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인 활동가 200, 세종시 6차선 도로 점거 장관 나와라

 

 

허민지 안희제 기자

등록일: 2021420

 

 

4개 정부부처 장관 면담 촉구하며 왕복 6차선 도로 점거
경찰, 과잉진압하며 폭력행사
장관 면담 약속은 못 받아냈지만 끝까지 투쟁할 것결의

   

 

 

 

세종시 B3 버스 아래에 세 명의 활동가가 엎드려 있고, 뒤에는 방패를 든 경찰들이 서 있다. 버스 앞에는 활동가가 타고 있다가 내린 빈 휠체어가 놓여 있고, 버스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패차시 저상버스 도입의무화’라고 적힌 스티커들이 붙어 있다. 엎드린 활동가의 피켓에는 ‘투쟁없는 삶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라는 문장이 적혀 있다. 사진 안희제

세종시 B3 버스 아래에 세 명의 활동가가 엎드려 있고, 뒤에는 방패를 든 경찰들이 서 있다. 버스 앞에는 활동가가 타고 있다가 내린 빈 휠체어가 놓여 있고, 버스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패차시 저상버스 도입의무화’라고 적힌 스티커들이 붙어 있다. 엎드린 활동가의 피켓에는 ‘투쟁없는 삶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라는 문장이 적혀 있다. 사진 안희제

건물 옥상에서 찍은 점거된 도담동 왕복 6차선 도로의 전경. 한쪽은 경찰들이 나란히 서서 길을 통제하고 있고, 뒤로는 9대의 경찰 버스, 중간에는 점거된 B1, B3 버스가 있다. 버스를 중심으로 활동가들이, 인도에는 시민들이 있다. 사진 하민지

건물 옥상에서 찍은 점거된 도담동 왕복 6차선 도로의 전경. 한쪽은 경찰들이 나란히 서서 길을 통제하고 있고, 뒤로는 9대의 경찰 버스, 중간에는 점거된 B1, B3 버스가 있다. 버스를 중심으로 활동가들이, 인도에는 시민들이 있다. 사진 하민지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맞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등 장애인운동 활동가 200여 명이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 한누리대로 왕복 6차선을 막고,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했다.   

활동가들은 20일 오후 1시 20분경, B1버스와 B3버스를 한 대씩 점거하고, 주요 정부부처 장관 면담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긴 현수막 여러 장을 펼쳤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활동가들은 버스 밑으로 기어들어가 버스의 출발을 막았다. 그사이 다른 활동가들이 버스 두 대에 피켓 수십 장을 붙였다. 이후 왕복 6차선 전체를 점거하자 차량 수십 대가 진입을 방해하지 말라며 경적을 울려댔다.

한 활동가가 B1 버스 아래에 엎드려 피켓을 들고 있다. 피켓에는 ‘손에 손잡고 시설 넘어서’라고 적혀 있고, 뒤에는 빈 휠체어가 한 대 있다. 사진 하민지

한 활동가가 B1 버스 아래에 엎드려 피켓을 들고 있다. 피켓에는 ‘손에 손잡고 시설 넘어서’라고 적혀 있고, 뒤에는 빈 휠체어가 한 대 있다. 사진 하민지

경찰 십여 명이 B3 버스 앞에 있는 두 명의 활동가를 에워싸고 내려다보고 있다. 뒤로는 다른 활동가들, 그리고 경찰의 방송 차량이 보인다. 사진 안희제

경찰 십여 명이 B3 버스 앞에 있는 두 명의 활동가를 에워싸고 내려다보고 있다. 뒤로는 다른 활동가들, 그리고 경찰의 방송 차량이 보인다. 사진 안희제

이 과정에서 경찰 수백 명이 출동해 활동가들을 과잉 진압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 활동가를 향해 “못 움직이게 휠체어 잡아”라고 하며 휠체어를 통째로 들어서 활동가를 끌어냈다. 경찰은 한 활동가의 목에 감겨 있는 쇠사슬을 무차별하게 양옆으로 잡아당겨 위험한 상황을 만들거나, 장애인 활동가를 향해 “장애인 쳐다보지 마. 관심 주면 더 해”라며 모멸감을 주는 언행을 일삼았다. 일부 활동가는 경찰의 과잉진압 때문에 신체일부가 긁혀 다치기도 했다.

한 시민은 장애인이 버스를 왜 못 타냐고 활동가들에게 항의하거나 장애인콜택시를 타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전을 경유하는 B1버스와 청주시까지 가는 B3버스는 전부 비장애인만 탈 수 있는 ‘계단버스’다. 활동가들은 이 버스를 ‘차별버스’라고 부르며 점거했다. 

한 활동가가 B3 버스 밑에 얼굴을 넣고 투쟁하고 있다. 사진 하민지

한 활동가가 B3 버스 밑에 얼굴을 넣고 투쟁하고 있다. 사진 하민지

목에 쇠사슬을 두른 활동가를 경찰이 위험하게 진압하고 있다. 활동가는 괴로워 하는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 하민지

목에 쇠사슬을 두른 활동가를 경찰이 위험하게 진압하고 있다. 활동가는 괴로워 하는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 하민지

경찰 두 명의 어깨 뒤로 B3 버스에 붙은 피켓이 보인다. 피켓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라고 적혀 있다. 사진 강혜민

경찰 두 명의 어깨 뒤로 B3 버스에 붙은 피켓이 보인다. 피켓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라고 적혀 있다. 사진 강혜민

- 6차선 막고 4개 정부부처 장관 면담 요구하는 이유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은 B3버스 밑으로 기어들어가 ‘장애인은 탈 수 없는 차별버스’임을 알리며 차량의 운행을 저지했다. 이 회장은 “투쟁을 해야만 우리의 목소리를 조금이라도 들어주는 현실이 개탄스럽다. 각 장관은 어서 나와서 우리의 요구를 수용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각 부처 장관 면담과 함께 △보건복지부는 UN장애인권리협약에 명시된 ‘탈시설’ 용어 부정 말 것 △고용노동부에는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제도화 및 중증장애인 최저임금 적용제외 조항 폐지 △국토교통부에는 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 및 특별교통수단 지역 간 차별 철폐 △기획재정부에는 지방정부에 예산 떠넘기기 그만하고 장애인예산을 책임질 것 등을 요구했다.

복지부는 현재 ‘탈시설’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탈시설지원법 발의안에 있는 ‘10년 내 탈시설 추진’ 조항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지부가 장애계 대표단과 지난달 진행한 면담에서 장애계가 탈시설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냐고 재차 질문했지만 복지부 장애인정책국은 ‘국장 선에선 결정할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에 관해 변재원 전장연 정책국장은 “복지부는 시설정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인가. 그간 복지부는 장애인의 삶을 장애인거주시설에 떠넘겨 왔다”면서 “‘탈시설’이란 말을 받아들이게 되면 복지부는 장애시민을 향한 지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책임 있게 해야 하므로, 탈시설이란 말을 피하고 ‘지역사회 통합’이란 말로 뭉뚱그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활동가들은 ‘도담동 도래마을’ 정류장에 스티커로 된 피켓 수십 개를 붙였다. 정류장 의자에 시민 여러 명이 앉아 있다. 사진 하민지

활동가들은 ‘도담동 도래마을’ 정류장에 스티커로 된 피켓 수십 개를 붙였다. 정류장 의자에 시민 여러 명이 앉아 있다. 사진 하민지

버스정류장 기둥에 ‘대한민국은 기획재정부 나라이냐!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개정 수용하라! 버스 대-패차시 저상버스도입의무화, 특별교통수단 지역간 차별철폐, 중앙정부 예산 보장’이라고 적힌 넓은 스티커가 붙어 있고, 그 뒤로 발언하고 있는 활동가와 집회 현수막들이 보인다. 사진 안희제

버스정류장 기둥에 ‘대한민국은 기획재정부 나라이냐!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개정 수용하라! 버스 대-패차시 저상버스도입의무화, 특별교통수단 지역간 차별철폐, 중앙정부 예산 보장’이라고 적힌 넓은 스티커가 붙어 있고, 그 뒤로 발언하고 있는 활동가와 집회 현수막들이 보인다. 사진 안희제

장애인 활동가들이 B3 버스 밑에 엎드려 있다. 버스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라고 적힌 피켓들이 덕지덕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장애인 활동가들이 B3 버스 밑에 엎드려 있다. 버스에는 ‘비장애인만 타는 차별버스 OUT 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라고 적힌 피켓들이 덕지덕지 붙어 있다. 사진 강혜민 

고용노동부를 향해서는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 개 도입 △중증장애인 최저임금 적용제외 조항 폐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우정규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는 “그동안 중증장애인은 비장애인 관점에서 ‘노동 능력이 없는 비경제활동 인구’로 취급돼 왔다. 일을 하더라도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편견 때문에 최저임금도 받지 못했다”면서 “이러한 현행 제도는 장애인 차별의 기반이 된다”며 고용노동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도 여전히 요원하다. 올해는 2001년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사로 촉발된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이지만, 20년이 흐른 지금도 당시 장애계의 요구였던 ‘저상버스 100% 도입’은 되지 않았다. 이날 장애인 활동가들이 B1버스와 B3버스를 점거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 두 버스는 저상버스가 아니라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탈 수 없다.

박철균 전장연 활동가는 “이처럼 장애인은 버스를 탈 수 없어 대중교통수단 대체제로 장애인콜택시가 도입됐지만 이 또한 이용이 어렵다. 전남의 경우 오후 6시 이후로는 장애인콜택시를 운영하지 않기도 하다”면서 “장애인콜택시 운영이 지자체 책임으로 떠맡겨져 있어 지역 간 편차가 매우 심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각 정부부처가 올린 예산을 최종 조율하는 곳이다. 장애계가 투쟁 끝에 복지부나 고용노동부로부터 장애인정책 이행을 약속받아도 기재부가 예산을 승인하지 않으면 모두 수포가 된다. 그뿐만 아니라 현재 장애인자립생활 예산 대부분은 정부 예산 없이 지자체 예산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운동계는 “기획재정부는 지방정부에 책임 전가를 멈추고 정부 차원에서 장애인 예산을 분담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활동가들이 점거한 B1 버스 뒤로 B3 버스가 있다. 그 앞을 경찰 수십 명이 막아섰다. 사진 강혜민

활동가들이 점거한 B1 버스 뒤로 B3 버스가 있다. 그 앞을 경찰 수십 명이 막아섰다. 사진 강혜민

활동가들은 ‘DISABILITY PRIDE(장애 자긍심)’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B1 버스에 붙였다. 사진 강혜민

활동가들은 ‘DISABILITY PRIDE(장애 자긍심)’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B1 버스에 붙였다. 사진 강혜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활동가들은 사다리를 목에 걸고 B1 버스를 점거했다. 사진 하민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활동가들은 사다리를 목에 걸고 B1 버스를 점거했다. 사진 하민지

이들은 6시간 30분가량이 지난 저녁 8시경 점거를 풀었다. 결국 부처 장관 면담 약속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실무자들과 우선 면담을 진행하기로 했다.

박경석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이사장은 “아직 우리 힘이 약해선지 장관 면담 약속은 잡지 못했다. 그러나 복지부 앞에서 장관 면담을 요구하면서 1박 2일 투쟁을 이어갈 것이다”라면서 “복지부에 반드시 탈시설을 법적 용어로 인정하라고 요구해서, 그 답을 받아내자. 우리는 우리의 요구가 반영될 때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이다”라고 외쳤다.

이들은 복지부 앞으로 이동해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문화제’를 이어갔다. 

활동가들이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활동가들이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출처: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8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37
215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49
214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213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12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06
211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210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60
20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6
208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77
20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206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20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69
204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3
20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202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201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40
200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3
19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4
198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3
197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