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5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복지관 비리·악행보다 못해 행동 나선 사회복지사들

김빛이나 기자 (kshine09@newscj.com)

 

 450578_425951_2724.jpg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복지현장의 노동인권침해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후원금 강요, 지인 일감 몰아주기, 폭언·폭행 등 자행돼

차마 외면하고 모른 척 할 수 없었다내부 고발 이어져

공공운수노조 복지시설 특별조사, 내부고발자 보호요청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사회복지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리와 악행을 보다 못한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관에서의 비리와 인권침해 사례를 밝히며 정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 사회복지지부는 19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인권유린과 폭언·폭행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며 종교의 강요와 후원금 강요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사회복지시설에서는 사회복지관 관장이 명절 선물을 직원들에게 강요하거나 근무시간 중 음주를 하고 사적인 심부름을 시키는 등 악행을 일삼았다.

또 복지관에서는 후원금을 강요하거나 허위 봉사시간 입력 지시, 지인 일감 몰아주기, 폭언·폭행, 대체휴무와 연장근로 수당 불인정과 차별, 복지 예산 사적 이용, 채용 비리, 인권침해, 노동탄압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했다.

 

 

사회복지사들은 복지관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폭로하며 노동인권침해 사회복지시설과 법인에 대한 특별조사 내부고발자 보호 대책 마련 법인 운영에 관한 행정지침·처벌기준 강화 사회복지노동자의 안전·노동권·인권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책 마련 사회복지시설 위탁운영 전면 재검토 등을 정부와 서울시에 요구했다.

기자회견에 나서기까지 많은 고민과 불안감이 있었다는 김기홍 마천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는 더 이상 복지계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복지 예산 부정사용과 갑질 문화에 대해 차마 외면하고 모른 척 할 수 없었다며 내부 고발을 이어갔다.

그는 관장의 복지관 사유화를 통한 개인 업무 지시, 종교 강요, 보조금·후원금 부정사용, 횡령 의혹 속에 저와 동료직원들은 무너져 갔다유능하고 열정 넘쳤던 동료 사회복지사들이 떠나가는 모습을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고 털어놨다.

이어 그 중에서도 가장 제 마음을 아프게 했던 것은 이 모든 사실을 알면서도 복지관 이용자, 후원자, 봉사자 그리고 사회복지사를 희망하는 후배들에게 현실을 숨기고 그저 거짓말 밖에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복지계 현실에 분하고 화가 난다고 했다.

그가 속한 마천종합사회복지관은 조계종사회복지재단에서 송파구청에 위탁을 받아 지난 201511일부터 운영되고 있다. 그는 지난 201511일부터 현재까지 마천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법인과 기관장 중심의 제왕적인 권력구조 안에서 관장이 악행을 저질렀을 때 그 누구도 관장을 견제할 수 없으며 이를 막을 시스템조차 구축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장과 법인에 대항하면 각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너무나 큰 부당한 처우가 내려지고 이 일들은 다른 사회복지기관에 공유된다사회복지계 블랙리스트에 오르면 다른 곳에서 사회복지사로서 재취업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호소했다.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다면 그저 사회복지사로서 일하고 싶다면 이러한 수많은 부정부패에 동조하고 그저 눈 감고 모른 척 할 수밖에 없다고용 형태의 불안으로 인해 부당한 지시를 받아도 사회복지사는 윤리적인 선택을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

 

 

450578_425953_2725.jpg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복지현장의 노동인권침해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장애인 생활시설인 루디아의 집에서 지난 2009년부터 일하고 있는 김수진씨는 직접 기자회견에 나오진 못했지만 글을 통해 자신이 겪은 사회복지시설의 부정부패를 폭로했다.

김씨는 지난 20154월 초과근무를 계산해달라는 건의와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해달라는 건의를 했다가 식당으로 근무지가 변경됐다. 이뿐 아니라 그는 조작된 인권침해 사안을 이유로 정직 2개월의 징계를 받았다. 복직 이후에도 근무가 쉽지 않았다.

그는 집단따돌림과 근로감시, 근로조건 불평등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 했다.

김씨는 루디아의 집에 근무하려면 말도 하지 말고 생각도 하지 말고 시키는 일만 하면 된다라는 식이라며 루디아의 집에서는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종사자에게는 자존감을 상실하게 하고 근로의욕을 떨어뜨리는 등 치졸한 방식을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김씨에 따르면 지난 201510루디아의 집원장과 사무국장, 생활팀장 등이 사기와 감금 혐의를 받아 송파구청의 고소로 재판을 받고 있다. 원장은 책임을 지고 사직했으나 사무국장과 생활팀장은 계속해서 근무하고 있다.

그는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동일한 근무지에서 근무하게 하는 것은 같은 근무지 종사자들과 이용자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업무 정지 등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강상준 공공운수노종조합 사회복지지부 지부장은 복지권은 헌법적 가치이고 국가가 앞장서서 책임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현실은 국가가 하지 못해 사회복지 법인이나 기타 법인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는 법인이 산하 시설이나 복지기관에게 그 업무를 위임하면서 공공성이나 투명성이 보장되지 못한 채 국가의 복지권이 시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더 당혹스러운 것은 사회복지기관에서 비리와 공금횡령과 인권탄압, 노동권 탄압이 자행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결국 피해를 받는 것은 일반 시민과 그곳에서 일하는 종사들이라고 말했다.

이날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 사회복지지부는 서울시 복지 관계자와 면담을 갖고 해결책 마련에 대한 의사를 전달했다.

한편 루디아의 집노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김씨의 발언에 대해 재판이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지만 노조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김씨가 징계를 받은 이유는 인권침해는 아니다. 또 본인은 그렇게 느꼈을지 모르지만 집단따돌림도 없었다라고 주장했다.

 

 

450578_425952_2724.jpg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복지현장의 노동인권침해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출처: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5057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뉴스기사 장애계, 세종시에 “장애인 이동권·누리콜 노동자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2
35 뉴스기사 장애해방열사 44명이 바라던 세상, “우리가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3.29 208
34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81
33 뉴스기사 장애인이 편의점도 못 가게 하는 법"..위헌심판제청 신청 file 이음센터 2021.04.13 187
32 뉴스기사 장애계 “오세훈, 정책 수용 때까지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투쟁” 선포 file 이음센터 2021.04.13 153
31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53
30 뉴스기사 [속보] 장애인운동 활동가들, 복지부 담벼락에 올라 장관 면담 요구 [속보] 장애인운동 활동가들, 복지부 담벼락에 올라 장관 면담 요구 강혜민 기자 등록일: 2021년 4월 21일 ‘탈시설’ 용어 부정하는 복지부 규탄하며 ... 이음센터 2021.04.21 173
29 뉴스기사 장애인 활동가 200명, 세종시 6차선 도로 점거 “장관 나와라” 장애인 활동가 200명, 세종시 6차선 도로 점거 “장관 나와라” 허민지 안희제 기자 등록일: 2021년 4월 20일 4개 정부부처 장관 면담 촉구하며 왕복 6... 이음센터 2021.04.21 244
28 뉴스기사 지체/시각장애인용 실내 네비게이션 개발 장애인 '실내' 내비게이션? 장애인 국회의원들이 직접 나섰다  박지원 기자  승인 2021.04.29 18:05  댓글 0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이종... 이음센터 2021.05.10 225
27 뉴스기사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지원주택 10만호’ 공대위 출범… 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탈시설 주거모델로 주목받아온 지원주택, ‘주거서비스지원법&rs... 이음센터 2021.05.11 204
26 뉴스기사 시설에 살고 싶은 사람도 있어요 에 대한 탈시설운동의 대답 file 이음센터 2021.05.18 250
25 뉴스기사 교육부, 올해 첫 장애인 고용부담금 내놓고 “반값 깎아 달라” 하민지기자 2021. 05. 28 15년간 한 번도 의무고용률 달성 못 한 교육부 이유는 “장애인 교원 찾기 어려워서” 하지만 교대 장애학생 모집비율, 의무... 이음센터 2021.06.01 329
24 뉴스기사 서울시, 65세 이상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시 추가’ 지원한다 허현덕기자 2021년6월8일10시12분 기존 활동지원 이용자, 만 65세 이후 월 100~200시간 시 추가 지원 시설 퇴소 만65세 이상 장애인, 월 120~320시간 지원&hellip... 이음센터 2021.06.09 238
23 뉴스기사 이재명 약속 지켜라_경기도 장애인들 도청오거리 버스점거-비마이너 “이재명 약속 지켜라”… 경기도 장애인들 도청오거리 버스점거 기자명 하민지 기자 입력 2021.06.14 21:26 댓글 1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 이음센터 2021.06.15 240
22 뉴스기사 장애인 의무고용 꼴찌 교육부 전체 고용부담금의 80% 냈다 장애인 의무고용 꼴찌 교육부… 전체 고용부담금의 80% 냈다 기자명 하민지 기자 입력 2021.06.21 19:52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 이음센터 2021.06.22 221
21 뉴스기사 오세훈 서울시장 내년도 장애계 예산확대 요구에 긍정적 오세훈 서울시장, 내년도 장애계 예산 확대 요구에 ‘긍정적’ 기자명 강혜민 기자 입력 2021.06.28 20:37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 이음센터 2021.06.29 303
20 뉴스기사 복지부 장관 면담 요구하던 활동가4명 연행...장관 면담하곘다 약속 복지부 장관 면담 요구하던 활동가 4명 연행… 장관 “면담하겠다” 약속 기자명 허현덕 기자 입력 2021.07.02 20:26 수정 2021.07.02 20:30 댓... 이음센터 2021.07.07 334
19 보도자료 장애인도 배제되지 않는 희망·행복·미래도시 영등포 2023년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촉구 기자회견 file 이음센터 2022.09.30 250
18 정책자료 유엔장애인권리협약 권고안 카드뉴스 file 이음센터 2022.12.26 267
17 보도자료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 개회식 개최 file 이음센터 2023.08.22 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