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계, 탈시설-자립생활 설립 취지 망각한 시설장 규탄
거주인 탈시설 길 열리자 시설장이 탈시설-자립생활 방해
탈시설-자립생활 보장, 담당 사회복지사 업무 배제 등 긴급구제 진정
 
등록일 [ 2020년03월19일 17시37분 ]
 
 

1584608817_83503.jpg 기자회견 참가자가 ‘도란도란 원장님! 저희의 탈시설을 막지 말아주세요!’라고 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허현덕
 

장애계가 ‘장애인거주시설 도란도란 시설장의 방해로 거주인들의 탈시설-자립생활이 지연되고 있다’고 규탄하고,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에 긴급구제를 신청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서울장차연) 등 5개 장애단체는 19일 오후 2시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을 방해하는 시설장에 대한 조사와 피해를 받고 있는 거주인과 직원의 긴급구제를 호소했다.

 

도란도란(서울시 관악구 소재)은 거주인 대다수가 학대 피해당사자로, 2009년 설립 당시부터 탈시설-자립생활을 목적으로 세워졌다. 당시에는 쉼터 설립 근거가 없어 장애인생활시설로 등록되었다. 도란도란의 시설정원은 20명이고, 그동안 지속적인 탈시설-자립생활로 현재 11명의 거주인이 있다. 직원은 8명이다.

 

지난해 12월 18일, 허 아무개 씨를 비롯한 진정인 5명은  SH서울주택도시공사(아래 SH) 전세 임대주택에 선정됐다. 오는 3월 31일까지 집 계약을 마치면 자립생활을 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다른 거주인 3명도 탈시설이 예정돼 있는 상황이다. 계획대로라면 도란도란에는 4월부터 탈시설에 대한 의사가 불명확한 3명의 거주인만 남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2016년부터 장애인거주시설 신규 입소를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란도란의 정원이 3명으로 줄어들 경우를 대비해 시설의 기능변환, 직원의 고용승계 등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도란도란에서는 김치환·강자영 사회복지사 두 명을 제외하고는 거주인의 탈시설-자립생활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1584609567_97601.jpg 이 시설장이 지난 12월 23일 거주인의 가족과 후견인에게 보낸 편지. 사진 진정인들 제공
 

두 명의 사회복지사는 거주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을 방해하는 중심인물로 이 아무개 시설장을 지목했다. 도란도란의 운영법인은 대한성공회서울교구 사회복지재단(아래 성공회재단)으로 이 시설장은 지난해 3월에 부임했다. 사회복지사들은 거주인들이 SH전세 임대주택에 선정된 이후부터 이 시설장의 탈시설-자립생활 업무 방해가 심해졌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 시설장이 지난해 12월 23일 거주인의 가족과 후견인에게 보낸 편지를 증거로 제시했다. 편지에는 △당사자 의사 미확인, 정확한 욕구조사 필요 △가족과 후견인의 충분한 정보와 동의하에 자립 추진 △시설의 정상적인 업무 속에서 탈시설이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관악구의원들에게도 ‘거주인들이 탈시설의 희생양이 되는 것은 아닌지, 투쟁의 명분이나 수단이 되어버리는 것은 아닌지 고민’이라는 글을 보내기도 했다.

 

현재 김치환·강자영 사회복지사는 탈시설-자립생활 업무에 대한 조직적 방해와 압박에도 지원업무를 이어가고는 있으나,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거주인들의 탈시설-자립생활이 지연되는 것에 큰 우려를 나타냈다.

 

강자영 사회복지사는 “도란도란 거주인들은 10년이나 같은 지역에 살면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은행, 커피숍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에서 관계망을 형성해왔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망 형성은 거주인들이 시설에서 계속 살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며 “이제 거주인들이 자립해서 보다 나은 삶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길이 열렸는데, 시설장과 일부 직원들이 자신의 잣대로 본인의 의사 없음, 퇴소 절차 강화 등을 내세우고 자립 후 지원마저 부정하고 있다. 나아가 탈시설한 당사자를 골칫거리 취급하고 문전박대를 하며 거주자 간에 상처를 주는 일도 서슴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김치환 사회복지사는 “거주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있는 이 아무개 사제(시설장)는 성직자의 양심을 운운하고 있다. 탈시설-자립생활 업무를 담당하며 고군분투했던 실무자를 업무에서 배제하고 따돌리고 숨어서 직원을 이간질하는 게 성직자의 양심인가?”라며 “이번 인권위 진정이 우리 사회복지사들의 구제뿐 아니라 거주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끝까지 주목해달라”고 당부했다.

 

1584608873_56554.jpg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5개 장애단체는 19일 오후 2시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을 방해하는 시설장 조사와 피해를 받고 있는 거주인과 직원의 긴급구제를 호소했다. 사진 허현덕

 

이들 사회복지사들은 성공회재단에 시설의 탈시설-자립생활 방해에 대해 진정했지만, ‘시설장의 권한으로 해결하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장애계는 시설장이 성공회재단이라는 종교단체의 존재 의미와 장애인의 탈시설-자립생활의 진정한 의미를 망각했다고 비판하며, 인권위의 엄중한 권고를 촉구했다.

 

서기현 서울장차연 공동대표는 “도란도란이 탈시설-자립생활을 목적으로 세워진 시설인데도 시설장과 직원들이 이를 방해한다고 하는데, 믿을 수가 없다”며 “누구나 시설에서 나와 사회에서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시설장을 비롯한 직원들이 장애인의 권리를 단순히 일자리 수단으로 여기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 장애인의 탈시설-자립생활 권리를 막지 말라”고 비판했다.

 

문애린 서울장차연 공동대표는 “성공회재단은 시민들이 보편적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종교단체임에도 오히려 거주인들의 탈시설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종교단체라면 거주인들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인권위도 이러한 취지에 맞는 엄중한 권고를 내리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 이들은 인권위에 긴급구제 진정서를 접수했다.

 

1584608924_50803.jpg 진정인들이 인권위에 긴급구제 진정서를 접수하고 있다. 사진 허현덕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14482&thread=04r1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현장의 젠더 불평등을 말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1.20 160
155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97
154 뉴스기사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57.8% 초등학교 이하… “특화된 교육권 확보” “생애주기별 맞춤형”, 결론은 &... 이음센터 2020.11.13 157
153 뉴스기사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휠체어 앞 ‘턱’…“들어가고파” 뿅망치로 쾅쾅 ‘1층이 있는 삶’ ... 이음센터 2020.11.13 147
152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151 뉴스기사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허현덕 기자 2020년 11월 10일 미신고시설 활동지원사 폭행 사망 사건 유족, 김경태 씨 개... 이음센터 2020.11.11 172
150 뉴스기사 마스크 쓰지 않고 치료받을 권리 file 이음센터 2020.11.05 157
149 뉴스기사 장애계 “어울림플라자 문제, 서울시교육청이 나서라” 촉구 file 이음센터 2020.11.03 141
148 뉴스기사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년 10월 21일 장애계, “지원주택법·주거약자법·탈시설지원... 이음센터 2020.10.29 299
14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146 뉴스기사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이가연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8일 코로나19로 장애인 생존 위기 왔... 이음센터 2020.10.29 142
145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144 뉴스기사 교육부의 ‘건강상태 자가진단’ 시스템, 시각장애학생 배제? file 이음센터 2020.10.27 278
143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들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이음센터 2020.10.20 260
142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내 ‘열사’ 규정 없어, 시급히 논의 필요” file 이음센터 2020.10.20 144
141 뉴스기사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대대적 홍보한 중증장애인 사업, 내년도 무산 위기 장애계 “장애인 생존권 보장하... 이음센터 2020.10.16 167
140 뉴스기사 유은혜 장관,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10.12 139
139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38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채용으로 기업 홍보하더니, 괴롭힘에는 모른 척? file 이음센터 2020.10.08 144
137 뉴스기사 [서평] 장애아를 낳는다는 것에 대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0.05 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