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캐나다 장애인식개선 활동가 십대 타이 영

다양한 예술·미디어 활동 통해 장애인식 개선점 강조

 

 

 

 

                                                                                                                                                            등록일: 2020827

 

 

 

 

  c_0_000620200821131155196512.jpg

캐나다 십대 장애인식개선캠페이너 타이 영군. 씨비씨닷씨에이

 

 

 

 

오늘 소개하는 세계 속의 장애 인물은 캐나다의 십대 청소년입니다. 학교생활로,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활동으로 바쁘게 살고 있는 요즘의 10대입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타이 영군은 캐나다의 토론토에 살고 있는 16살의 고등학생입니다. 장애인 옹호단체의 홍보대사로서 장애인식개선 캠페인을 하고 있습니다.

 

 

타이 영은 아직 학생이지만, 신문에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기사를 기고하고, 연극과 뮤지컬을 좋아하는 등 매우 폭넓은 사회 활동으로 캐나다의 장애계에서 기대하고 있는 활동가입니다.

 

 

그는 친애하는 여러분이란 캠페인을 통해서 미디어에서 장애·장애인에 대하여 표현하는 허위표현, 오명, 부족한 전달 등을 찾아서 개선하고 바로잡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아동과 청소년에 붙은 사회적 낙인을 종식시키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타이 영은 척수 장애를 갖고 태어났으며, 휠체어는 삶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그는 한번 빨리 달려 봐”, “속도가 어때?” 하고 물어오는 사람들의 질문을 어려서부터 많이 받았습니다.

 

 

사람들이 언제나 휠체어와 자신을 동일시하면서 접근하고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는 휠체어가 그의 삶의 일부분이긴 하지만 자신을 확정짓는 정체성은 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타이 영은 어려서부터 자신을 두고 망가졌다, 혹은 고쳐야 한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들어왔는데, 이제 이 말을 거부한다고 주장합니다. 장애인은 망가지거나 고쳐야할 대상이 아닌 존재라는 것을 알리는 것이 그의 메시지의 주제이기도 합니다.

 

 

한 청소년 대상 신문인터뷰에서 타이 영은 자신의 장애와 사회의 장애인식에 관한 의견을 말했습니다. 이 인터뷰에서 그는 휠체어가 자신의 정체성이 아닌, 보조기구임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각종 예술활동과 배우 활동에도 재능을 개발하고 있는 타이 영은 청소년 장애인의 정체성에 부정적 낙인이 찍혀 있으며, 이것은 반드시 제거되거나 개선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필자는 감수성이 폭발하는 10대의 청소년이 이야기하는 장애인식의 개선점에 대하여 깊이 공감합니다. 장애인을 잘못되었거나 망가졌거나 고쳐야 할 대상으로 접근하는 구시대의 장애인식이 여전히 사회 속에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사회발전에도 좋지 않고 전체 공동체에도 좋지 않음이 분명합니다.

 

 

휠체어가 아니라 나를 보아 달라는 캐나다의 십대 청소년 장애인 당사자의 캠페인은 울림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김해영 칼럼니스트 김해영블로그 (haiyungkim@gmail.com)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82113115519651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뉴스기사 정부의 잇따른 공약 파기에 다시 농성 돌입한 장애인들 정부의 잇따른 공약 파기에 다시 농성 돌입한 장애인들 내년 정부 예산안에 예산 확대 요구하자, 코로나19 이유로 어렵다는 정부 장애계 “재난의 시기에 더... 이음센터 2020.08.13 156
104 뉴스기사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중 돌봄 공백 해소하기 위해 특별지원급여, 월 27만원 1회 지급 관할 읍면동 주민... 이음센터 2020.08.05 168
103 뉴스기사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기재부, 명확한 근거 없는 압박으로 2차례 삭감 끝에 기본인상률 1%로 확정 회의... 이음센터 2020.08.03 169
102 뉴스기사 위험한 지하철 단차에도 법원은 ‘차별 아니다’ 판결 위험한 지하철 단차에도 법원은 ‘차별 아니다’ 판결 법원 “서울교통공사 정당한 편의시설 못 만든 이유 있었다” 판단 장애계 “감... 이음센터 2020.07.31 158
101 뉴스기사 ‘활동지원 24시간 지원’ 중단한 포항시, 협의 결렬되면서 농성 지속 ‘활동지원 24시간 지원’ 중단한 포항시, 협의 결렬되면서 농성 지속 활동지원 24시간, 독거중증장애인 13명 중 7명은 올해, 6명은 ‘2년 후에&r... 이음센터 2020.07.27 145
100 뉴스기사 “제2차 종합계획에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담아야” 농성 돌입 “제2차 종합계획에 부양의무자 기준 완전 폐지 담아야” 농성 돌입 ‘생계급여 폐지한다’ 해놓고 재산, 소득 기준 남아… 사실상 완... 이음센터 2020.07.27 177
99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98 뉴스기사 화성시장실 농성장에서 어느 활동가의 편지 file 이음센터 2020.07.20 167
97 뉴스기사 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file 이음센터 2020.07.20 186
96 뉴스기사 장애계, “장애등급제·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예산에 가로막혔다” file 이음센터 2020.07.16 155
95 뉴스기사 장애인 학대 피해자 72%가 발달장애인… 스스로 신고 어려워 file 이음센터 2020.07.15 143
94 뉴스기사 “22년까지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폐지” 정부 발표에 시민사회 반응은? file 이음센터 2020.07.15 222
93 뉴스기사 활동지원 개선? 속 터지는 근육장애인 file 이음센터 2020.07.13 213
92 뉴스기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하루16시간 제공 file 이음센터 2020.07.13 145
91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들이 체감하는 변화는? file 이음센터 2020.07.10 211
90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70
89 뉴스기사 월 192시간→30시간 삭감… ‘활동지원 24시간’, 화성시에서 사라지나 file 이음센터 2020.07.09 177
88 뉴스기사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수급비 52만 원으로는 최저 생존만 가능… 현실성 없는 생계급여 인상돼야 아들에... 이음센터 2020.07.06 206
87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2
86 뉴스기사 그 매뉴얼은 죽음을 멈추지 못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29 1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