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함께한 1박 2일 이음여행

  • 기자명 김홍민 기자
  •  
  •  승인 2023.09.01 18:18
  •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난 8월 24~25일에 진행한 ‘제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 성황리에 마무리
장애인 시설 거주인과 탈시설 장애인이 만나 탈시설 권리를 이해하는 시간
영등포구 지역에 장애인 권리를 알리는 행진 진행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지난 8월 24~25일에 장애인 거주 시설과 지역사회를 잇는 ‘제 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개회식(여행의 시작)을 시작으로 장애인 자립지원주택 다큐멘터리를 통한 자립생활교육, 함께 어울리는 교류회, 지역사회에 장애인 권리를 알리는 행진(하이서울유스호스텔~영등포구의회~영등포구청) 등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에 연대 및 참여한 단위로는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등 장애인 단체와 영등포구의회 김지연 의원, 진보당 이윤진 영등포구위원장, 영등포구청 어르신장애인과, 직접행동영등포당, 영등포시민연대 피플, 해오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영등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피플퍼스트 서울센터 등 지역사회 단위도 많이 참여하였다.

 

장애인 시설 거주인들은 이번 시간을 통해 탈시설 장애인들의 경험을 나누고 짧게나마 자립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참여한 탈시설 장애인은 “000님 건강하새요. 아프지마새요. (장애인)지원주택 오새요. 오로오로 살새요.(건강하세요. 아프지마세요. 지원주택 오세요. 오래 오래 사세요)”라는 말을 시설 거주 장애인에게 편지로 담아 전달하기도 하였다. 1박 2일이 마무리되고 모든 장애인 참여자들이 아쉬움을 표현하였다. 이에 이후 모임으로 다가오는 9월 16일 서울시내에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관장 최종환), 장애인거주시설 인강원(원장 윤제원)과 공동주최로 이루어지며, 서울특별시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열매 지원으로 운영되었다.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소장 문애린)는 탈시설 및 재가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며, 영등포구 지역에서 장애인 권익을 옹호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5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04 뉴스기사 서울시, 장애인 활동지원 추가 급여 확대한다. 서울시, 장애인 활동지원 추가 급여 확대한다 취약가구, 독거가구 활동지원시간 80%까지 확대 지원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시간, 월 50시간→120시간으로 확... 이음센터 2020.02.07 219
203 뉴스기사 장애인 동료지원가 설요한의 죽음, 그 후 장애인 동료지원가 설요한의 죽음, 그 후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문제는 실적이 아니다 ① 장애계는 “제도의 근본적 변화” 요구하지만, 고용노동부... 이음센터 2020.02.10 234
202 뉴스기사 독일의 사회보장(Soziale Sicherheit)의 역사 나라마다 어떤 사회보장 어떠한 견해로 이해하느냐란 문제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크게 근대이전, 근대, 현대로 나눌 수 있다. 많은 유럽 선진국가... 이음센터 2020.02.12 1315
201 뉴스기사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왼쪽부터)클라우츠 라흐비츠(II 대표), 아나 루시아 아렐라노(IDA 의장),... 이음센터 2020.02.12 186
200 뉴스기사 서울시, 전국 최초 ‘뇌병변장애인 마스터플랜’본격 가동...올해 84억 투입 서울시, 전국 최초 '뇌병변장애인 마스터플랜' 본격 가동… 올해 84억 투입 [한국인권신문=주신영 기자] 서울시가 전 생애에 걸쳐 재활과 치료가 ... 이음센터 2020.02.13 143
199 뉴스기사 김도현의 “장애학의 도전” file 이음센터 2020.02.17 289
198 뉴스기사 생명 윤리와 장애 예방: 임신중절은 여성의 기본권을 박탈하는 행위 김형식 전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에이블뉴스DB 임신중절은 여성의 기본권을 박탈하는 행위 어렵지만 한번쯤은 짚어보고 싶다는 주제였다. 한번은 아일랜... 이음센터 2020.02.19 265
197 뉴스기사 우리가 ‘탈’해야 할 시설은 “비정상인 수용 당연시하는 권력” 우리가 ‘탈’해야 할 시설은 “비정상인 수용 당연시하는 권력” [숨]센터 주최 'IL과 젠더 포럼', "교차성 관점으로 시설화 비판... 이음센터 2020.02.21 222
196 뉴스기사 혹시, 시청각장애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혹시, 시청각장애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조원석 ‘손잡다’ 대표(왼쪽)와 박관찬 <함께걸음> 기자(오른쪽)는 시청각장애이면서도 각각 대화하는 방식이 ... 이음센터 2020.02.24 243
195 뉴스기사 장애인의 성욕구 해소를 위한 처방전 장애인의 성요구 해소를 위한 처방전: 성 서비스(sexuelle Dienstleistung), 성 보조인(Sexualassistent), 성동반자(Sexualbegleiter(in))들은 ①신체장애인이나 ... 이음센터 2020.02.25 603
194 뉴스기사 장애인거주시설 별도의 코호트 격리 방안 마련 필요 장애인거주시설 별도의 코호트 격리 방안 마련 필요 보건복지부의 ‘장애인거주시설 코로나-19 관련 대응방안’에 대한 입장 “배제와 격리의 수... 이음센터 2020.02.26 234
193 뉴스기사 메르스 이후 4년, ‘코로나19’에도 장애인 대책 없어… “정부가 더 무섭다” 메르스 이후 4년, ‘코로나19’에도 장애인 대책 없어… “정부가 더 무섭다” 감염병 대책에서 또다시 ‘민낯’ 드러낸 ... 이음센터 2020.02.26 227
192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50
191 뉴스기사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망 신길역 승강기 완공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망 신길역 승강기 완공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환승구간 지하층 연결…한경덕 씨 추모동판 설치 ▲ 장... 이음센터 2020.02.28 241
190 뉴스기사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대구시 코로나19 격리시설 2곳 마련, 하지만 장애인은 이용 못 해 방법은 활동지원사와 자택 자가격리뿐… 활동... 이음센터 2020.03.02 302
189 뉴스기사 우려가 현실로… 대구 ‘장애인 확진자’ 발생, 병상 없어 ‘자택 자가격리’ 통보 우려가 현실로… 대구 ‘장애인 확진자’ 발생, 병상 없어 ‘자택 자가격리’ 통보 정부·대구시 ‘무대책’에 비장... 이음센터 2020.03.02 215
188 뉴스기사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칼럼] 안희제의 말 많은 경계인 등록일 [ 2020년03월03일 11시54분 ] 코로나바이러스-19 ⓒ픽사베이 코로나바이러스-19(아래 ... 이음센터 2020.03.04 206
187 뉴스기사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문제시설 폐쇄하고 법인 설립 취소 예고 피해자 11명 중 다른 시설로 6명 전... 이음센터 2020.03.05 206
186 뉴스기사 복지관 ‘비리·악행’ 보다 못해 행동 나선 사회복지사들 복지관 ‘비리·악행’ 보다 못해 행동 나선 사회복지사들 김빛이나 기자 (kshine09@newscj.com) ▲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이 19일 오... 이음센터 2020.03.05 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