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0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탈시설 장애인 4.1%만 자립정착금 지원

지자체별 최대 1300만원 차이주거지원도 22%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계 탈시설 지원체계 수립

 

 

등록일: 2020923

 

 

  1.jpg

 '탈시설 보장하라'라는 내용이 담긴 피켓을 들고 있는 활동가. 에이블뉴스         

 

 

장애인시설을 퇴소하는 장애인의 4.1%만 장애인자립지원정착금을 지원받았으며, 자립지원정착금이 지역에 따라 최대 1300만원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장애인 7869명이 시설을 퇴소했으나 자립정착금을 지원받은 경우는 323, 주거 지원을 받은 경우는 1733명에 불과했다.

 

 

지난해 각 지자체로부터 장애인자립정착금을 지원받은 인원은 146명이었으며 시설 퇴소 장애인(2697) 대비 5.4% 수준이었다.

 

 

서울이 56, 부산 18, 대구 13, 경기 16명 순으로 시설퇴소 장애인들이 정착금을 지원받았다.

 

 

 

  2.jpg

     최근 3년간 장애인자립지원정착금 지원현황.김성주의원실 

 

 

 

올해 시도별 장애인자립정착금 지급액은 서울이 13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구·경기·전북·전남·전북·경북·경남·제주이 1000만원, 인천·광주 800만원, 부산 700만원, 강원 650만원, 충북 500만원 순으로 1인당 지급액을 편성했다.

 

 

반면 대전·울산·세종·충남은 시설퇴소 장애인에 대한 지원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한편, 최근 3년간 주거 지원을 받은 인원은 1733명으로 시설퇴소 장애인의 22% 수준이었다.

 

 

자립주택 549, 자립 전 중간단계인 체험홈·시설체험홈 797, 공동생활가정 422명 순으로 주거를 제공받았다.

 

 

시설퇴소자 대비 주거지원 비율은 제주가 75.9%로 가장 높았고, 대전·울산·세종·강원·충남·전남·경북은 퇴소자에 대한 주거 지원이 10%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원이 종료된 1184명의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 유형을 보면 원가정 복귀·공공기관제공 주거·지역사회 자립률은 66.8%(7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시설재입소율이 13.3%(153), 기타 13.8%(158), 병원 6.1%(70)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원가정 복귀·공공기관제공 주거·지역사회 자립률은 전북이 53.3%로 가장 낮았고 충남이 87.5%로 가장 높아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김성주 의원은 탈시설 장애인 지원정책이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실제 혜택을 보는 장애인의 수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 수요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연계한 중앙정부-광역시도의 탈시설 지원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20092309465076779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응책이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로 리모델링? file 이음센터 2020.03.26 184
24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23 뉴스기사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생필품 후원 관리부터 배달까지... 기존 업무 마비 주말 방문순회 이면에는 부족한 활동지원시간 문제... 이음센터 2020.03.12 200
22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196
21 뉴스기사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등록일: 2020년 03월 24일 슈트트가르트: 코로나 위기 기간 동안 일부 슈퍼마켓이 어르신... 이음센터 2020.03.30 234
20 뉴스기사 코호트 격리를 겪으며 file 이음센터 2020.03.30 179
19 뉴스기사 탈시설 농성장서 열린 시설희생자 추모제 "탈시설 세상 만들자" file 이음센터 2021.02.01 171
»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4.1%만 자립정착금 지원 탈시설 장애인 4.1%만 자립정착금 지원 지자체별 최대 1300만원 차이…주거지원도 22%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계 탈시설 지원체계 수립” 등록일... file 이음센터 2020.09.23 202
17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대구시가 고르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26 119
16 뉴스기사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년 10월 21일 장애계, “지원주택법·주거약자법·탈시설지원... 이음센터 2020.10.29 299
15 뉴스기사 탈시설,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일 file 이음센터 2020.12.17 197
14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11명, ‘서울시장 후보’ 본격 선거유세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1.28 174
13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공식활동 종료… “진짜정치 이제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3.25 134
12 뉴스기사 특별한 발렛 그룹 특별한 발렛 그룹 Ines Kaffka (인네스 카프카) 2020.01.29. 특별한 발레그룹 로미오가 되는 것!! 쿠바에서 온 27세의 오나위(Onay)는 다운증후군 장애을 갖고 있... 이음센터 2020.03.06 321
11 뉴스기사 편의제공 못 받은 채 면접시험 응시, 면접위원들은 자꾸 장애 질문만… 결국 ‘탈락’ file 이음센터 2020.06.09 284
10 뉴스기사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file 이음센터 2020.04.29 184
9 뉴스기사 학교도, 평생교육도 외면…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해야 file 이음센터 2020.08.21 231
8 뉴스기사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인디아 폴록크 BBC 웨일스 2018년 7월 11일 공유 Facebook 공유 Twitter 공유 Kakao story ... 이음센터 2020.03.12 162
7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CRPD 노동권 일반논평에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반영해야” file 이음센터 2021.03.26 205
6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유엔 특보에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진정 file 이음센터 2021.01.11 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