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허현덕기자 2021년6월8일10시12분

기존 활동지원 이용자, 만 65세 이후 월 100~200시간 시 추가 지원
시설 퇴소 만65세 이상 장애인, 월 120~320시간 지원… 지자체 최초
시비 9억 투입 33명 지원, 매년 대상자 지속 지원 계획

서울시청 전경. 사진 박승원서울시청 전경. 사진 박승원

서울시가 만 65세 이상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100~200시간 추가 지원한다. 또한 지자체 최초로 장애인수용시설에서 퇴소한 만 65세 이상 장애인에게 월 120~320시간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지원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 기존 활동지원 이용자, 만 65세 이후 월 100~200시간 시 추가 지원

활동지원을 받던 장애인은 만 65세 이후에 노인장기요양보험(아래 장기요양)으로 강제전환 되면서, 서비스 시간이 대폭 삭감된다. 활동지원은 국비와 시비를 합해 하루 최대 24시간을 지원받을 수 있지만, 장기요양은 하루 최대 4시간밖에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최중증장애인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고 호소해왔다.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 65세 이상 장애인 중 장기요양 전환자에 대한 활동지원 보전 방안이 마련됐다. 그러나 보전이 되더라도 최대 월 480시간(일 최대 16.4시간)밖에 못 받는다.

기존 정부지원과 시 추가로 최대 월 830시간씩(1일 24시간) 지원받았던, 최중증장애인에게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활동지원을 받던 만 65세 이상 고령장애인 중 장기요양 전환자에게 월 100~200시간(1일 3~7시간)을 추가로 지원한다. 지원 시간은 만 65세 전에 지원받았던 서비스와 장애정도에 따라 최종 결정된다. 현재 지난해와 올해 만 65세가 된 최중증 독거장애인 19명이 시 추가 지원을 받는다. 

- 시설 퇴소 만65세 이상 장애인, 월 120~320시간 지원… 지자체 최초

장기요양으로의 강제 전환도 문제지만, 만 65세 이후에 활동지원은 신청조차 할 수 없다. 따라서 고령 장애인의 경우에는 시설에서 나오고 싶어도 나올 수 없었다. 현재 65세 이상 탈시설장애인들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장기요양뿐이다. 활동지원 정부지원 보전도 받지 못한다.  

이러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서울시는 시설에서 퇴소한 만 65세 이상 장애인의 활동지원을 월 120~320시간(1일 4~11시간) 지원한다. 올해 지원 대상자는 14명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최중증장애인은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은 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하지만 고령장애인들은 오히려 활동지원서비스가 끊겨 큰 고통을 받아왔다”며 “서울시는 이번 사업 뿐 아니라 정부에 고령 장애인 돌봄 서비스에 대한 제도개선을 지속 건의해 고령 장애인이 걱정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기자

 서울시, 65세 이상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시 추가’ 지원한다  < 탈시설·자립생활 < 기사본문 - 비마이너 (beminor.com)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뉴스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겨냥해 후보 11명 내는 ‘탈시설장애인당’ 창당 file 이음센터 2020.12.22 137
24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34
23 뉴스기사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년 06월 22일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 이음센터 2020.06.24 134
22 뉴스기사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hellip;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ldquo;활동지원 24시간, ... 이음센터 2020.09.07 132
21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의 삶 못 바꾼 &lsquo;가짜&rsquo; 폐지 전국 장애인 1,000여 명, 장애등급제 &lsquo;진짜 폐지&rsquo; 염원하며 행진 코로나19 이... 이음센터 2020.07.02 132
20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유엔 특보에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진정 file 이음센터 2021.01.11 130
19 뉴스기사 뇌성마비 장애인 스포츠 뉴스 전하는 도맹그 file 이음센터 2020.08.18 129
18 뉴스기사 [영등포투데이]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기자명 김홍민 기자    승인 2023.09.01 18:18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이음센터 2023.09.15 128
17 뉴스기사 서울시·금천구, 5월 말경 행정처분… 시설 폐쇄 후 거주인 지원에 집중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6
16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15 뉴스기사 장애계, ‘시설에서 죽어야 하는 사회’ 철폐하는 한 해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11 124
14 뉴스기사 ‘비장애인 시청권’ 핑계 대며 뉴스 수어통역 방송 거부하는 KBS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2
13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대구시가 고르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26 121
12 뉴스기사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 결정한 포항시 file 이음센터 2021.02.09 119
11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lsquo;감염병 예방&rsquo;, &lsquo;권력기관 보호&rsquo;, &lsquo;소음&rsquo;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9
10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7
9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14
8 뉴스기사 [서울뉴스][리포트]시설을 벗어나 자립해요 이음장애인자립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개최 이음센터 2023.08.31 111
7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8
6 뉴스기사 복지TV뉴스24 _ 제12회 이음여행, ‘그들이 말하는 자립생활’ / 2023.08.30 이음센터 2023.08.31 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