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년도 활동지원 예산,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쳐
2021년 활동지원 예산 14.8% 증액… 2017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
장혜영 의원 “활동지원 24시간, 가족 돌봄 부담 경감 예산 확대해야”

 

등록일: 2020년 9월 4일

 

1599207406_62128.jpg       2017년 이후 연도별 장애인활동지원 예산 현황. 장혜영 의원실 보도자료 캡처

 

내년도 장애인활동지원(아래 활동지원) 예산이 자연증가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1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아래 복지부) 활동지원 예산은 1조 4991억 원으로 올해 대비 14.8% 증액되었다. 서비스 대상자는 8000명이 늘어난 9만 9000명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는 문재인정부 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이고, 최근 1년간 활동지원 서비스 대상자의 자연증가분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장혜영 정의당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이 4일 밝혔다.

 

‘2017년 이후 연도별 장애인활동지원 예산 현황’에 따르면 활동지원 예산은 그동안 2018년 전년 대비 26.5%, 2019년은 45.3%, 2020년은 30.1%가 증가했지만 2021년은 14.8% 증가에 그치고 있다. 문재인정부 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더욱이 이는 최근 1년간 활동지원서비스 대상자의 자연증가분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장혜영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아래 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월별 장애인활동지원 신규 신청 및 수급자 현황(2019.7~2020.6)’자료에 따르면 해당 기간 2만 399명이 신규 서비스를 신청했고, 1만 5476명이 수급권을 받았다. 월평균 1290명이 신규로 수급권을 받은 셈이다. 그러나 정부 예산안에는 8000명 확대 수준의 예산을 편성해, 자연증가분조차 반영하지 못했다.

 

또한 연금공단의 2020년 6월 기준 ‘전체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이미 올해 예산 기준(9만 1000명)을 상회하는 약 11만 명의 장애인이 서비스 수급권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장 의원은 “결국 9만 9000명 기준의 2021년 예산 편성은 ‘취약계층 보호 강화’를 내세운 정부 기조를 무색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1599201701_67885.jpg     2019. 7월 ~ 2020. 6월 월별 장애인활동지원 신규 신청 및 수급자 현황. 장혜영 의원실 자료 캡처

 

장애인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대상·시간 확대 등의 변화도 미미했다. 활동지원 수가는 올해보다 520원 늘어 1만 4020원으로 인상됐고, 최중증장애인 가산급여는 대상자가 1000명 늘어나고 단가도 1500원 오른다. 하지만 활동지원 월평균 시간은 127시간으로 동결되었다. 장 의원은 “활동지원 수가가 운영비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장애인이 체감할 수 있는 예산 증가율은 14.8%가 아닌 약 8.8%(내년 예산안을 올해 단가 1만 3500원으로 계산)라고 볼 수 있다”라며 “이는 복지부 내년도 전체 예산 증가율 9.2%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발달장애인 방과 후 활동서비스 예산 100억 원 삭감 이유를 ‘기관 돌봄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이는 돌봄  수요가 사라진 게 아니라 개인과 가족에게 돌봄 책임이 떠넘겨진 것이다”라며 “정부는 확장적 재정 기조로 예산을 편성했다고 했지만 장애인 복지예산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다. 코로나19 재난에 더욱 취약한 최중증장애인에게 활동지원 24시간 지원을 비롯해 가족 돌봄 부담을 경감할 예산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051&thread=04r0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뉴스기사 김재순 장애인·청년·노동자의 죽음… 장애계 “사회적 타살” file 이음센터 2020.06.09 144
75 뉴스기사 정부, 3차 추경안에서 발달장애인 지원 예산 100억 원 삭감 file 이음센터 2020.06.08 146
74 뉴스기사 온라인 강의에서 소외당하는 장애인 대학생들 ‘학습권 보장’ 촉구 온라인 강의에서 소외당하는 장애인 대학생들 ‘학습권 보장’ 촉구 코로나19로 수면 위에 오른 장애인 학습권 문제 “똑같이 수업 듣고 싶다&rdq... 이음센터 2020.06.05 232
73 뉴스기사 ‘비장애인 시청권’ 핑계 대며 뉴스 수어통역 방송 거부하는 KBS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0
72 뉴스기사 서울시·금천구, 5월 말경 행정처분… 시설 폐쇄 후 거주인 지원에 집중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6
71 뉴스기사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성명]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5월 15일) 등록일 : 2020년 05월 15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4월 24일 장애인고용촉진 ... 이음센터 2020.06.03 165
70 뉴스기사 올해 65세 활동지원 끊긴 최중증장애인, 서울시가 지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01 155
69 뉴스기사 ‘사회적 거리두기’ 한국수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file 이음센터 2020.05.27 120
68 뉴스기사 자폐성 장애인과 가까워지는 7걸음 매년 4월 2일은 세계 자폐성장애 인식의날 (세계 자폐인의 날)입니다. 처음 만난 사람과 대화할 때,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쓰시나요?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공... 이음센터 2020.05.26 161
67 뉴스기사 휠체어 타고 레트로 감성여행 '서천 판교마을’ file 이음센터 2020.05.25 245
66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181
65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7
64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6
63 뉴스기사 ‘나를 보라’ 제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file 이음센터 2020.05.18 150
62 뉴스기사 서울시, 드디어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만든다 file 이음센터 2020.05.15 177
61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60 뉴스기사 신길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 2심에서도 유족 승소 file 이음센터 2020.05.14 174
59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193
58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57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