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뉴스기사
2020.03.23 09:43

[시선]코호트 격리와 ‘이미’

조회 수 1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선]코호트 격리와 이미

 

 

김도현 <장애학의 도전> 저자

 

 

입력 : 2020.03.20 20:44

 

 

l_2020032101002646400221171.jpg 

 

어쩌다 보니 몇 해 전부터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운영하는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 심의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가까스로 대학을 졸업하고 줄곧 사회운동만 해왔던 나는 코호트라는 학술 용어를 이 회의에서 처음 접했고, 그 뜻을 잘 몰라 티 안 나게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한 기억이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이제 코호트는 전 국민이 다 아는 단어가 되었다. ‘코호트 격리라는 말을 통해서.

 

 

코호트 격리라는 표현을 처음 들었을 때, 나는 이 말이 뭔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적어도 그 대상이 되고 있는 어떤 사람들에 대해선 말이다. 코호트는 공통적인 특성이나 경험을 지닌 인구 집단을 말하고, 격리는 지역사회로부터 차단됨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짧게는 몇 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까지 지역사회와 단절된 삶을 강제당했던 정신장애인과 중증장애인들은 사실 이미코호트 격리 상태에 있었던 셈이다. 이미 격리되어 있던 이들을 동일한 장소에서 다시 격리한다는 건, 마치 두 번 죽인다는 말처럼 한편으로는 모순되고 또 한편으로는 무참하게 들렸다. 첫 코호트 격리는 모두가 알다시피 청도대남병원의 정신병동에서 이루어졌고, 그런 조치 속에서 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그들은 실제로 사회적 존재로서 한 번 죽임을 당하고, 다시 생물학적 존재로서 두 번 죽임을 당했다. 그러고서야 그 격리에서 해제될 수 있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3월 들어 경기도, 대구시, 경상북도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소위 예방적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런 조치가 합당하고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비판적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단체들도 있는데, 그중 한 곳이 한국사회복지사협회다. 협회는 지난 10사회복지시설의 예방적 코호트 지정 전국적 확대를 반대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지자체 홈페이지의 민원 게시판과 사회복지사들의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비좁은 공간에 뒤엉켜 쪽잠을 자고’ ‘집에도 못 가고’ ‘제 시간에 씻지도 못하고’ ‘똑같은 밥을 먹고와 같은 내용의 원성과 호소가 이어졌다. 길지는 않지만 8개월의 감옥살이를 해본 나는 그들의 고통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그런데 말이다. 그건 또한 시설에 수용된 장애인들이 이미경험해왔던 삶이기도 하다. 탈시설한 장애인들이 그 안에서의 삶을 몸서리치며 들려줄 때, 나는 그 짧은 감옥살이 덕분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었다.

 

 

 

많은 이들이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단순히 의료적 차원의 문제가 아님을, 우리 사회가 기존에 지니고 있던 문제들이 불거져 나오고 있는 것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힘든 시간이 지나고 나면, 우리는 그렇게 이미존재해왔던 문제들을 반드시 검토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밟아야 할 것이다. 그중 우선순위에 놓여야 할 것 하나가 탈시설 문제임을 이 사회가 잊지 않기 바란다. 문재인 정부 역시 커뮤니티 케어(지역사회 통합돌봄)가 복지개혁의 중심축이 되어야 함을 이미천명하지 않았던가. 아무런 제도적 뒷받침을 하고 있지 않을 뿐. 그러고 보니 시설을 뜻하는 영어 단어 ‘institution’은 또한 제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시설에서 격리된 삶을 살아야 했던 건, 제도의 문제이지 장애인들의 문제가 결코 아니라는 말이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3202044035&code=990100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정책자료 [자료집]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정책 5년 평가 토론회 file 이음센터 2024.04.01 9
215 보도자료 [성명서] 오세훈 시장의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위반! “서울시는 장애인을 의학적 기준으로 판정하고, 더 촘촘히 감금하는 ‘시설수용 지원절차’를 즉각 중단하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 권달주, 박경석, 윤종술, 최용기, 최진영(권한대행) 전화 02-739-1420 | 팩스02-6008-5101 | 메일 sadd@daum.net | 홈페... 이음센터 2024.03.15 10
214 정책자료 [자료집] 제2차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정책제안 토론회 file 이음센터 2024.04.01 11
213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14
212 뉴스기사 [영등포투데이]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 요구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 요구 기자명 박성열기자    승인 2024.03.30 12:05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 이음센터 2024.04.01 27
211 정책자료 [자료집] 유엔장애인권리협약과 서울시 장애인 탈시설 정책 토론회 file 이음센터 2024.04.01 31
210 보도자료 “전장연은 폭력 조장 단체가 아니다!” 하태경의원은 낙인찍기 혐오정치인이다!” -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 피고발자 합동 출석 기자회견   [보도자료]“전장연은 폭력 조장 단체가 아니다!” 하태경의원은 낙인찍기 혐오정치인이다!” -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 피고발자 합동 출석 기자회견 상임공동대표 ... 이음센터 2023.08.22 57
209 정책자료 알기 쉬운 유엔 탈시설 가이드라인 file 이음센터 2023.08.22 69
208 뉴스기사 전장연-오세훈 서울시장,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전장연-오세훈 서울시장,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7월 1일부터 탈시설 제도 손질 나선 서울시 활동지원시간 삭감하고 권리중심공공일자리 훼손 “탈시설 비용 많... 이음센터 2023.08.29 71
207 보도자료 오세훈 서울시장 대화 파기 규탄 및 장애인 권리예산 쟁취 결의대회 [보도자료] 오세훈 서울시장 대화 파기 규탄  및 장애인 권리예산 쟁취 결의대회   상임공동대표 : 권달주, 박경석, 윤종술, 최용기, 최진영(권한대행) 전화 02-7... 1 이음센터 2023.08.29 79
206 뉴스기사 이음IL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 개최 이음IL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 개최 기자명백민 기자   입력 2023.08.18 13:19   수정 2023.08.18 14:54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소... 이음센터 2023.08.29 87
205 보도자료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경이로운 탈시설 이야기-’ 개회식 개최 file 이음센터 2023.08.22 88
204 뉴스기사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하민지 기자 | 입력 2023.07.11 15:14 |수정 2023.07.11 15:46   기자명 하민지 기자     입... 이음센터 2023.08.22 90
203 뉴스기사 복지TV뉴스24 _ 제12회 이음여행, ‘그들이 말하는 자립생활’ / 2023.08.30 이음센터 2023.08.31 104
202 뉴스기사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차별의 꼬리표를 평등의 깃발로 만드는 순간 인권으로 읽는 세상 평등으로 연결되는 전국순회 평등버스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차별금지... 이음센터 2020.09.21 108
201 뉴스기사 [서울뉴스][리포트]시설을 벗어나 자립해요 이음장애인자립센터, 제12회 이음여행 개최 이음센터 2023.08.31 111
200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114
199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7
198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lsquo;감염병 예방&rsquo;, &lsquo;권력기관 보호&rsquo;, &lsquo;소음&rsquo;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119
197 뉴스기사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 결정한 포항시 file 이음센터 2021.02.09 1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