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울시, 10월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시범사업 시행

시설장애인 지역사회로 자립, 시설은 폐쇄 후 주거서비스기관으로

선정된 시설 1, 3년간 준비-전환-완료 전 과정 지원

 

 

 

 

2020914

 

 

  1600085233_26291.jpg

지난해 12월 서울시 장안동 지원주택에서 자립생활을 시작한 탈시설 장애인을 활동가들이 환영하고 있는 모습. 서울시 지원주택은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에서 중요한 거주지원 모델이다. 사진 허현덕

 

 

 

 

서울시가 장애인거주시설을 새로운 주거서비스 모델로 바꾸는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아래 변환사업)’ 시범사업을 첫 시행한다.

 

 

변환사업은 거주장애인이 지원주택 등 자립생활을 시작하고, 기존 거주시설은 폐쇄 후 지역사회 기반 주거서비스 기관으로 변환하는 사업이다. 장애인 개인의 탈시설을 시설 단위로 확대한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10월 중 서울시 관할 거주시설 43곳 중 공모를 통해 1곳을 선정해 시범사업 시행 후, 2022년까지 탈시설-자립생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1곳을 추가로 선정할 예정이다.

 

 

올해 선정된 거주시설 1곳은 법률·주택·복지 등 학계와 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컨설팅단3년간 거주인 탈시설, 종사자 고용연계, 이용인 전환 등의 전 과정을 지원한다.

공모 신청자격은 거주시설 폐지를 의결한 법인이다. 공모접수는 오는 929일까지 서울시청 장애인복지정책과에 방문접수하면 된다. 발표는 오는 1012일 예정이다.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서울소식-공고-입찰공고)와 장애인복지정책과(02-2133-7456)로 문의하면 된다.

 

 

서울시는 변환사업을 서울시 제2차 장애인거주시설 탈시설화 추진계획(2018~2022)’의 핵심 사업이라고 짚었다. 이 추진계획에서는 800명의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차 탈시설화 추진계획(2013~2017)‘으로 604명의 탈시설을 지원했지만 개인단위의 접근과 시설 폐지 후 종사자 고용문제 대한 대책이 부재하다는 한계가 있었다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제2차 탈시설화 정책에서는 보다 많은 장애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시설 중심으로 확대하고 장애인거주시설 참여를 적극 유도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변환사업은 법과 제도적 기반이 없어 풀어야 할 난제가 많은 사업이다. 그러나 탈시설은 장애인 인권정책이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다라며 정부와 장애계, 전문가, 법인, 시설, 종사자, 이용인 등 이해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탈시설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083&thread=04r0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현장의 젠더 불평등을 말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1.20 160
155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97
154 뉴스기사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57.8% 초등학교 이하… “특화된 교육권 확보” “생애주기별 맞춤형”, 결론은 &... 이음센터 2020.11.13 157
153 뉴스기사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휠체어 앞 ‘턱’…“들어가고파” 뿅망치로 쾅쾅 ‘1층이 있는 삶’ ... 이음센터 2020.11.13 147
152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151 뉴스기사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허현덕 기자 2020년 11월 10일 미신고시설 활동지원사 폭행 사망 사건 유족, 김경태 씨 개... 이음센터 2020.11.11 172
150 뉴스기사 마스크 쓰지 않고 치료받을 권리 file 이음센터 2020.11.05 157
149 뉴스기사 장애계 “어울림플라자 문제, 서울시교육청이 나서라” 촉구 file 이음센터 2020.11.03 141
148 뉴스기사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년 10월 21일 장애계, “지원주택법·주거약자법·탈시설지원... 이음센터 2020.10.29 299
14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146 뉴스기사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이가연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8일 코로나19로 장애인 생존 위기 왔... 이음센터 2020.10.29 142
145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144 뉴스기사 교육부의 ‘건강상태 자가진단’ 시스템, 시각장애학생 배제? file 이음센터 2020.10.27 278
143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들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이음센터 2020.10.20 260
142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내 ‘열사’ 규정 없어, 시급히 논의 필요” file 이음센터 2020.10.20 144
141 뉴스기사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대대적 홍보한 중증장애인 사업, 내년도 무산 위기 장애계 “장애인 생존권 보장하... 이음센터 2020.10.16 167
140 뉴스기사 유은혜 장관,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10.12 139
139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38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채용으로 기업 홍보하더니, 괴롭힘에는 모른 척? file 이음센터 2020.10.08 144
137 뉴스기사 [서평] 장애아를 낳는다는 것에 대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0.05 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