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려가 현실로… 대구 ‘장애인 확진자’ 발생, 병상 없어 ‘자택 자가격리’ 통보
정부·대구시 ‘무대책’에 비장애인 직원이 방호장비 착용하고 함께 격리
대구 장애계 “장애인 확진자만이라도 병원 후송 요청… 살려달라” 호소
 
 
 
 

1582947512_60161.jpg 28일 밤 10시 35분, 지적장애인 ㄱ씨 코로나19 양성판정에 대한 대구 동구보건소의 문자. 문자에는 “ㄱ님 코로나 검사 결과 양성입니다. 현재 대구에 병원 병상이 없어서 병상 배정될 때까지 자가격리 잘 지켜주시고 집안에서도 마스크 착용 꼭 해주셔야 됩니다. 가족분들과 공간 및 식사, 화장실 등 따로 사용 바랍니다. 가족분들도 자가격리 대상입니다. 2.28 기준 14일 동안(3월 13일) 자가격리 대상이며 자세한 내용은 내일 전화로 설명드리겠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사진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구에서 ‘장애인 확진자’가 나왔지만, 병상이 없다는 이유로 자가격리 통보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장애인 자가격리자, 확진자를 위한 정부 대책 부재를 우려하던 장애계는 정부와 대구시의 조속한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장애인 확진자, ‘자가격리’밖에 방법 없다는 대구시

 

대구에서 사는 ㄱ 씨(남, 49세)는 지난 28일 밤 10시 35분경 코로나19 확진자로 판명됐다. 그러나 대구시는 마땅한 병실이 없다며 14일 동안(3월 13일까지) 자택에서 자가격리하라고 통보했다. ㄱ 씨는 현재 거주지에서 비장애인 직원 1명과 함께 자가격리돼 있다. 이 직원은 ㄱ 씨가 자가격리되는 동안 지원을 위해 주택방문했던 직원으로 ㄱ 씨의 밀접촉자로 분류된 사람 중 한 명이다. 그는 현재 방호복만으로 버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ㄱ 씨는 지적장애인으로, 그동안 지적장애인 ㄴ 씨(남)와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지난 24일부터 28일 확진 판정을 받을 때까지 ㄱ 씨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은 동거인 ㄴ 씨, 활동지원사 2명, 직원 4명 등 총 7명이다. 함께 살던 ㄴ 씨는 자가격리 직원 1명과 함께 단기체험용 자립주택으로 이동하여 자가격리 중이다. 나머지 4명도 자가격리됐다.

 

이런 격리과정에서 대구시와 동구보건소는 ㄱ 씨에게 ‘현재 대구에 1인 병실이 없어 입원이 불가능하다’며 자택 자가격리를 통보하고, 자가격리 대상인 비장애인 직원과는 방과 화장실을 따로 쓰면서 지원하는 방법만을 알려줬다. 대체가능한 활동지원사 방안이나 다른 생활지원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었다.

 

확진자에 대한 대책부재는 예견된 일이었다. 지난 23일 대구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아래 IL센터)에서도 활동지원사가 확진 판정을 받으며 장애인 자가격리자 13명이 발생했지만, 당시에도 장애인 자가격리자나 지원 인력에 대한 정부와 대구시의 대책이 없어 IL센터에서는 자구책으로 버티던 중이었다. 게다가 대구에 마련된 격리시설 두 곳도 장애인은 들어갈 수 없다. 이용대상자를 주소지가 없는 외국인·홈리스 등으로 제한하고 있고, 설령 들어갈 수 있다고 하더라도 편의시설과 지원인력이 없어 이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방법은 현재처럼 자택에서 생활지원을 받으며 자가격리되는 수밖에 없다.

 

- “장애인 확진자 ㄱ 씨만이라도 병원 후송 해달라… 살려달라”

 

이에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대구장차연)는 29일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장애인 자가격리자와 확진자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대구장차연은 “대구의 장애인 자가격리자는 비장애인 활동가와 함께 격리되어 있고, 이제는 장애인 확진자마저 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한 채 방호복을 입은 비장애인 활동가에 의해 생활지원을 받아야 할 처지다”라며 “더 이상 버틸 수가 없다. 활동지원사들과 지원자들의 도움을 통해 생활하는 장애인들은 자가격리자나 확진자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절박한 상황을 알렸다.

 

대구장차연은 현재 정부와 대구시의 문제점을 △즉시 투입가능한 생활지원인력의 부재 △가족돌봄 지원대책에서 장애인 대책 부재 △장애인과 장애인 관련자에 대한 느린 검진 △장애인 확진자 발생 시 대책 부재 등을 꼽았다.

 

전근배 대구장차연 정책국장은 “1명의 발달장애인이 양성 판정을 받았음에도 자가격리를 통보받았다. 의심증상이 있어 보건소를 찾았지만 전화예약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며 “지금 수준의 정부와 대구시 대책으로는 장애인은 자가격리 될 수도, 격리시설에서 지원받을 수도 없다. 또 앞으로 나올 장애인 자가격리자들과 장애인 확진자들은 어떻게 국가의 보호를 받을 수 있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정부와 대구시는 부디 서로 간의 책임을 떠넘기는 행정이 아니라 장애인을 위한 확실한 코로나19 대응체계를 발표해야 한다”며 “현재 발생한 장애인 확진자라도 긴급히 병원으로 후송하여 보호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협의하여 장애인이 보호받을 수 있는 자가격리 대책과 확진자 전담의료병원을 운영해 달라”고 거듭 촉구했다.

출처: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4411&thread=04r0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뉴스기사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학습 장애: '고립되어 사각지대에 있는' 학습 장애 청소년들 인디아 폴록크 BBC 웨일스 2018년 7월 11일 공유 Facebook 공유 Twitter 공유 Kakao story ... 이음센터 2020.03.12 162
124 뉴스기사 장애계, 신아재활원 긴급 탈시설 이행 촉구 천막농성 file 이음센터 2021.01.26 162
123 뉴스기사 화성시장실 농성장에서 어느 활동가의 편지 file 이음센터 2020.07.20 163
122 뉴스기사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동안 중·고교 발달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추가로 지원 여름방학 중 돌봄 공백 해소하기 위해 특별지원급여, 월 27만원 1회 지급 관할 읍면동 주민... 이음센터 2020.08.05 164
121 뉴스기사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성명]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5월 15일) 등록일 : 2020년 05월 15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4월 24일 장애인고용촉진 ... 이음센터 2020.06.03 165
120 뉴스기사 보조공학 기기와 나의 삶, 욕망에 대하여 보조공학 기기와 나의 삶, 욕망에 대하여 [칼럼] 김상희의 삐딱한 시선 29일간의 병원 생활 ③ 등록일: 2020년 9월 16일 - 나는 일생일대 대형 사고를 치기로 했다... 이음센터 2020.09.18 165
119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118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7
117 뉴스기사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대대적 홍보한 중증장애인 사업, 내년도 무산 위기 장애계 “장애인 생존권 보장하... 이음센터 2020.10.16 167
116 뉴스기사 나의 멋진 엄마가 감옥에 갔다, ‘저항’이라고 했다 file 이음센터 2021.03.25 168
11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69
114 뉴스기사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기재부, 명확한 근거 없는 압박으로 2차례 삭감 끝에 기본인상률 1%로 확정 회의... 이음센터 2020.08.03 169
113 뉴스기사 탈시설 농성장서 열린 시설희생자 추모제 "탈시설 세상 만들자" file 이음센터 2021.02.01 171
112 뉴스기사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허현덕 기자 2020년 11월 10일 미신고시설 활동지원사 폭행 사망 사건 유족, 김경태 씨 개... 이음센터 2020.11.11 172
111 뉴스기사 서울시, ‘시설단위 장애인 탈시설 모델’ 개발 나선다 file 이음센터 2020.03.24 173
110 뉴스기사 오늘부터 MBC ‘뉴스데스크’ 수어통역 시작… 장애계 “환영” file 이음센터 2020.09.01 173
109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3
108 뉴스기사 [속보] 장애인운동 활동가들, 복지부 담벼락에 올라 장관 면담 요구 [속보] 장애인운동 활동가들, 복지부 담벼락에 올라 장관 면담 요구 강혜민 기자 등록일: 2021년 4월 21일 ‘탈시설’ 용어 부정하는 복지부 규탄하며 ... 이음센터 2021.04.21 173
107 뉴스기사 신길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 2심에서도 유족 승소 file 이음센터 2020.05.14 174
106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11명, ‘서울시장 후보’ 본격 선거유세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1.28 1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