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결정한 포항시

 

허현덕 기자

202128

 

 

 

 

포항시, 탈시설 장애인 소음민원 발생했다고 시설 재입소결정

장애계 장애인의 삶 고려하지 않는 폭력적 결정인권위 진정

거주시설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대표가 공공후견인?부적합

 

 

 

 

  11.jpg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등 장애인권단체는 8, 국가인권위원회에 재입소 장애인의 긴급구제와 인권침해에 대한 시정권고를 진정했다.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 사진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포항시가 소음민원이 발생한다는 이유로 탈시설한 장애인을 다시 시설에 입소시켜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아래 장추련) 등 장애인권단체는 8,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재입소 장애인의 긴급구제와 인권침해에 대한 시정권고를 진정했다.

 

 

포항에 사는 김 아무개 씨는 중증 발달장애인으로, 시설에서 학대를 당하다 2년 전 탈시설해서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었다. 얼마 전부터 함께 사는 발달장애인 동생과의 다툼이 잦아졌고, 이웃으로부터 민원이 발생했다. 그런데 포항시가 내놓은 대책은 어처구니없게도 김 씨의 시설 재입소였다.

 

 

포항시는 지난 122포항시 희망복지지원단사례회의에서 가족과의 불화일상생활의 어려움을 들어 김 씨의 재입소를 결정했다. 희망복지지원단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통합사례관리를 제공하고, 지역 내 자원 및 방문형서비스 사업 등을 총괄 관리함으로써 지역단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담조직이다. 따라서 이날 포항시 희망복지지원단 사례회의에는 포항시 희망복지지원단 주민복지과장 포항시 장량동 맞춤형복지팀 담당자 발달장애인의 공공후견인 경북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경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 경북장애인가족지원센터 등 장애인의 권리에 앞장서야 할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 중 재입소를 반대한 곳은 경북장애인권익옹호기관, 경북장애인가족지원센터밖에 없었다. 문애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는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필요한 지원과 어려움을 해결하는 회의에서 자매끼리 싸운다는 이유만으로 시설 재입소를 결정한 것에 대해 분노한다라며 더욱이 코로나19에서 집단감염에 취약한 시설로 돌아가라는 것은 탈시설의 흐름에도 역행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김 씨는 포항시민이었지만,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되지 못했다. 최강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조직실장은 비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시끄럽다는 민원이 들어오면 사례회의를 열어서 시설에 보내는가?”라며 사소한 민원제기로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장애인을 시설로 보냈다. 장애인이 아니라면 절대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다라고 지적했다.

 

 

사례회의에서 시설 재입소를 가장 강력하게 주장한 것은 김 씨의 공공후견인인 서 아무개 씨다. 그는 다수의 장애인거주시설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의 대표이고, 거주시설의 시설장이다. 김성연 장추련 사무국장은 서 씨는 장애인의 집단생활을 지원하는 시설장으로 업무특성상 장애인 개인보다는 집단적인 상황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판단이 앞서 공공후견인으로 매우 부적합한 인물이다라며 그럼에도 공공후견인으로 지정한 경상북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도 이번 사건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번 사건은 단순히 장애인 한 사람이 시설에 격리됐다는 문제만이 아니라 장애인의 권리를 행정·민관 기관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탈시설-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지역사회의 무지와 체계 부재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인권위 판단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한편, 피진정인은 이강덕 포항시장 한보근 포항시 장량동장 포항시 희망복지지원단 주민복지과장 포항시 장량동 맞춤형복지팀 담당자 피해자의 공공후견인 경상북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장 등 6명이다.

 

 

 

 

 

 

 

출처 : 비마이너(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15)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 뉴스기사 특별한 발렛 그룹 특별한 발렛 그룹 Ines Kaffka (인네스 카프카) 2020.01.29. 특별한 발레그룹 로미오가 되는 것!! 쿠바에서 온 27세의 오나위(Onay)는 다운증후군 장애을 갖고 있... 이음센터 2020.03.06 321
184 뉴스기사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내 장애는 그대론데 왜 활동지원 시간은 깎이는 거죠?” 중... 이음센터 2020.03.09 252
183 뉴스기사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생필품 후원 관리부터 배달까지... 기존 업무 마비 주말 방문순회 이면에는 부족한 활동지원시간 문제... 이음센터 2020.03.12 200
182 뉴스기사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인디아 폴록크 BBC 웨일스 2018년 7월 11일 공유 Facebook 공유 Twitter 공유 Kakao story ... 이음센터 2020.03.12 162
181 뉴스기사 독일 장애인 공동체 베텔(Bethel) 독일 장애인 공동체 베텔(Bethel) 독일 베텔 독일 중부의 빌레펠트(Bielefeld) 시에 있는 베텔(Bethel) 공동체는 하나의 도시와 같은 곳이다. 이 공동체는 1867년... 이음센터 2020.03.13 752
180 뉴스기사 독일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성인교육 역사 독일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성인교육 역사 약 30년 전부터 시작된 독일의 정신지체 장애인을 위한 성인교육의 역사를 놓고 특수교육계 학자들은 뒤늦게 시작되었다... 이음센터 2020.03.13 432
179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37
178 뉴스기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 촉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rdq... 이음센터 2020.03.18 207
177 뉴스기사 제주서 발달장애 아들과 어머니 숨진채 발견 제주서 발달장애 아들과 어머니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기사전송 2020-03-18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발달장애를 앓고 있는 고등학생과 그를 돌보던 어머... 이음센터 2020.03.18 227
176 뉴스기사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거주인 탈시설 길 열리자 시설장이 탈시설-자립생활 방해 탈시설-자립생활 보장, 담당 사회복지사 업무 ... 이음센터 2020.03.20 205
175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 이음센터 2020.03.20 192
174 뉴스기사 [시선]코호트 격리와 ‘이미’ file 이음센터 2020.03.23 159
173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52
172 뉴스기사 서울시, ‘시설단위 장애인 탈시설 모델’ 개발 나선다 file 이음센터 2020.03.24 173
171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응책이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로 리모델링? file 이음센터 2020.03.26 184
170 뉴스기사 장애인들의 삶, 언제쯤 나아지나… 정치권에 21대 입법과제 재촉구 file 이음센터 2020.03.27 153
169 뉴스기사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등록일: 2020년 03월 24일 슈트트가르트: 코로나 위기 기간 동안 일부 슈퍼마켓이 어르신... 이음센터 2020.03.30 234
168 뉴스기사 코호트 격리를 겪으며 file 이음센터 2020.03.30 179
167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이음센터 2020.04.01 199
166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