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남아공 청각장애인 전문 댄서 벨름씨 눈길

 

진동 통해 음악 느끼며 댄스 삼매경관객과 소통

장애인식개선 및 청년 장애인 예술가 등 발굴 지원

 

 

등록일 : 20200623

 

 

  c_0_000620200612113458629296.jpg

남아공 통합 무용회사 대표, 청각 장애인 댄서 앤딜레 벨름씨. 아츠링크닷씨오닷젵에이       

 

 

청각장애인은 어떻게 춤을 출 수 있을까? 리듬을 포착하고 이해하는 것은 어떻게 할까? 아마도 청각장애에 대해 잘 모른다면 이렇게 질문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세계 속의 장애 인물은 이 같은 궁금증에 답이 될 것 같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통합 댄스회사와 이 회사의 대표인 앤딜레 벨름씨 이야기입니다.

 

 

벨름 대표는 남성으로 청각장애인인데, 지난 20년간 전문 댄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7년 전인 2013년에 장애·비장애인 청년 댄서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금을 받아 회사를 설립해서 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당시 회사를 설립하면서 만든 창작 댄스극 [언뮤트-음소거 해제]는 벨름대표가 안무를 맡았습니다. 이 작품은 안무가로서 자신의 소리를 무대에서 찾는 청각장애인 댄서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춤을 통해 감정, 인식, 사회적 규범 등에 담긴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식을 개선하거나 바꾸어 가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언뮤트 작품은 성공적이었고, 벨름씨의 공연과 이야기는 영국 국영 방송에서도 다루었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청각장애가 있던 어린 벨름은 부모의 도움으로 진동을 통해서 음악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피스커에서 나오는 음악의 진동이 바닥을 치고, 그의 몸은 음악을 느끼는 것입니다. 춤을 추는 동안은 무소음의 세계에서 빠져나와 관객과 소통하는 소음의 세계로 이동하는 셈입니다.

 

 

그의 회사에 소속된 댄서들은 휠체어 사용 댄서를 비롯하여 장애인·비장애인 전문 댄서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으며 각종 예술 축제에 초대받아서 공연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김해영 칼럼니스트 김해영블로그 (haiyungkim@gmail.com)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612113458629296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55
215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57
214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213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12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60
211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210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71
20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8
208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84
20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8
206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20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70
204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7
20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6
202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201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50
200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14
19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6
198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4
197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