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뉴스기사
2020.08.31 11:04

장애통합교육을 생각하게 하는 사례

조회 수 2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통합교육을 생각하게 하는 사례

 

 

 

 

                                                                                                                                                                          등록일: 2020827

 

 

 

 

 

  c_0_000620200824145326324196.jpg

장애통합어린이집 실습 중. 최재석

 

 

내 강의를 들은 학생(S대 유아교육과 3년 최재석)이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 6주간 보육실습을 다녀왔다. 특수유아교육이나 재활치료 전공 학생 외에 유아교육학과에서 장애전담어린이집이나 장애통합어린이집으로 실습을 나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런데 최 군은 장애전담어린이집에 보육실습을 나갔다. 왜 장애전담어린이집을 택했는지 이유를 들어봤다.

 

 

저는 어린 시절에 지역아동센터에 다녔습니다. 제가 다녔던 지역아동센터는 90%가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3까지 방과 후에는 거의 매일 이들과 지냈습니다. 어린 시절 경험으로 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 관심이 많습니다. 그 관심을 현장에 나가서 직접 부딪쳐 보고 진로를 생각해 보 싶어 장애전문어린이집을 택했습니다.”

 

 

 

 

  c_1_000620200824145326324196.jpg

아이들과 상호작용 중. 최재석

 

 

실습에서 만난 아이들은 5~9세로 뇌병변 장애, 자폐 스펙트럼, 발달장애를 가진 아이었는데, 발달장애아가 많았다. 영역별 발달 지연 정도는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했다.

 

 

교사들은 매일 반복적으로 인사하는 법, 신발 벗는 법, 정리하는 법, 용변을 보는 법 등을 자세하게 차근 차근 하나씩 알려준다. 비장애 아이들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그런데도 교사들은 정성껏 아이들을 기다려주며, 사랑으로 아이들과 함께 한다.

 

 

하루는 다른 유아들은 집에 돌아가고 한 아이가 남았습니다. 대체로 당직 선생님 한 분이 아이와 지냅니다. 그런데 제가 실습 갔던 장애전담어린이집에서는 달랐습니다. 교사 세 분이 아이 한 명을 위해 정말 즐겁게 놀았습니다.”

 

 

바닷가 놀이로 바닥에 방수포를 깔고, 각종 물고기 장난감을 풀어 놓고, 책상으로 미끄럼틀을 만들어 유아를 튜브를 태워 놀이해주는 것이었습니다. 그 장면이 저에겐 충격적이었고, 가장 큰 배움이었습니다. 그 장면을 보고 저 또한 함께 즐겁게 놀았습니다.”

 

 

 

  c_2_000620200824145326324196.jpg

아이들과 함께 하고 싶은 꿈을 꾸고 있다. 최재석

 

 

 

실습을 마치면서는 선생님 한 분 한 분께 감사의 인사와 다짐을 했다.

 

 

정말 귀한 일을 꿋꿋하게 견디시며 걸어가시는 선생님들께 깊은 존경을 보냅니다. 아이들이 있는 곳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최 군은 대학 졸업 후 특수교육 대학원도 고려 중이다. 최 군의 사례를 통해 어린 시절의 환경이 한 사람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잘 알 수 있다. 만일 최 군이 장애가 있는 아이들과 같이 보낸 경험이 없었다면, 이들을 이해하고 관심을 두기 쉽지 않았을 터이다.

아이들에게 편견이 없는 시기부터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경험을 하도록 해야 한다. 그 경험은 폭넓은 지견을 가질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ˑ발달하게 한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최순자 (kje06@naver.com)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824145326324196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8
124 뉴스기사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년 06월 22일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 이음센터 2020.06.24 133
123 뉴스기사 장애를 당당히 드러내고 즐기는 사회가 되길.... file 이음센터 2020.06.24 200
122 뉴스기사 남아공 청각장애인 전문 댄서 벨름씨 눈길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0
121 뉴스기사 청각장애인과 소통 거부한 이비인후과 의사, 인권위에 진정 당해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9
120 뉴스기사 그 매뉴얼은 죽음을 멈추지 못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29 161
119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1
118 뉴스기사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수급비 52만 원으로는 최저 생존만 가능… 현실성 없는 생계급여 인상돼야 아들에... 이음센터 2020.07.06 206
117 뉴스기사 월 192시간→30시간 삭감… ‘활동지원 24시간’, 화성시에서 사라지나 file 이음센터 2020.07.09 177
116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69
115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들이 체감하는 변화는? file 이음센터 2020.07.10 211
114 뉴스기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하루16시간 제공 file 이음센터 2020.07.13 144
113 뉴스기사 활동지원 개선? 속 터지는 근육장애인 file 이음센터 2020.07.13 211
112 뉴스기사 “22년까지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폐지” 정부 발표에 시민사회 반응은? file 이음센터 2020.07.15 222
111 뉴스기사 장애인 학대 피해자 72%가 발달장애인… 스스로 신고 어려워 file 이음센터 2020.07.15 143
110 뉴스기사 장애계, “장애등급제·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예산에 가로막혔다” file 이음센터 2020.07.16 155
109 뉴스기사 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file 이음센터 2020.07.20 185
108 뉴스기사 화성시장실 농성장에서 어느 활동가의 편지 file 이음센터 2020.07.20 163
107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106 뉴스기사 “제2차 종합계획에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담아야” 농성 돌입 “제2차 종합계획에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담아야” 농성 돌입 ‘생계급여 폐지한다’ 해놓고 재산, 소득 기준 남아… 사실상 완... 이음센터 2020.07.27 1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