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8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계의 전태일, ‘김순석 열사동상·기념관 건립하라

서울시장 앞으로 유서 남기고 떠난 김순석 열사, 36주기 추모제 열려

장애인 이동권·노동권 기리는 김순석 열사 동상·추모관 건립해야

 

 

 

 

 

 

등록일: 2020918

 

 

 

1600419011_18709.jpg김순석 열사 36주기(오는 9월 19일)를 앞두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4개 장애인인권단체는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뜻을 기렸다. 사진 허현덕
 

김순석 열사 36주기(오는 9월 19일)를 앞두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등 4개 장애인단체는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뜻을 기렸다. 또한 김순석 열사의 동상·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이날 추모제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소규모로 치러졌다. 박준 문화활동가는 추모곡으로 이동권투쟁가를 불렀고, 참가자들은 김순석 열사 영전에 국화를 놓았다.  

 

- 서울시장에게 보낸 다섯 장의 편지, 여전히 수취인불명

 

지체장애인이었던 김순석 열사는 지난 1984년 9월 19일 음독자살했다. 그의 나이 겨우 서른셋, 빼곡히 쓴 다섯 장의 유서를 품은 채였다. 유서는 당시 서울시장이던 염보현 시장에게 보내는 편지였다.

 

“시장님, 왜 저희는 골목골목마다 박힌 식당 문턱에서 허기를 참고 돌아서야 합니까. 왜 저희는 목을 축여줄 한 모금의 물을 마시려고 그놈의 문턱과 싸워야 합니까. 또 우리는 왜 횡단보도를 건널 때마다 지나는 행인의 허리춤을 붙잡고 도움을 호소해야만 합니까.” (김순석 열사의 유서 중)

 

김순석 열사는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소아마비를 겪은 후유증으로 한쪽 다리를 절었다. 19살 서울로 상경해 금은세공 공장에서 9년간 성실하게 일했다. 공장장 자리에도 올랐다. 그러던 1980년 교통사고로 두 다리에 쇠심을 심으면서 휠체어를 이용하게 됐다. 3년간 재활의 시간을 보내고 김순석은 다시 일했으나 현실은 냉혹했다.

 

휠체어를 탄 김순석 열사는 인도로 이동하는 것도, 밥을 먹고 용변을 볼 때도,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 시장 상인들은 그가 만든 금은세공품을 헐값에만 거래하려고 했다. 그가 장애인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김순석 열사는 자신의 죽음으로 다른 장애인들이 이동할 권리, 나아가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 그래서 서울시장에게 편지를 쓰고 죽음을 택했다. 36년이 지났지만 김순석이 겪었던 어려움을 장애인들은 그대로 겪고 있다.

 

1600419113_70479.jpg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18일 오후 12시 서울시청 앞에서 김순석 열사 추모제를 열고, 김순석 열사의 동상·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서울시에 전달했다. 사진 허현덕
 

- “김순석 열사 동상·추모관 건립해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 강조해야”

 

김순석 열사의 절규는 정부 실태조사에서도 잘 드러난다. 2005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이 제정됐지만 현재까지 전국 저상버스 도입은 24%에 불과하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버스조차 탈 수 없다. 여전히 엘리베이터가 없는 지하철, 문턱이 높은 음식점, 관공서 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셀 수 없이 많다.

 

문애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는 “36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지만 ‘서울거리에 턱을 없애주십시오’라는 말이 여전히 너무나 크게 와닿는다”며 “일부 저상버스가 도입되고 특별교통수단이 생겼지만 없었던 게 겨우 조금 만들어지는 것에 불과하다. 여전히 커피숍, 편의점, 식당 등에 있는 작은 문턱으로 장애인은 들어 갈 수 없어 그 앞에 섰다 발길을 돌리기 일쑤다”라고 지적했다.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 차별없는 사회로 가는 운동을 위해 김순석 열사 동상과 추모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태일 열사는 그가 일했던 청계천에 기념비가 세워져 지금까지 노동자 권리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거리의 턱을 없애달라고 외쳤던 김순석의 목소리는 이 사회가 기억하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거리의 턱은 중증장애인들에게 큰 장벽으로, 차별로 남아 있습니다. 턱 하나 때문에 장애인들은 함께 살아가기를 거부당하고 있습니다.(…) 이 턱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관계를 철저히 단절하는 턱입니다. 이 턱을 없애기 위해 김순석 열사를 기록하고, 그것을 넘어 대한민국에서 차별을 없애는 운동으로 이어가야 합니다.”

 

박 대표는 김순석 열사의 마지막 편지가 서울시장에게 도착한 만큼 서울시청 광장에 동상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념관은 장애인연수시설이 들어설 어울림플라자로 제시했다.

 

이원교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은 “김순석 열사의 유서에는 이 땅에서 처절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장애대중의 절규와 사무치는 분노가 담겨 있다”며 “서울시청 광장에 동상을 세움으로써 ‘거리의 턱’이 이동권·접근권만이 아닌 장애인의 생존에 대한 투쟁임을 알리고, 그 외침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의미를 강조했다.

 

1600419238_79248.jpg박준 문화활동가가 추모곡으로 이동권투쟁가를 불렀다. 사진 허현덕
1600419268_77727.jpg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가 서울시장애인복지정책과 담당자에게 김순석 열사 동상·기념관 제안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허현덕

 

 

 

출처: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101&thread=04r0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 뉴스기사 장애인노동자 집단따돌림, 문제제기에 돌아온 건 정직 6개월 징계 file 이음센터 2020.09.16 153
144 뉴스기사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성명]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5월 15일) 등록일 : 2020년 05월 15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4월 24일 장애인고용촉진 ... 이음센터 2020.06.03 165
143 뉴스기사 장애인거주시설 별도의 코호트 격리 방안 마련 필요 장애인거주시설 별도의 코호트 격리 방안 마련 필요 보건복지부의 ‘장애인거주시설 코로나-19 관련 대응방안’에 대한 입장 “배제와 격리의 수... 이음센터 2020.02.26 233
142 뉴스기사 장애인 활동가 200명, 세종시 6차선 도로 점거 “장관 나와라” 장애인 활동가 200명, 세종시 6차선 도로 점거 “장관 나와라” 허민지 안희제 기자 등록일: 2021년 4월 20일 4개 정부부처 장관 면담 촉구하며 왕복 6... 이음센터 2021.04.21 244
141 뉴스기사 장애인 학대 피해자 72%가 발달장애인… 스스로 신고 어려워 file 이음센터 2020.07.15 143
140 뉴스기사 장애인 의무고용 꼴찌 교육부 전체 고용부담금의 80% 냈다 장애인 의무고용 꼴찌 교육부… 전체 고용부담금의 80% 냈다 기자명 하민지 기자 입력 2021.06.21 19:52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 이음센터 2021.06.22 221
139 뉴스기사 장애인 비례대표 후보자 6명, 어떤 정책 갖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04.10 140
138 뉴스기사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망 신길역 승강기 완공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망 신길역 승강기 완공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 장... 이음센터 2020.02.28 240
137 뉴스기사 장애인 동료지원가 설요한의 죽음, 그 후 장애인 동료지원가 설요한의 죽음, 그 후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문제는 실적이 아니다 ① 장애계는 “제도의 근본적 변화” 요구하지만, 고용노동부... 이음센터 2020.02.10 233
136 뉴스기사 장애를 당당히 드러내고 즐기는 사회가 되길.... file 이음센터 2020.06.24 200
135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1
134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들이 체감하는 변화는? file 이음센터 2020.07.10 211
133 뉴스기사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거주인 탈시설 길 열리자 시설장이 탈시설-자립생활 방해 탈시설-자립생활 보장, 담당 사회복지사 업무 ... 이음센터 2020.03.20 205
132 뉴스기사 장애계, 신아재활원 긴급 탈시설 이행 촉구 천막농성 file 이음센터 2021.01.26 162
131 뉴스기사 장애계, 세종시에 “장애인 이동권·누리콜 노동자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2
130 뉴스기사 장애계, “장애등급제·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예산에 가로막혔다” file 이음센터 2020.07.16 155
129 뉴스기사 장애계, ‘시설에서 죽어야 하는 사회’ 철폐하는 한 해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11 122
128 뉴스기사 장애계 “지하철에 리프트 대신 엘리베이터 설치하라” 항소심도 패소 장애계 “지하철에 리프트 대신 엘리베이터 설치하라” 항소심도 패소 1심에 이어 2심도 ‘리프트, 정당한 편의는 아니지만 권리 구제는 안 한다... 이음센터 2020.06.11 160
127 뉴스기사 장애계 “장애인 비하 발언한 총선 후보, 낙선운동 벌일 것” file 이음센터 2020.04.11 178
126 뉴스기사 장애계 “오세훈, 정책 수용 때까지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투쟁” 선포 file 이음센터 2021.04.13 1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