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 송국현씨 장례, 복지부 사과 때까지 무기한 연기
장례준비위원회, 복지부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대책 촉구20일, 추모결의대회 후 복지부 장관 집까지 행진
 

 

                                                                                                              등록일 [ 2014년04월18일

 
 

 

13978170422265.jpg
▲장애등급제 희생자 고(故) 송국현 동지 장례위원회는 고인의 빈소가 있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18일 낮 2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의 죽음을 ‘장애등급제로 인한 희생’이라 규정하며 ‘장애인장’으로 치르겠다고 밝혔다.

 


고 송국현 씨 장례가 무기한 연기됐다. 장애인계는 고인의 죽음에 대해 보건복지부가 공식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을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등급제 희생자 故 송국현 동지 장례위원회'는 고인의 빈소가 있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18일 낮 2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의 죽음을 ‘장애등급제로 인한 희생’이라 규정하며 ‘장애인장’으로 치르겠다고 밝혔다.

 

24년 동안 장애인생활시설에 살다 지난해 10월 시설에서 나온 고인은 대부분의 일상생활에 활동지원이 필요했다. 그러나 2월에 받은 장애등급재심사에서 또다시 뇌병변장애 5급, 언어장애 3급의 중복 장애 3급 판정을 받아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할 수 없었다.

 

결국 지난 13일 고인은 집에 홀로 있다 발생한 화재로 사망에 이르렀다. 고인은 불이 났음에도 타인의 도움 없이는 걷는 게 힘들어 사고 현장에서 빠져나오지 못했으며, 심한 언어장애로 주변에 도움도 청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의 집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발견한 집주인의 신고로 고인은 화재 현장에서 구조돼 중환자실로 후송됐으나 나흘 뒤인 17일 새벽 6시 40분경 끝내 숨졌다.

 

그러나 고인의 죽음에 대해 복지부는 사과가 아닌 ‘유감’ 표현만을 보내온 상태다. 이후 대책에 대해서도 아무런 답변이 없었다.

 

따라서 장례위원회는 △복지부 문형표 장관의 공식 사과 △활동지원제도의 장애등급제한 즉각 폐지 및 24시간 지원 보장 △탈시설 장애인 긴급지원 대책 마련 △예산이 수반된 장애등급제 폐지 계획 수립 △부양의무제 폐지 등을 촉구했다.

 

 

13978171912587.jpg
▲장례위원회는 고인의 죽음에 대해 보건복지부가 공식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을 때까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남병준 정책실장은 지난 3월 28일 정부가 내놓은 2014년 장애인정책 발표에 대해 “구체적 계획도, 예산 편성도 되어 있지 않은 정치적 쇼”라고 잘라 말했다.

 

정부는 지난 3월 28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4차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에서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신청자격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1, 2급 장애인만 신청할 수 있는 것을 3급 장애인 1만 명, 4~6급 장애인 5천 명에게 열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장애등급제 역시 이를 대신할 종합판정체계를 만들어 빠르면 2016년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남 정책실장은 “이는 등급제를 없애고 다른 저울로 장애등급을 판정하겠다는 것”이라며 “복지부는 다른 관계 부처와 함께 장애등급제 폐지를 위한 장애인계와의 논의 테이블을 마련하라”라고 촉구했다.

 

장례위원회는 19일 낮 2시 보신각에서 ‘장애등급제가 송국현을 죽였다! 장애등급제 희생자 故 송국현 동지 추모 결의대회’를 진행한 후 대학로 마로니에공원까지 행진해 저녁 7시 문화제를 진행한다.

 

이들은 대학로에서 1박 농성을 한 뒤 이른 10시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 송국현 씨 추모제 및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이어 낮 12시에는 20가지의 장애인의 요구를 담아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촉구하는 ‘희망고속버스 투쟁’을 진행한 뒤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문형표 복지부 장관 집까지 행진해 고인의 죽음에 대한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대책을 요구할 계획이다.

 

또한 고인의 장례가 치러질 때까지 매일 정오부터 1시까지 복지부 장관 집 앞에서 공식사과를 촉구하는 1인 시위와 함께 저녁 8시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촛불문화제를 진행한다.

 

장례위원회는 고인의 장례를 치르는 데 뜻을 함께하는 장례위원도 모집하고 있다. 단체와 개인 모두 참여할 수 있으며 공동장례위원장은 10만 원, 장례위원의 경우 단체는 5만 원, 개인은 1만 원을 입금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 10월 시설에서 나온 고 송국현 씨는 지금까지 연고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망 과정에서 경찰의 조사로 유가족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장연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유가족 또한 이것이 개인의 죽음이 아닌 사회적 타살이란 것에 대해 인정했다”라며 “이 부분을 잘 알려서 고인을 평안하게 보내주자”라고 전했다.

 

- 故 송국현 동지 장례위원회 장례위원 모집 http://bit.ly/1hSWkLJ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6750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뉴스기사 김재순 장애인·청년·노동자의 죽음… 장애계 “사회적 타살” file 이음센터 2020.06.09 144
75 뉴스기사 정부, 3차 추경안에서 발달장애인 지원 예산 100억 원 삭감 file 이음센터 2020.06.08 146
74 뉴스기사 온라인 강의에서 소외당하는 장애인 대학생들 ‘학습권 보장’ 촉구 온라인 강의에서 소외당하는 장애인 대학생들 ‘학습권 보장’ 촉구 코로나19로 수면 위에 오른 장애인 학습권 문제 “똑같이 수업 듣고 싶다&rdq... 이음센터 2020.06.05 232
73 뉴스기사 ‘비장애인 시청권’ 핑계 대며 뉴스 수어통역 방송 거부하는 KBS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0
72 뉴스기사 서울시·금천구, 5월 말경 행정처분… 시설 폐쇄 후 거주인 지원에 집중 file 이음센터 2020.06.04 126
71 뉴스기사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장애인고용법 시행령 개정안 즉각 철회하라 [성명]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5월 15일) 등록일 : 2020년 05월 15일 고용노동부는 지난 4월 24일 장애인고용촉진 ... 이음센터 2020.06.03 165
70 뉴스기사 올해 65세 활동지원 끊긴 최중증장애인, 서울시가 지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01 155
69 뉴스기사 ‘사회적 거리두기’ 한국수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file 이음센터 2020.05.27 120
68 뉴스기사 자폐성 장애인과 가까워지는 7걸음 매년 4월 2일은 세계 자폐성장애 인식의날 (세계 자폐인의 날)입니다. 처음 만난 사람과 대화할 때,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쓰시나요?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공... 이음센터 2020.05.26 161
67 뉴스기사 휠체어 타고 레트로 감성여행 '서천 판교마을’ file 이음센터 2020.05.25 245
66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181
65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7
64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116
63 뉴스기사 ‘나를 보라’ 제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file 이음센터 2020.05.18 150
62 뉴스기사 서울시, 드디어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만든다 file 이음센터 2020.05.15 177
61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60 뉴스기사 신길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 2심에서도 유족 승소 file 이음센터 2020.05.14 174
59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193
58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57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