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모든 장애인은 시험응시할 수 없다는 한국애견협회

 

 

등록: 2021323

하민지 기자

 

 

장애계 명백한 장애인 차별”, 인권위 진정

경기도 군포시에 사는 청각장애인 ㄱ 씨는 지난 2, 국가공인 자격시험인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실기시험장에 갔다. 실기시험은 필기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응시할 수 있다. 필기시험은 지난해 11월에 응시했다. 그때도 감독관에게 장애인등록증을 보여줬지만 시험에 응시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ㄱ 씨는 실기시험장에서 쫓겨났다. 장애인이라는 이유에서다. 감독관은 ㄱ 씨가 내민 장애인등록증을 확인한 후 장애인은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며 ㄱ 씨를 퇴실조치했다. 이후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실기시험 공고문에는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서 규정한 장애인은 본 자격에 응시할 수 없음이라는 규정이 생겼다. 원래는 명시되지 않았던 규정이다.

이에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아래 장애벽허물기) 등 장애인권단체는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장애인권단체는 23일 오후 2, 서울시 중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애견협회의 행태는 장애인을 차별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1.png

 

ㄱ 씨가 응시했다가 퇴실조치됐던 1회 시험에는 장애인 응시제한 규정이 없었다. 2회 때 규정이 명시됐다. 사진 한국애견협회 시행공고문 갈무리

 

 

- “모든 장애인 응시 불가는 명백한 차별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2조에는 15가지의 장애 종류가 명시돼 있다. 자격증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애견협회는 이 시행령에 규정돼 있는 장애인은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상관없이 모든 등록 장애인은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는 것이다.

ㄱ 씨는 중년 이후 청력이 떨어져 청각장애 판정을 받았다. 보청기를 사용하면 잔존 청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메이크업 관련 일에 종사할 때도, 두 아이를 키울 때도 문제는 없었다. 그러다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해 애견미용실을 열겠다는 꿈을 가졌다. 애견미용학원에 등록해 수강하며 자격증 공부를 하는 데도 아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한국애견협회는 ㄱ 씨가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실기시험 응시기회를 주지 않았다. ㄱ 씨가 시험 공고문에서 장애인 응시제한 규정을 찾을 수 없었다고 따지자 한국애견협회 측은 홈페이지의 응시자격란에 명시돼 있다. 왜 공고문만 보고 홈페이지는 보지 않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2.png

청각장애인 애견미용사 안토니 씨가 수어로 자신이 하는 일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유튜브 'Seek the World' 채널 갈무리

 

 

청각장애인은 반려견 스타일리스트가 될 수 없을까? 텍사스에서 에이즐 펫 살롱이라는 애견미용실을 운영 중인 안토니 씨는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다. 그는 20193, 청각장애인인 자신이 어떻게 일하는지 설명하는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렸다.

영상에 따르면 안토니 씨는 문자언어로 고객과 소통한다. 반려견을 씻기고 털을 깎는 중에는 반려견 꼬리의 모양이나 흥분, 긴장 상태를 보고 컨디션을 확인한다. 동물을 사랑한다는 안토니 씨는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자신만의 애견미용실을 운영하고 있다.

 

3.jpg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수막에는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시험 청각장애인 응시 제한 차별진정'이라고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안토니 씨의 사례를 들며, 장애 종류와 정도에 따라 장애인도 충분히 반려견 스타일리스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환 장애벽허물기 활동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청각장애인, 상체를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 등은 반려견 미용이 가능하다. 한국애견협회는 장애인 모두의 시험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조항을 삭제하고, 반려견 미용이 불가능한 장애인에 대해서만 다시 공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만호 원심회 회원도 한국애견협회를 규탄했다. 노 씨는 향후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시험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조건에서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애견협회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기자회견이 끝난 후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한편, 한국애견협회에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장애인의 응시를 제한한 이유를 물었지만 회의 중이라며 정확한 답은 하지 않았다.

 

4.jpg

활동가들이 인권위에 진정서를 내고 있다. 사진 하민지

 

 

 

 

 

 

 

출처: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2
184 뉴스기사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 이음센터 2020.09.07 132
183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33
182 뉴스기사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년 06월 22일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 이음센터 2020.06.24 134
181 뉴스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겨냥해 후보 11명 내는 ‘탈시설장애인당’ 창당 file 이음센터 2020.12.22 137
180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공식활동 종료… “진짜정치 이제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3.25 137
17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8
178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8
177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176 뉴스기사 장애인 비례대표 후보자 6명, 어떤 정책 갖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04.10 140
175 뉴스기사 내 잘못도 아닌데… 활동지원 자부담 두 배 납부 내 잘못도 아닌데… 활동지원 자부담 두 배 납부 건강보험공단, 재산 신고 안 했다고 건강보험료 과다 책정 지자체-사회보장정보원-복지부 지침 없어, 환급... 이음센터 2020.08.18 141
174 뉴스기사 장애계 “어울림플라자 문제, 서울시교육청이 나서라” 촉구 file 이음센터 2020.11.03 141
173 뉴스기사 유은혜 장관,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10.12 142
172 뉴스기사 젠더 관점 부족한 장애인운동, 동의하는 단 한 사람 file 이음센터 2020.11.20 142
171 뉴스기사 서울시, 전국 최초 ‘뇌병변장애인 마스터플랜’본격 가동...올해 84억 투입 서울시, 전국 최초 '뇌병변장애인 마스터플랜' 본격 가동… 올해 84억 투입 [한국인권신문=주신영 기자] 서울시가 전 생애에 걸쳐 재활과 치료가 ... 이음센터 2020.02.13 143
170 뉴스기사 장애인 학대 피해자 72%가 발달장애인… 스스로 신고 어려워 file 이음센터 2020.07.15 143
169 뉴스기사 ‘경사로 맛집’ 말고 ‘진짜 맛집’을 찾아 file 이음센터 2020.11.24 143
168 뉴스기사 서울시청 앞 45개 텐트,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탈시설을 촉구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2.30 143
167 뉴스기사 김재순 장애인·청년·노동자의 죽음… 장애계 “사회적 타살” file 이음센터 2020.06.09 144
166 뉴스기사 ‘사회적 거리두기’ 한국수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file 이음센터 2020.05.27 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