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김정은 기자

등록일: 2021420

 

 

 

 

 

1.jpg

지난 19일 문래역 1번 출구 앞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존엄한 시위` 후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모여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설명지난 19일 문래역 1번 출구 앞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존엄한 시위` 후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모여 사진을 찍고 있다.

"장애인 인식 개선 강사나 인권 강사로 활동하시면서 생활비를 충당하는 장애인 강사분들이 계셨는데, 지금 그런 것들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강사 활동을 하던 장애 여성들은 지금 거의 아무것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백혜련 장애여성네트워크 대표의 말이다. 20일은 제41회 장애인의날이다. 장애인 인권단체들은 이날을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라고 부른다.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오후4시 문래역 1번 출구 앞에서 장애인들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장애인들의 경제 생활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올해 집회에서는 노동권 보장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2.jpg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존엄한 시위`에서 한 참가자가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노동하고 싶다"는 팻말을 들고 있다.

 

 

"코로나 여파장애인 일자리 올스톱"

김성연 전국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사무국장은 "작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을 찾는 곳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말했다. 백 대표도 "사실 장애인 일자리란 것이 간단한 아르바이트 부업 이었는데 이 역시 어려운 상태"라고 밝혔다.

 

 

장애인은 평시에도 차별을 받아왔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송이란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국장은 "보호라는 미명 아래 최저임금조차 못받는 일자리가 장애인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여겨져왔다"며 구조적인 임금격차 문제를 제기했다. 다만 코로나 이후엔 최저임금도 못받는 일자리 역시도 구하기 힘들어졌다.

 

 

보건복지부가 20일 발표한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장애인이 받아들이는 자신의 경제적 계층 인식이 2년 전보다 낮아졌다.

 

 

자신을 경제적으로 `하층`이라고 인식하는 장애인은 지난해 69.4%2017(61.5%)보다 약 8%포인트 높아졌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모두 포함한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스스로를 하층이라고 보는 비율인 39.1%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

 

 

 

 

3.jpg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존엄한 시위` 참가자들의 모습.

 

 

"오랜 세월 집에만 있다가 일 하니 보람되고 즐거워"

장애인 인권 단체들은 장애인의 노동권 보장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이고 세심한 정책이 더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집회에서 만난 사람들 역시 작년부터 시행중인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이하 서울형)를 전국으로 넓히고 일자리수도 늘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울형이 그동안 비경제활동인구로 규정돼 노동권에서 배제돼 온 장애인의 노동권을 최초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장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형은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서도 노동취약계층인 최중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서울형은 지역사회와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주당 14~20시간 일한다. 장애 유형과 특성을 고려해 장애인 권익옹호 문화예술 장애인 인식개선 강사 등 3개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식이다. 정신장애를 갖고 있다고 밝힌 맹지영씨는 서울형 일자리 덕에 보람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김진석 씨도 "보람되고 즐거운 느낌이 들어서 좋았다""서울형을 더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김정은 매경닷컴 기자 1derland@mk.co.kr]

 

 

 

 

 

 

출처: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04/37953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뉴스기사 장애해방열사 44명이 바라던 세상, “우리가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8
155 뉴스기사 놀이는 누구의 것인가 file 이음센터 2020.12.02 208
154 뉴스기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 촉구 금천구청장 “루디아의집 3월 내로 시설폐쇄 예고 통보” 장애계와 약속 장애계, 금천구에 “소극적인 입장 버리고 적극적인 행정처분 나서라&rdq... 이음센터 2020.03.18 207
153 뉴스기사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수급비 52만 원으로는 최저 생존만 가능… 현실성 없는 생계급여 인상돼야 아들에... 이음센터 2020.07.06 206
152 뉴스기사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반복적인 인권침해 발생한 장애인거주시설 ‘폐쇄’ 결정 서울시, 문제시설 폐쇄하고 법인 설립 취소 예고 피해자 11명 중 다른 시설로 6명 전... 이음센터 2020.03.05 206
151 뉴스기사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칼럼] 안희제의 말 많은 경계인 등록일 [ 2020년03월03일 11시54분 ] 코로나바이러스-19 ⓒ픽사베이 코로나바이러스-19(아래 ... 이음센터 2020.03.04 206
150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CRPD 노동권 일반논평에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반영해야” file 이음센터 2021.03.26 205
14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5
148 뉴스기사 현장투표 거부당한 중증장애인, ‘옥천선관위’ 인권위에 진정 file 이음센터 2020.04.06 205
147 뉴스기사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거주인 탈시설 길 열리자 시설장이 탈시설-자립생활 방해 탈시설-자립생활 보장, 담당 사회복지사 업무 ... 이음센터 2020.03.20 205
146 뉴스기사 ‘노동 할 수 없는 몸’, 노동자라는 ‘성취 지위’를 갈망하다 file 이음센터 2020.04.16 203
145 뉴스기사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탈시설 주거모델로 주목받아온 지원주택, ‘주거서비스지원법&rs... 이음센터 2021.05.11 202
144 뉴스기사 장애계, 세종시에 “장애인 이동권·누리콜 노동자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2
143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4.1%만 자립정착금 지원 file 이음센터 2020.09.23 202
142 뉴스기사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장애인들 삭발까지 했는데…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결국 ‘외면’ 향후 3년 결정하는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에 의... 이음센터 2020.08.13 201
141 뉴스기사 남아공 청각장애인 전문 댄서 벨름씨 눈길 file 이음센터 2020.06.25 200
140 뉴스기사 장애를 당당히 드러내고 즐기는 사회가 되길.... file 이음센터 2020.06.24 200
139 뉴스기사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생필품 후원 관리부터 배달까지... 기존 업무 마비 주말 방문순회 이면에는 부족한 활동지원시간 문제... 이음센터 2020.03.12 200
138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이음센터 2020.04.01 199
137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