심 장애인 공공일자리’에 복지부·고용부 ‘긍정적 반응’ file 이음센터 2020.08.19 224
96 뉴스기사 학교도, 평생교육도 외면…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해야 file 이음센터 2020.08.21 235
95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94 뉴스기사 장애인용 화장실 사용 위한 시민교육 필요성 file 이음센터 2020.08.26 963
93 뉴스기사 장애통합교육을 생각하게 하는 사례 file 이음센터 2020.08.31 223
92 뉴스기사 캐나다 장애인식개선 활동가 십대 ‘타이 영’ file 이음센터 2020.08.31 156
91 뉴스기사 오늘부터 MBC ‘뉴스데스크’ 수어통역 시작… 장애계 “환영” file 이음센터 2020.09.01 174
90 뉴스기사 백종원 더본코리아,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file 이음센터 2020.09.03 161
89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88 뉴스기사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로!지금, 여기서, 함께 살자!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로! 지금, 여기서, 함께 살자! 대구 지역에서 탈시설 장애인들의 생생한 증언을 담은 '2020년 제2회 대구지역 장애인 탈시설 증언 기록... 이음센터 2020.09.04 151
87 뉴스기사 성폭력, ‘부동의’에 동의하는지 질문하다 file 이음센터 2020.09.04 292
86 뉴스기사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 이음센터 2020.09.07 1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