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장애인의날’인 4월20일에 맞춰 장애인 차별의 현실을 고발하고 권리 쟁취를 위한 투쟁에 나서는 것이다. 투쟁단은 매년 3월26일 출범해서 4월20일까지 활동한다. 올해도 3월26일, 지난주 목요일에 출범식을 가졌다. 코로나19 때문에 간격을 유지한 채 간소하게 진행되었지만 날짜가 바뀌지는 않았다.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도대체 3월26일이 무슨 날이기에 그럴까. 이날은 장애해방열사 최옥란의 기일이다. 생전에 나는 그를 TV에서 보았다. 뇌성마비 1급 장애인이었던 그가 12월의 칼바람을 맞으며 명동성당 앞에서 농성하는 사정을 한 시사 프로그램에서 소개했다. ‘최저생계비를 현실화하라.’ 이것이 그가 내건 요구였다.

 

사정은 이랬다.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시행되면서 경제력이 없는 국민들에게 최저생계비가 지급되었다. 청계천에서 노점상을 하던 최옥란도 28만원 남짓의 생계비를 받았다. 그러나 이름과 달리 이 돈으로는 생계 유지가 불가능했다. 임대주택 관리비와 공과금 16만원, 병원을 다닐 때 드는 교통비 12만원, 근육이완주사비의 월별 환산액수 13만원. 다른 비용은 고려할 것도 없었다. 서너 개의 지출 항목으로도 생계비가 넘었다. 노점을 해서 생활비에 보태고 싶었지만 일정 소득이 발생하면 수급권을 내놓아야 했다. 그리고 이것은 의료비 혜택의 상실을 의미했다. 매주 병원을 이용해야 하는 그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가 명동성당 앞 농성에 나선 이유였다.

 

장애인 차별에 저항한 운동가
마지막에 택한 건 ‘한 줌의 약’
아무것도 해줄 수 없었던 우리
열여덟 번째 봄, 그를 떠올린다

 

 

사실 당시 최옥란은 또 다른 싸움의 와중에 있었다. 그에게는 어린 아들이 있었다. 어렵게 낳은 아이였다. 병원의 미흡한 대처로 최옥란의 장애는 이때 경증에서 중증으로 변했다. 이후 결혼생활이 순탄치 않았던 모양이다. 그는 이혼했고 남편과 아이에 대한 양육권 소송을 벌였다. 판결은 재판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 내려져 있었다. 그에게는 ‘돈 없는 중증장애인’이라는 딱지가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월 2회의 면접시간을 인정받은 게 전부였다. 생계가 불가능한 생계비처럼 면접시간도 아이에 대한 그리움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방송 중 그는 무언가를 황급히 감추었다. 한 줌의 약이었다. “정말 힘들 때…”라며 그는 울먹였다. 노트에 적어둔 유서도 있었다. 그해 겨울의 싸움에 생명을 걸었다는 게 분명했다. 나를 포함해서 많은 이들이 방송에서 그것을 보았다. 그러나 정부도, 사람들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침묵함으로써 우리는 마지막 싸움을 벌이는 사람에게 죽음 이외의 길을 열어주지 않았다. 그 상황에서 사형선고문이 전달되었다. 아이와 살기 위해서는 경제력을 입증할 통장 잔액이 필요하다는 말을 듣고는 주변에 도움을 청해 얼마간의 돈을 넣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이 돈 때문에 수급권이 박탈되었다는 통지가 날아들었다. 그렇게 해서 결국 정해진 일이 정해진 대로 일어났다. 방송에서 말한 ‘정말 힘들 때’가 오고 만 것이다. 그는 약을 먹었다.

 

그는 참 가난했다. 미군기지촌에서 태어난 빈민이었고, 학교를 다니지 못했고, 양육권을 빼앗긴 중증장애인 이혼 여성이었다. 그러나 그는 참 열심히 싸웠다. 일찍부터 직업재활원에 들어가 생계를 꾸렸고, 검정고시로 중학교 과정을 밟았으며, 1980년대 말부터 장애인 운동에 뛰어든 운동가였다. 그는 자신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모든 것에 저항했다.

 

3월26일, 나는 지금도 그날의 기분을 잊지 못한다. 처음에는 모든 가난을 응집한 한 사람의 비극적 죽음이 슬펐고, 다음에는 예고된 죽음을 그대로 지켜본 나 자신과 사회에 화가 났고, 그다음에는 운동가로서 그의 삶을 알고서 너무 부끄러웠다. 이듬해 나는 어느 신문에 고정 칼럼을 실을 기회를 얻었다. ‘최옥란을 기억하며’, 이것이 내 생애 첫 칼럼의 제목이다. 내가 생전의 그에게 준 것이라고는 부끄러운 침묵뿐이지만, 그래도 그는 18년 전 내 어딘가에 자리를 잡았던 모양이다. 한참의 시간이 흐른 후 내가 생면부지의 장애인 운동가들을 만났을 때 느낀 까닭 모를 반가움이나 머뭇머뭇 걸어 들어간 노들장애인야학에서 느낀 푸근함은 모두 내 안의 그가 느낀 감정이었을 것이다.

여느 학교들처럼 노들야학도 지금 휴교 상태다. 휴교 전 개학식 날 교장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말했다. 우리는 세상에서 제일 공부 못하는 사람들이지만 세상을 가장 많이 바꾼 사람들이라고. 모두가 환호성을 질렀다. 차별과 배제, 억압, 가난을 누구보다 철저히 겪고 있기에 세상이 바뀌어야 할 이유를 그 어느 곳보다 많이 알고 있는 학교. 모두가 개학을 기다리는 오늘, 최옥란이 떠오른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3292115015&code=990100#csidx514916911a5a7f89b3b4e293fe3c05e onebyone.gif?action_id=514916911a5a7f89b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뉴스기사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장애인 엄마의 기도 "아이도 함께 확진되게 해주세요" 발달 장애인 엄마의 기도 박동해 2020.03.24. "사실 제가 기도를 드렸어요. 차라리 걸릴 거라면 전부 다 걸리게 해달라고요." ... 이음센터 2020.03.24 237
215 뉴스기사 "최저임금도 안되던 일자리마저 사라졌다"…오늘 장애인의 날 file 이음센터 2021.04.21 149
214 뉴스기사 "코로나가 발생해서" file 이음센터 2020.09.04 125
213 뉴스기사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2020년 서울복지', 어떻게 달라지나... 공공이 책임지는 '좋은 돌봄' 강화 공공돌봄 : 사회서비스원 직접 운영 첫 국공립어린이집 5곳 개소, 돌... 이음센터 2020.02.06 179
212 뉴스기사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배리어 프리' 장애인 차별 없는 복지국가 독일의 오늘 [복지국가SOCIETY] 우리나라 장애인 이동권 현실과 독일 사례가 주는 교훈 이주영 복지국가소사이... 이음센터 2020.03.16 1102
211 뉴스기사 '장애인 손해 보면 어때' 코로나19 키웠다 file 이음센터 2020.07.21 152
210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59
209 뉴스기사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17년간 지적장애인 성·노동력 착취.. 법원 "무죄" 황윤태 기자 등록일: 2020년 9월 14일 시기 특정 못해 2018년 4건만 기소.. 법조계 "판단 모순 판례와도... 이음센터 2020.09.14 136
208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77
20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206 뉴스기사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5년 농성하고 3년 기다렸는데… 공약 파기한 정부 ‘규탄’ ‘3대 적폐 폐지’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맞아 탈시설 예산 ‘0... 이음센터 2020.08.24 153
205 뉴스기사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9년 만에 시설에서 나온 상훈 씨의 자립생활 준비기 시설 나온 지 2주 만의 변화, ‘미래는 불안하지만 후회하지 않아’ 민간에서 떠안은 탈시설 정책... 이음센터 2020.07.09 169
»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병권의 묵묵]다시 최옥란을 기억하며 고명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기재 : 2020.03.29 봄마다 장애인들은 ‘420공동투쟁단’이라는 걸 꾸린다. &... 이음센터 2020.04.02 143
20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202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139
201 뉴스기사 [리포트+]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신길역 사고, 11개월 만에 사과…"리프트는 살인 기계" 장애인 단체 목소리 높였던 이유는 등록일: 2018년 9월 12일 어제(1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난해 10... 이음센터 2020.02.28 339
200 뉴스기사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발언] 저는 장애인시설에서 나오면 안 되는 사람입니까? / 박경인 기자명 박경인     입력 2024.03.05 16:07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 이음센터 2024.03.15 2
199 뉴스기사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번역] EU와 EU 내 국가 리더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 코로나19의 장애 포괄 대책 등록일: 2020년04월19일 [편집자 주] 이 글은 지난 3월 13일 유럽장애포럼(th... 이음센터 2020.04.27 204
198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3
197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1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