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울시, ‘시설단위 장애인 탈시설 모델개발 나선다

 

 

개인단위 탈시설 지원 시설단위 탈시설 지원으로 확대

올해 1곳 시범사업 시행, 2022년까지 2곳으로 늘릴 계획

 

 

등록일: 20200318

 

 

1584516565_60054.jpg

서울시. 사진 박승원

 

 

 

서울시가 시설 단위 탈시설 모델 개발등이 담긴 탈시설 추진계획을 선보이며 탈시설 정책에 속도를 낼 것을 공언했다.

 

18일 서울시는 서울시 제2차 장애인거주시설 탈시설화 추진계획('18~'22)’에 따른 장애인탈시설 정책 계획을 밝혔다. 서울시가 제시한 올해 주요 추진 사업은 시설 단위 탈시설 모델 개발(장애인 거주시설 변환 시범사업)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주거기반 확대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활동지원 확대 자립 초기 장애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 확대 탈시설 종단연구 등이다.

 

-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설 단위탈시설 모델 개발

 

서울시는 올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설 단위 탈시설 모델을 개발한다. ‘시설 단위 탈시설 모델개발은 장애인 지역 거주모형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장애인거주시설(아래 거주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거주시설 거주인 전원을 지원주택이나 자립생활주택으로 이전하고 자립생활을 완료한 후에 해당 거주시설을 새로운 용도로 기능전환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공모를 통해 시설단위 탈시설 모델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거주시설 1곳을 선정한다.

 

서울시는 시설 단위 탈시설 모델 시범사업에서는 특히 종사자들의 고용승계, 시설법인의 목적사업 변경 등을 위한 행정절차 등 시설 폐지·전환으로 인한 법인의 부담 해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장애인거주시설 폐지·변환 전 과정을 매뉴얼화해서 향후 시설폐지를 희망하는 시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까지 시설단위 탈시설 기관을 2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 주거기반 확대

 

서울시는 지원주택을 지난해 68호에서 올해 60호를 늘린 128호를 공급한다. 장애인이 독립하기 전 자립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자립생활주택도 총 79호로 지난해보다 5호 더 늘린다.

 

이 밖에도 지난해부터 시범운영 중인 중·고령 그룹홈의 특화서비스 기준을 마련하고, 탈시설 장애인의 이용시설과 낮 활동 운영기관을 확대하는 등 지역중심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활동지원 확대

 

서울시는 활동지원서비스 시간을 지난해 월 50시간에서 월 최대 120시간으로 늘린다. 또한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는 시비를 투입해 월 120시간(지난해 월 50시간)까지 확대 지원한다.

 

활동지원서비스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지원을 위해 서울시 사회서비스원과 업무협약을 맺어 지역사회 네트워크 간 연계를 강화한다. , 낮활동 프로그램 확대 운영과 연계해 지역사회 이용시설 3곳을 신규로 확충한다.

 

- 자립 초기 장애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 확대

 

장기간 시설에서 살다 퇴소하는 장애인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퇴소자 정착금은 지난해보다 100만 원 늘어난 1,300만 원을 지원한다. 전세보증금은 전년 대비 3천만 원을 늘려 15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서울시는 2018년부터 시작한 탈시설 종단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연구에서는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실태와 삶의 변화 등 삶의 전 영역을 시간 경과에 따라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분석해 탈시설 정책 보완·강화를 위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서울시는 장애인의 탈시설 실행의지를 높이기 위해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와 이용인(보호자)에 대한 탈시설 정보제공 교육확대 지원주택이나 자립생활주택에 대한 현장체험 등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강병호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탈시설은 장애인 인권 정책 중 가장 핵심적인 목표다. 장애인들이 집단시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거주하기보다는 지역사회로 복귀해 안정적으로 조화롭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서울시의 역할이라며 이를 위해 서울시는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 시설 운영법인과 종사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신뢰받는 탈시설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14479&thread=04r0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55
215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57
214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213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12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60
211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210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71
20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8
208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84
20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8
206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20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70
204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7
20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6
202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201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50
200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14
19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6
198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4
197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