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가족 돌봄 부담 경감 예산 확대해야”

 

등록일: 2020년 9월 4일

 

1599207406_62128.jpg       2017년 이후 연도별 장애인활동지원 예산 현황. 장혜영 의원실 보도자료 캡처

 

내년도 장애인활동지원(아래 활동지원) 예산이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1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아래 복지부) 활동지원 예산은 1조 4991억 원으로 올해 대비 14.8% 증액되었다. 서비스 대상자는 8000명이 늘어난 9만 9000명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는 문재인정부 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이고, 최근 1년간 활동지원 서비스 대상자의 자연증가분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장혜영 정의당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이 4일 밝혔다.

 

‘2017년 이후 연도별 장애인활동지원 예산 현황’에 따르면 활동지원 예산은 그동안 2018년 전년 대비 26.5%, 2019년은 45.3%, 2020년은 30.1%가 증가했지만 2021년은 14.8% 증가에 그치고 있다. 문재인정부 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더욱이 이는 최근 1년간 활동지원서비스 대상자의 자연증가분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장혜영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아래 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월별 장애인활동지원 신규 신청 및 수급자 현황(2019.7~2020.6)’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간 2만 399명이 신규 서비스를 신청했고, 1만 5476명이 수급권을 받았다. 월평균 1290명이 신규로 수급권을 받은 셈이다. 그러나 정부 예산안에는 8000명 확대 수준의 예산을 편성해, 자연증가분조차 반영하지 못했다.

 

또한 연금공단의 2020년 6월 기준 ‘전체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이미 올해 예산 기준(9만 1000명)을 상회하는 약 11만 명의 장애인이 서비스 수급권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장 의원은 “결국 9만 9000명 기준의 2021년 예산 편성은 ‘취약계층 보호 강화’를 내세운 정부 기조를 무색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1599201701_67885.jpg     2019. 7월 ~ 2020. 6월 월별 장애인활동지원 신규 신청 및 수급자 현황. 장혜영 의원실 자료 캡처

 

장애인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대상·시간 확대 등의 변화도 미미했다. 활동지원 수가는 올해보다 520원 늘어 1만 4020원으로 인상됐고, 최중증장애인 가산급여는 대상자가 1000명 늘어나고 단가도 1500원 오른다. 하지만 활동지원 월평균 시간은 127시간으로 동결되었다. 장 의원은 “활동지원 수가가 운영비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장애인이 체감할 수 있는 예산 증가율은 14.8%가 아닌 약 8.8%(내년 예산안을 올해 단가 1만 3500원으로 계산)라고 볼 수 있다”라며 “이는 복지부 내년도 전체 예산 증가율 9.2%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발달장애인 방과 후 활동서비스 예산 100억 원 삭감 이유를 ‘기관 돌봄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이는 돌봄  수요가 사라진 게 아니라 개인과 가족에게 돌봄 책임이 떠넘겨진 것이다”라며 “정부는 확장적 재정 기조로 예산을 편성했다고 했지만 장애인 복지예산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다. 코로나19 재난에 더욱 취약한 최중증장애인에게 활동지원 24시간 지원을 비롯해 가족 돌봄 부담을 경감할 예산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051&thread=04r0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뉴스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겨냥해 후보 11명 내는 ‘탈시설장애인당’ 창당 file 이음센터 2020.12.22 137
24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34
23 뉴스기사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년 06월 22일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 이음센터 2020.06.24 134
» 뉴스기사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 이음센터 2020.09.07 132
21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2
20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유엔 특보에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진정 file 이음센터 2021.01.11 130
19 뉴스기사 뇌성마비 장애인 스포츠 뉴스 전하는 도맹그 file 이음센터 2020.08.18 129
18 뉴스기사 [영등포투데이]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기자명 김홍민 기자    승인 2023.09.01 18:18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이음센터 2023.09.15 128
17 뉴스기사 서울시·금천구, 5월 말경 행정처분… 시설 폐쇄 후 거주인 지원에 집중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7
16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15 뉴스기사 장애계, ‘시설에서 죽어야 하는 사회’ 철폐하는 한 해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11 124
14 뉴스기사 ‘비장애인 시청권’ 핑계 대며 뉴스 수어통역 방송 거부하는 KBS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2
13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대구시가 고르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26 121
12 뉴스기사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 결정한 포항시 file 이음센터 2021.02.09 119
11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9
10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7
9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14
8 뉴스기사 [서울뉴스][리포트]시설을 벗어나 자립해요 이음장애인자립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개최 이음센터 2023.08.31 111
7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8
6 뉴스기사 복지TV뉴스24 _ 제12회 이음여행, ‘그들이 말하는 자립생활’ / 2023.08.30 이음센터 2023.08.31 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