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8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계의 전태일, ‘김순석 열사동상·기념관 건립하라

서울시장 앞으로 유서 남기고 떠난 김순석 열사, 36주기 추모제 열려

장애인 이동권·노동권 기리는 김순석 열사 동상·추모관 건립해야

 

 

 

 

 

 

등록일: 2020918

 

 

 

1600419011_18709.jpg김순석 열사 36주기(오는 9월 19일)를 앞두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4개 장애인인권단체는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뜻을 기렸다. 사진 허현덕
 

김순석 열사 36주기(오는 9월 19일)를 앞두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등 4개 장애인단체는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뜻을 기렸다. 또한 김순석 열사의 동상·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이날 추모제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규모로 치러졌다. 박준 문화활동가는 추모곡으로 이동권투쟁가를 불렀고, 참가자들은 김순석 열사 영전에 국화를 놓았다.  

 

- 서울시장에게 보낸 다섯 장의 편지, 여전히 수취인불명

 

지체장애인이었던 김순석 열사는 지난 1984년 9월 19일 음독자살했다. 그의 나이 겨우 서른셋, 빼곡히 쓴 다섯 장의 유서를 품은 채였다. 유서는 당시 서울시장이던 염보현 시장에게 보내는 편지였다.

 

“시장님, 왜 저희는 골목골목마다 박힌 식당 문턱에서 허기를 참고 돌아서야 합니까. 왜 저희는 목을 축여줄 한 모금의 물을 마시려고 그놈의 문턱과 싸워야 합니까. 또 우리는 왜 횡단보도를 건널 때마다 지나는 행인의 허리춤을 붙잡고 도움을 호소해야만 합니까.” (김순석 열사의 유서 중)

 

김순석 열사는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소아마비를 겪은 후유증으로 한쪽 다리를 절었다. 19살 서울로 상경해 금은세공 공장에서 9년간 성실하게 일했다. 공장장 자리에도 올랐다. 그러던 1980년 교통사고로 두 다리에 쇠심을 심으면서 휠체어를 이용하게 됐다. 3년간 재활의 시간을 보내고 김순석은 다시 일했으나 현실은 냉혹했다.

 

휠체어를 탄 김순석 열사는 인도로 이동하는 것도, 밥을 먹고 용변을 볼 때도,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시장 상인들은 그가 만든 금은세공품을 헐값에만 거래하려고 했다. 그가 장애인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김순석 열사는 자신의 죽음으로 다른 장애인들이 이동할 권리, 나아가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 그래서 서울시장에게 편지를 쓰고 죽음을 택했다. 36년이 지났지만 김순석이 겪었던 어려움을 장애인들은 그대로 겪고 있다.

 

1600419113_70479.jpg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김순석 열사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동상·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사진 허현덕
 

- “김순석 열사 동상·추모관 건립해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 강조해야”

 

김순석 열사의 절규는 정부 실태조사에서도 잘 드러난다. 2005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이 제정됐지만 현재까지 전국 저상버스 도입은 24%에 불과하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버스조차 탈 수 없다. 여전히 엘리베이터가 없는 지하철, 문턱이 높은 음식점, 관공서 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셀 수 없이 많다.

 

문애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는 “36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지만 ‘서울거리에 턱을 없애주십시오’라는 말이 여전히 너무나 크게 와닿는다”며 “일부 저상버스가 도입되고 특별교통수단이 생겼지만 없었던 게 겨우 조금 만들어지는 것에 불과하다. 여전히 커피숍, 편의점, 식당 등에 있는 작은 문턱으로 장애인은 들어 갈 수 없어 그 앞에 섰다 발길을 돌리기 일쑤다”라고 지적했다.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 차별없는 사회로 가는 운동을 위해 김순석 열사 동상과 추모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태일 열사는 그가 일했던 청계천에 기념비가 세워져 지금까지 노동자 권리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거리의 턱을 없애달라고 외쳤던 김순석의 목소리는 이 사회가 기억하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거리의 턱은 중증장애인들에게 큰 장벽으로, 차별로 남아 있습니다. 턱 하나 때문에 장애인들은 함께 살아가기를 거부당하고 있습니다.(…) 이 턱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관계를 철저히 단절하는 턱입니다. 이 턱을 없애기 위해 김순석 열사를 기록하고, 그것을 넘어 대한민국에서 차별을 없애는 운동으로 이어가야 합니다.”

 

박 대표는 김순석 열사의 마지막 편지가 서울시장에게 도착한 만큼 서울시청 광장에 동상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념관은 장애인연수시설이 들어설 어울림플라자로 제시했다.

 

이원교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은 “김순석 열사의 유서에는 이 땅에서 처절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장애대중의 절규와 사무치는 분노가 담겨 있다”며 “서울시청 광장에 동상을 세움으로써 ‘거리의 턱’이 이동권·접근권만이 아닌 장애인의 생존에 대한 투쟁임을 알리고, 그 외침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의미를 강조했다.

 

1600419238_79248.jpg박준 문화활동가가 추모곡으로 이동권투쟁가를 불렀다. 사진 허현덕
1600419268_77727.jpg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서울시장애인복지정책과 담당자에게 김순석 열사 동상·기념관 제안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허현덕

 

 

 

출처: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101&thread=04r0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44 뉴스기사 제주서 발달장애 아들과 어머니 숨진채 발견 제주서 발달장애 아들과 어머니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기사전송 2020-03-18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발달장애를 앓고 있는 고등학생과 그를 돌보던 어머... 이음센터 2020.03.18 227
43 뉴스기사 젠더 관점 부족한 장애인운동, 동의하는 단 한 사람 file 이음센터 2020.11.20 141
42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권리중심형 일자리, 시대와 불화하는 불구의 노동 중증장애인 권리중심형 일자리, 시대와 불화하는 불구의 노동 디지털 뉴딜 시대, 새로운 노동 개념을 위하여 [기획연재] 장애인, 노동을 묻다 ① [편집자 주] 비장... 이음센터 2020.09.14 276
41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 이음센터 2020.03.20 192
40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이음센터 2020.04.01 199
39 뉴스기사 지체/시각장애인용 실내 네비게이션 개발 장애인 '실내' 내비게이션? 장애인 국회의원들이 직접 나섰다  박지원 기자  승인 2021.04.29 18:05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이종... 이음센터 2021.05.10 223
38 뉴스기사 질병 후,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달라졌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53
37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7
36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7
35 뉴스기사 청각장애인과 소통 거부한 이비인후과 의사, 인권위에 진정 당해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9
34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33 뉴스기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하루16시간 제공 file 이음센터 2020.07.13 144
32 뉴스기사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내 장애는 그대론데 왜 활동지원 시간은 깎이는 거죠?” 중... 이음센터 2020.03.09 252
31 뉴스기사 캐나다 장애인식개선 활동가 십대 ‘타이 영’ file 이음센터 2020.08.31 156
30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29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8
28 뉴스기사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기재부, 명확한 근거 없는 압박으로 2차례 삭감 끝에 기본인상률 1%로 확정 회의... 이음센터 2020.08.03 169
27 뉴스기사 코로나19 10개월, 나는 코로나가 아닌 마스크와 싸움 중 file 이음센터 2020.12.08 149
26 뉴스기사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대구시 코로나19 격리시설 2곳 마련, 하지만 장애인은 이용 못 해 방법은 활동지원사와 자택 자가격리뿐… 활동... 이음센터 2020.03.02 3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