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모든 장애인은 시험응시할 수 없다는 한국애견협회

 

 

등록: 2021323

하민지 기자

 

 

장애계 명백한 장애인 차별”, 인권위 진정

경기도 군포시에 사는 청각장애인 ㄱ 씨는 지난 2, 국가공인 자격시험인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실기시험장에 갔다. 실기시험은 필기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응시할 수 있다. 필기시험은 지난해 11월에 응시했다. 그때도 감독관에게 장애인등록증을 보여줬지만 시험에 응시하는 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ㄱ 씨는 실기시험장에서 쫓겨났다. 장애인이라는 이유에서다. 감독관은 ㄱ 씨가 내민 장애인등록증을 확인한 후 장애인은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며 ㄱ 씨를 퇴실조치했다. 이후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실기시험 공고문에는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에서 규정한 장애인은 본 자격에 응시할 수 없음이라는 규정이 생겼다. 원래는 명시되지 않았던 규정이다.

이에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아래 장애벽허물기) 등 장애인권단체는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장애인권단체는 23일 오후 2, 서울시 중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애견협회의 행태는 장애인을 차별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1.png

 

ㄱ 씨가 응시했다가 퇴실조치됐던 1회 시험에는 장애인 응시제한 규정이 없었다. 2회 때 규정이 명시됐다. 사진 한국애견협회 시행공고문 갈무리

 

 

- “모든 장애인 응시 불가는 명백한 차별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2조에는 15가지의 장애 종류가 명시돼 있다. 자격증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애견협회는 이 시행령에 규정돼 있는 장애인은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상관없이 모든 등록 장애인은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는 것이다.

ㄱ 씨는 중년 이후 청력이 떨어져 청각장애 판정을 받았다. 보청기를 사용하면 잔존 청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메이크업 관련 일에 종사할 때도, 두 아이를 키울 때도 문제는 없었다. 그러다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취득해 애견미용실을 열겠다는 꿈을 가졌다. 애견미용학원에 등록해 수강하며 자격증 공부를 하는 데도 아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한국애견협회는 ㄱ 씨가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실기시험 응시기회를 주지 않았다. ㄱ 씨가 시험 공고문에서 장애인 응시제한 규정을 찾을 수 없었다고 따지자 한국애견협회 측은 홈페이지의 응시자격란에 명시돼 있다. 왜 공고문만 보고 홈페이지는 보지 않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2.png

청각장애인 애견미용사 안토니 씨가 수어로 자신이 하는 일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유튜브 'Seek the World' 채널 갈무리

 

 

청각장애인은 반려견 스타일리스트가 될 수 없을까? 텍사스에서 에이즐 펫 살롱이라는 애견미용실을 운영 중인 안토니 씨는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다. 그는 20193, 청각장애인인 자신이 어떻게 일하는지 설명하는 동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렸다.

영상에 따르면 안토니 씨는 문자언어로 고객과 소통한다. 반려견을 씻기고 털을 깎는 중에는 반려견 꼬리의 모양이나 흥분, 긴장 상태를 보고 컨디션을 확인한다. 동물을 사랑한다는 안토니 씨는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자신만의 애견미용실을 운영하고 있다.

 

3.jpg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수막에는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자격시험 청각장애인 응시 제한 차별진정'이라고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안토니 씨의 사례를 들며, 장애 종류와 정도에 따라 장애인도 충분히 반려견 스타일리스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철환 장애벽허물기 활동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청각장애인, 상체를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 등은 반려견 미용이 가능하다. 한국애견협회는 장애인 모두의 시험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조항을 삭제하고, 반려견 미용이 불가능한 장애인에 대해서만 다시 공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만호 원심회 회원도 한국애견협회를 규탄했다. 노 씨는 향후 반려견 스타일리스트 시험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조건에서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애견협회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애인권단체 활동가들은 기자회견이 끝난 후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한편, 한국애견협회에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장애인의 응시를 제한한 이유를 물었지만 회의 중이라며 정확한 답은 하지 않았다.

 

4.jpg

활동가들이 인권위에 진정서를 내고 있다. 사진 하민지

 

 

 

 

 

 

 

출처: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뉴스기사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어르신과 장애인들을 위해 문을 여는 슈퍼마켓 등록일: 2020년 03월 24일 슈트트가르트: 코로나 위기 기간 동안 일부 슈퍼마켓이 어르신... 이음센터 2020.03.30 234
195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196
194 뉴스기사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생필품 후원 관리부터 배달까지... 기존 업무 마비 주말 방문순회 이면에는 부족한 활동지원시간 문제... 이음센터 2020.03.12 200
193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192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응책이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로 리모델링? file 이음센터 2020.03.26 184
191 뉴스기사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코로나19 격리시설, 장애인은 못 들어간다 대구시 코로나19 격리시설 2곳 마련, 하지만 장애인은 이용 못 해 방법은 활동지원사와 자택 자가격리뿐… 활동... 이음센터 2020.03.02 301
190 뉴스기사 코로나19 10개월, 나는 코로나가 아닌 마스크와 싸움 중 file 이음센터 2020.12.08 149
189 뉴스기사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코로나 핑계로 기준중위소득 인상률 고작 2.68%… 역대 정부 중 가장 낮아 기재부, 명확한 근거 없는 압박으로 2차례 삭감 끝에 기본인상률 1%로 확정 회의... 이음센터 2020.08.03 169
188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8
187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186 뉴스기사 캐나다 장애인식개선 활동가 십대 ‘타이 영’ file 이음센터 2020.08.31 156
185 뉴스기사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카드론 대출받아 활동지원 시간 메꾸는데… 재심사 결과 ‘시간 삭감’ “내 장애는 그대론데 왜 활동지원 시간은 깎이는 거죠?” 중... 이음센터 2020.03.09 252
184 뉴스기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 하루16시간 제공 file 이음센터 2020.07.13 144
183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82 뉴스기사 청각장애인과 소통 거부한 이비인후과 의사, 인권위에 진정 당해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9
181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7
180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7
179 뉴스기사 질병 후,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달라졌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53
178 뉴스기사 지체/시각장애인용 실내 네비게이션 개발 장애인 '실내' 내비게이션? 장애인 국회의원들이 직접 나섰다  박지원 기자  승인 2021.04.29 18:05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이종... 이음센터 2021.05.10 225
177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 이음센터 2020.03.20 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