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편의제공 못 받은 채 면접시험 응시, 면접위원들은 자꾸 장애 질문만결국 탈락

 

 

청각장애 이유로 탈락했다공무원 임용 불합격 처분 취소 항소심

면접시험 보조요원 증인 신문 열려 당일 요청 받아 지원한 것으로 확인

 

 

                                                                                                                         등록일:202068

 

 

 

 

청각장애인이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청각장애를 이유로 탈락했다며 경기도 여주시를 상대로 제기한 불합격 처분 취소항소심이 열렸다.

원고 류아무개 씨는 청각장애 2급이다. 그는 구어(상대방 입술을 읽고 입으로 말하는 것)를 사용하며, 주로 필담으로 의사소통한다. 류 씨는 2018년 경기도 여주시 지방공무원 공개경쟁임용시험 9급 일반행정 장애인 구분모집에 지원했다. 그는 최종 두 명을 선발하는 장애인 구분모집의 유일한 필기시험 합격자였다.

 

 

그러나 면접시험 일정을 알리는 홈페이지 게시물에는 편의제공에 관한 안내가 없었고, 일정이 다가오도록 이에 대한 별도의 안내는 오지 않았다. 결국 류 씨의 어머니가 여주시 측에 전화하여 아들의 장애를 알리고 필담을 요청했다. 그 결과, 면접시험에서 노트북과 문자통역 보조인만이 겨우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후 류 씨는 추가 면접을 또다시 치러야 했다. 하지만 이때도 별도 안내나 추가 조치 없이 노트북과 보조인만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당시 류 씨는 면접시험 최종등급에서 보통등급을 받으면 합격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면접위원 세 명 전원에게 의사표현의 정확성과 논리성영역에서 ()’를 받았고, 추가 면접시험에서도 를 받으면서 결국 미흡등급으로 필기시험 성적과 관계없이 탈락했다. 면접시험 전체 응시자 61명 가운데 미흡등급을 받아 탈락한 사람은 류 씨뿐이다.

 

 

이에 류 씨는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을 사전에 안내받지 못하는 등 절차상 위법하기에 불합격 처분도 취소되어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20199, 1심에서 그는 패소했다. 재판부가 피고 여주시가 편의제공 의무를 위반하고, 재량권을 일탈·남용하였다는 원고의 주장을 모두 기각한 것이다.

   

 

  1591604071_89689.jpg수원고등법원. 사진 강혜민

 

 

류 씨는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하였고, 지난 3일 수원고등법원에서 두 번째 변론기일이 열렸다. 이날은 면접시험 당시 류 씨의 전담보조요원으로 참여했던 여주시 공무원 두 사람에 대한 증인 신문과 원고 류 씨에 대한 당사자 신문이 진행됐다.

 

 

이날 법정 원고석에 앉은 류 씨 앞에는 모니터 하나와 노트북 한 대가 놓였다. 재판부는 류 씨 앞 모니터에 속기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문자통역을 지원했다. 류 씨는 이를 통해 판사와 변호사들의 음성언어를 문자로 전달받을 수 있었다. 또한 당사자 신문에서 원고의 응답이 필요한 경우, 류 씨는 자신 앞에 놓인 노트북을 이용해 답변할 수 있었다. 이 노트북 화면은 법정에 설치된 스크린에 공개되어서 판사를 비롯해 재판에 참여한 사람 모두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변론기일은 증인 신문에 각각 1시간씩, 그리고 원고 신문에 약 2시간가량이 소요되어 장장 4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 면접시험 보조요원들, 당일 요청 받아 류 씨 지원제대로 이뤄졌을까?

 

 

이날 증인 신문에는 1차 면접을 보조했던 이아무개, 이후 추가 면접을 보조했던 여아무개 씨가 증인으로 참석했다. 원고 소송대리인들은 류 씨의 장애 정도와 상태에 따른 편의제공이 얼마나 이뤄졌는지를 집중해서 물었다. 그러나 두 사람 대부분의 질문에 당시 상황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두 사람의 증언을 종합하면, 이들은 여주시 인사팀의 업무 요청으로 면접시험 당일에야 류 씨에 대한 지원을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두 사람은 당일 교육을 받았다고 했으나, 이 씨의 증언에 따르면 류 씨를 면접대기 장소로 안내하고, 필담 소통 지원, 면접 시 문자통역 지원 등 기본적 정보 전달에 불과했다.

 

 

면접시험 당시 류 씨가 문자통역으로 면접위원의 질문을 비장애인과 동등한 수준으로 전달받았는지도 중요한 쟁점이다. 그러나 두 사람은 속기사 자격증이 없다. 이 씨는 면접위원이 말하는 것을 빠짐없이 속기했는가라는 원고 측의 질문에 그렇진 않다. 그러나 제가 질문의 요지를 적었고 면접위원도 그걸 보고 있었다며 자신의 문자통역이 문제없었음을 밝혔다. 하지만 “(요지를 적었다는 말은) 증인이 질문을 듣고 추려서 적었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추렸다는 기준에 대해 변호사가 재차 묻자 이 씨는 “‘, 저기같은 쓸모없는 미사여구는 다 없애고 질문에 대한 내용만 적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판사가 동일 시간에 본인과 속기사가 전달할 수 있는 양이 같다고 생각하나”, “지금 내가 하는 말을 다 적을 수 있는가라고 물었고, 이 씨는 다르다”, “다 적을 수 없다고 답했다. 두 사람 모두 청각장애인과 근무해 본 경험이 없다고 답해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도에도 의구심을 들게 했다. 또한, 1차 면접 때와 추가 면접 때의 전담보조요원은 달랐으나, 둘 사이에 인수인계는 없었다.

 

 

- “장애인 모집 응시자인데 자꾸 장애에 관해 물어 위축감 들었다

 

 

이어 류 씨에 대한 본인 신문이 진행됐다. 류 씨는 여주시 홈페이지 면접시험 공고에 편의제공을 신청할 수 있다는 안내가 없어서 신청 사실을 몰랐으며, 공고에 전화번호 밖에 나와 있지 않아서 시청에 직접 문의할 방법도 없었다고 밝혔다. 결국 아들의 면접시험을 걱정한 류 씨 어머니가 여주시에 직접 전화하여 확인하였고, 류 씨는 어머니를 통해서만 관련 정보를 전해 들을 수 있었다. 면접시험 전에 어머니가 아닌 여주시로부터 직접 편의제공 등에 대한 안내는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여주시의 안내는 면접 당일에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면접위원들은 류 씨에게 수어를 배우지 않은 이유, 동료들과 어떻게 의사소통할 것인지, SNS를 사용할 줄 모르는 민원인들과는 어떻게 의사소통할 것인지 등 업무 능력에 관한 질문이 아닌 장애에 관해 재차 물었다. 이에 대해 류 씨는 장애인 모집에 응시했음에도 장애 관련 질문이 여러 번 나와 위축감이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문자통역으로 비장애인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됨에도 시간 연장이 없어 조급한 마음으로 면접을 치렀다고도 전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르면, 장애인은 시험시간 연장을 정당한 편의 중 하나로 제공받을 수 있다.

 

 

 

 1591604246_22653.jpg

청각장애인 류아무개 씨의 공무원 임용 불합격 처분과 관련하여 지난 212, 장애계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박승원

 

 

이처럼 지원이 턱없이 부족했지만, 그럼에도 류 씨는 최선을 다해 답변을 잘 했으니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추가 면접을 봐야 한다는 연락을 받고서 면접위원들이 장애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평정한 것 같다는 생각에 속상한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 하지만 추가면접 때도 마찬가지로 시간 연장을 비롯한 편의제공에 대한 정보는 듣지 못했다.

 

 

류 씨는 장애인은 아무리 노력해도 사회가 받아주지 않고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사실에 절망했다. 그래서 이후 더 이상 공무원시험에 응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소송에서 승소하여 면접시험에서의 불합격이 취소되면, 류 씨는 다시 면접을 볼 수 있게 된다. 류 씨는 1심 재판 중에는 재면접을 대비해 면접시험을 준비하며 지냈으나, 1심 패소 후에는 낙담하여 요즘은 책을 읽거나 부모님 농사일을 도와드리며 지내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재판 내내 여주시 공무원들의 증인 신문을 지켜본 류 씨는 재판이 끝난 후 증인들이 기억나는 대로 진술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대체로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하며 회피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유감스럽고 아쉬웠다고 답답함을 표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장애가 있어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왔다. 그래서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하며 공익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어 공무원이 되고 싶었다면서 재판부가 장애인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차별받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현명하게 판단하여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4755&thread=04r07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현장의 젠더 불평등을 말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1.20 160
155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97
154 뉴스기사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57.8% 초등학교 이하… “특화된 교육권 확보” “생애주기별 맞춤형”, 결론은 &... 이음센터 2020.11.13 157
153 뉴스기사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휠체어 앞 ‘턱’…“들어가고파” 뿅망치로 쾅쾅 ‘1층이 있는 삶’ ... 이음센터 2020.11.13 147
152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151 뉴스기사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허현덕 기자 2020년 11월 10일 미신고시설 활동지원사 폭행 사망 사건 유족, 김경태 씨 개... 이음센터 2020.11.11 172
150 뉴스기사 마스크 쓰지 않고 치료받을 권리 file 이음센터 2020.11.05 157
149 뉴스기사 장애계 “어울림플라자 문제, 서울시교육청이 나서라” 촉구 file 이음센터 2020.11.03 141
148 뉴스기사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년 10월 21일 장애계, “지원주택법·주거약자법·탈시설지원... 이음센터 2020.10.29 299
14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146 뉴스기사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이가연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8일 코로나19로 장애인 생존 위기 왔... 이음센터 2020.10.29 142
145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144 뉴스기사 교육부의 ‘건강상태 자가진단’ 시스템, 시각장애학생 배제? file 이음센터 2020.10.27 278
143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들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이음센터 2020.10.20 260
142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내 ‘열사’ 규정 없어, 시급히 논의 필요” file 이음센터 2020.10.20 144
141 뉴스기사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대대적 홍보한 중증장애인 사업, 내년도 무산 위기 장애계 “장애인 생존권 보장하... 이음센터 2020.10.16 167
140 뉴스기사 유은혜 장관,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10.12 139
139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38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채용으로 기업 홍보하더니, 괴롭힘에는 모른 척? file 이음센터 2020.10.08 144
137 뉴스기사 [서평] 장애아를 낳는다는 것에 대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0.05 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