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뉴스기사
2020.06.24 13:55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체계적 척수재활시스템과 지역사회 복귀 시스템 필요

 

 

                                                                                                                                                                       등록일: 20200622

 

 

최근 진주에서 한 여고생이 갑자기 끼어든 차량으로 인해 버스가 급정거하면서 뒷좌석에 앉으려다 균형을 잃고 운전석까지 미끄러져 굴러가 부딪치면서 목뼈가 골절되어 사지마비 척수장애인이 된 안타까운 사연을 뉴스를 통해 접했다.(https://youtu.be/oDEhPKGPnZo)

 

 

수능을 마친 후라는 여고생의 사연은 더 안타깝게 다가왔고 이 사고로 인해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말로 할 수 없는 충격을 받았을 당사자와 그 가족에게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

 

 

뉴스에 의하면 이 사고의 가해자는 어떤 형식으로도 사과를 하지 않아 공분을 사고 있지만 당연히 무거운 법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그 가족들은 억울함과 가해자를 엄하게 처벌해 달라고 청와대 국민청원을 진행 중 이다.(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89774)

 

 

척수장애인 당사자로서 이런 불미스러운 사고는 결코 일어나지 않았어야 했고 만일 사고에 대한 가해자가 있다면 피해자에게 당연히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 왜냐하면 척수장애로 살아간다는 것은 너무나도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이고, 그 가족에게도 천형과 같은 일이며 평생의 트라우마로 남겨질 것이기 때문이다.

 

 

더 안타까운 현실은 대한민국에서 척수 손상이후 초기 병원생활에서부터 퇴원을 하고 지역사회로 돌아가서 일상의 삶을 사는 그 과정이 전혀 매끄럽지가 않고 매 순간 단절이 되어 좌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에는 초기 척수장애인들을 위한 재활시스템이 준비되지 않았다는 것이 더 큰 문제인 것이다. 긴 병원 생활, 재활난민처럼 이 병원 저 병원 옮겨 다녀야 하는 불안함, 의료적 재활뿐만 아니라 심리적·사회적·직업적 재활은 물론 가족 재활까지 종합적인 재활시스템이 필요한데 아직은 그 준비가 한참이나 덜 되어 있다.

 

 

가족이 짊어져야 할 무게도 걱정이다. 심리적인 부분과 함께 경제적인 부담도 걱정이다. 초기의 부담 경감을 위해 간호간병지원서비스가 생겼지만 최중증의 환자들에게는 언감생심인 제도가 된지 오래이다.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훈련시스템도 변변치가 않다. 주택개조에 대한 지원도 없다

 

 

척수장애인의 장애유지비용은 참으로 많이 든다. 없어서는 안 되는 전동휠체어의 자부담에 허리가 휠 정도이다. 평생을 후유증과 합병증으로 시달리지만 건강권과 관련된 제도들은 아직 미비하다.

 

 

학교를 가고 직업을 구하는 일도 사지마비의 척수장애인에게는 녹녹치가 않다. 중중의 척수장애인들은 활동지원사들도 기피를 하는 부류이다. 척수장애인의 처지에 맞추어지지 않은 각종 복지제도는 그 괴리가 깊다.

 

 

그렇다고 절망할 필요는 없다. 일부 척수장애인들은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교를 다니고 직장을 다니고 가정을 꾸리며 살고 있다. 국회의원도 되었고 의사도 되었고 교수도 되었고 국가대표 운동선수도 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결과들이 개인의 처절한 노력으로 되었다는 것이다. 사회의 보편적인 시스템 하에서 자연스럽게 일상의 삶을 산다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척수장애인들의 바램들이 완전히 제도적으로 녹여들지 않았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많은 척수장애인과 척수장애인협회의 몸부림으로 아주 조금씩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집중적인 재활치료를 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재활의료기관을 지정하고 있고, 고용노동부는 중도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해 병원 내 직업상담, 일상홈을 통한 장애수용 및 직업재활에 이제야 관심을 갖게 되었다.

 

 

늘 당사자의 바람보다 제도가 뒤쳐져서 따라오는 슬픈 현실이 가슴 아프지만 그래서 더욱 더 선배 장애인들이 앞서서 나아가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꿈에도 원치 않았던 변을 당한 여고생과 그 가족들이 장애를 받아들이고 일상의 삶으로 돌아가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원한다. 전동휠체어를 타고도 당당히 대학에서 공부도 하고 캠퍼스 생활을 만끽할 수 있다. 졸업 후 직장도 다니고 가정을 꾸밀 수 있다.

 

 

이런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일상의 삶이 척수장애인이라고 차별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의 초기재활시스템에 대대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병원 생활은 물론 지역사회로 연계되는 전환과정에서도 세심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 여고생과 가족이 일상의 삶을 회복하기 위해 척수협회도 역할을 하고 지지를 할 것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이찬우 (elvislee@hanmail.net)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621211640279905#z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55
215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57
214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213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12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60
211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210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71
20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8
208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84
20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8
206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20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70
204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7
20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6
202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201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50
200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14
19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6
198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4
197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