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65세 활동지원 끊긴 최중증장애인, 서울시가 지원한다.

 

 

서울시·자치구 예산으로 시범사업 실시, 하루 11시간가량 지원

서울시 선제적 시행 통해 정부 차원의 대책 이끌어낼 것

 

 

 

 

                                                                                                                                                                        등록일: 2020531

 

 

1590909482_70790.jpg 

장애인활동지원 만 65, 현대판 고려장이라는 문구가 쓰인 팻말. 사진 박승원

 

 

서울시가 65세가 되어 활동지원서비스가 중단된 최중증장애인들에게 올해 시 자체 예산을 통해 활동지원서비스를 계속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현행 장애인활동지원법은 만 6~65세 미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65세가 되면 활동지원서비스가 중단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자동전환된다. 문제는 활동지원의 경우 국비와 시비 지원으로 하루 최대 24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은 하루 최대 4시간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비스 이용 시간에 크게 차이가 나니 장애인 당사자 입장에서는 생명에 위협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로 장애계는 줄곧 65세가 넘어서도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활동지원법을 개정할 것을 촉구해왔다. 그러나 지난 20대 국회에서도 예산상의 이유로 개정안은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에 서울시는 31, “서울시의 선제적 시행을 통해 중앙정부 차원의 전국적인 대책을 이끌어낸다는 목표를 가지고 법령과 제도가 마련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 고령의 최중증 장애인의 생명권과 건강권을 최우선으로 두고 서울시가 먼저 돌봄 사각지대를 메우는 차원에서 ‘65세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시범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2020년도에 65세가 된 최중증장애인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65세가 되면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활동지원 시간은 중단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국비 지원 시간을 제외하더라도 서울시와 자치구 지원을 통해 하루 평균 약 11시간의 활동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서울시와 자치구가 매칭하여 지원하기에 이용시간은 자치구별 재정 여건에 따라 구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각 자치구와 함께 지원대상자(서비스지원 종합 조사표 X1점수 360점 이상 또는 인정점수 400점 이상)를 선정하고, 장애인 본인에게 대상 여부와 제공 시간을 사전에 통보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올 연말까지 실시하는 동시에, 보건복지부에 65세 이상 고령 장애인에 대한 활동지원서비스 시행을 위한 대책 마련을 지속해서 건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관련 법률 제·개정, 보건복지부 지침 등 관련 진행 상항을 고려해 내년도 정부 예산에 관련 예산이 편성되지 않을 경우, 서울시 차원의 별도 대책을 추가로 마련할 예정이다.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14729&thread=04r0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뉴스기사 장애를 당당히 드러내고 즐기는 사회가 되길.... file 이음센터 2020.06.24 201
75 뉴스기사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향후 3년 결정하는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 의... 이음센터 2020.08.13 201
74 뉴스기사 장애계, 세종시에 “장애인 이동권·누리콜 노동자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2
73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4.1%만 자립정착금 지원 file 이음센터 2020.09.23 203
72 뉴스기사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탈시설 주거모델로 주목받아온 지원주택, ‘주거서비스지원법&rs... 이음센터 2021.05.11 204
71 뉴스기사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거주인 탈시설 길 열리자 시설장이 탈시설-자립생활 방해 탈시설-자립생활 보장, 담당 사회복지사 업무 ... 이음센터 2020.03.20 205
70 뉴스기사 현장투표 거부당한 중증장애인, ‘옥천선관위’ 인권위에 진정 file 이음센터 2020.04.06 205
6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5
68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CRPD 노동권 일반논평에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반영해야” file 이음센터 2021.03.26 205
67 뉴스기사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칼럼] 안희제의 말 많은 경계인 등록일 [ 2020년03월03일 11시54분 ] 코로나바이러스-19 ⓒ픽사베이 코로나바이러스-19(아래 ... 이음센터 2020.03.04 206
66 뉴스기사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문제시설 폐쇄하고 법인 설립 취소 예고 피해자 11명 중 다른 시설로 6명 전... 이음센터 2020.03.05 206
65 뉴스기사 ‘노동 할 수 없는 몸’, 노동자라는 ‘성취 지위’를 갈망하다 file 이음센터 2020.04.16 206
64 뉴스기사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수급비 52만 원으로는 최저 생존만 가능… 현실성 없는 생계급여 인상돼야 아들에... 이음센터 2020.07.06 206
63 뉴스기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 촉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rdq... 이음센터 2020.03.18 207
62 뉴스기사 놀이는 누구의 것인가 file 이음센터 2020.12.02 208
61 뉴스기사 장애해방열사 44명이 바라던 세상, “우리가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8
60 뉴스기사 청각장애인과 소통 거부한 이비인후과 의사, 인권위에 진정 당해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9
59 뉴스기사 장애등급제 폐지 1년, 장애인들이 체감하는 변화는? file 이음센터 2020.07.10 211
58 뉴스기사 [서평] 장애아를 낳는다는 것에 대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0.05 211
57 뉴스기사 활동지원 개선? 속 터지는 근육장애인 file 이음센터 2020.07.13 2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