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지원은 없고과연 누가 계속하려 할까?

 

 

 

 

 

 

등록일: 20201019

 

 

 

 

 

1603115749_52663.jpg

보건복지부의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사업’ 안내 일러스트. “장애를 가진 자녀를 키우며 받은 상처와 부담, 대한민국이 따뜻하게 안아드리겠습니다. 발달장애를 가진 자녀를 돌보느라 정작 자신은 돌보지 못한 장애아동 부모님, 심리상담으로 위로해 드립니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문구 아래에는 정장을 입은 부모와 치마를 입은 여성 상담자가 앉아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어머니의 눈에는 눈물이 맺혀 있다. 복지로 일러스트 캡처. https://bit.ly/34bgDB9


이번 10월 말에서 11월 초 경에 중앙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 주관으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사업’ 제공인력에 대한 비대면 교육이 실시된다. 지난번 보수교육에서는 생애주기별 부모의 장애 수용과 도전적 행동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는데 이번 교육에는 상담에 대한 사례 발표와 슈퍼비전이 제공될 것이라고 한다. 사업 초기부터 참여했던 ‘제공인력’으로서 그간의 아쉬움과 불편함이 개선되기를 바라며 간단히 적어보려고 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사업이 지속해서 탄탄한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상담 기록하는 ‘필수서류’는 바뀌지 않아

 

원래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사업은 당시 발달장애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는 일과 양육에 대한 부담감을 견디지 못한 부모와 조부모가 ‘동반자살’(장애자녀를 먼저 살해하고 자살)을 선택한 사건들에 대한 대책으로 시작된 서비스였다. 따라서 2013년 연구보고서를 쓰던 연구자들은 상담틀을 만들 때, 위기상담에 준하는 촘촘한 상담지원을 예상하고 무거운 상담을 다룰 수 있는 전문상담인력의 필요에 따른 체계를 제안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 상담이라는 것은 주로 각 상담 이론에 기반을 둔 사설기관에서 제공되는 것이었고, 그런 상담자들은 장애, 발달장애(지적·자폐성장애)에 대한 이해가 적었다. 가족, 부모와 부부의 문제가 가진 무게를 이중, 삼중으로 다루는 연습이 충분히 된 상담자가 부족하였다. 더하여 공적인 복지서비스 체계의 복잡한 서류 절차를 받아들이고 이행하기 어려웠다. 그러니 외국의 사례나 정연한 절차에 따른 중재전략이 현장에 와닿기는 어려웠다. 게다가 마음과 몸이 바쁜 부모들은 자녀를 맡기고 상담실에 정기적으로 오가는 일을 해낼 여유가 없었다. 2개월 이상을 지속하지 못하면 상담서비스가 중단되고, 이후 2년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페널티가 있는 상황에서 말이다. 그래서 부모심리상담지원이라는 것을 들어본 부모와 이를 시행하는 기관이 적은 상황은 자연히 계속되었다.

 

2016~2017년에야 발달바우처 제공기관에서 일정한 상담 자격을 가진 인력이 상담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되었다. 미술치료와 집단 상담, 부부와 가족 전체 상담도 가능해졌다. 접근 방법은 다양해졌지만 원래 목표한 것보다 가벼운 활동기반 프로그램에 가까워졌다. 이에 따라 ‘심리상담서비스’라는 명칭이 슬쩍  ‘상담지원’으로 변경되었다. 보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서비스 지원을 맡는 것이 해결책이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런 사람이 있기나 했었던가? 이 사업은 전국 사업으로 구현되어야 하는데 기준을 맞출 수 있는 상담자가 없는 곳이 여전히 많다. 게다가 너무 허술해서 허탈한 지점은 2014년 형식 그대로 여전히 필수 문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술치료 등의 도입으로 상담 형식은 바뀌었는데 이를 기록하는 틀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

 

- 월 16만 원의 상담바우처, 2년 받으면 지원 뚝…

 

무엇보다 이 상담지원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장애부모들 자체가 그다지 힘 있는 내담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들의 삶은 일상이 재난이며 눈물과 근육의 긴장과 긴 한숨과 애매한 몸짓이 엉키는 현현하는 고통이다. 그 실제를 ‘정신화’하여 상담자에게 말로 잘 전달할 힘이 그들에겐 없다. 그들의 삶에 떨어진 ‘죽음보다 더 큰 위기’를 헤쳐나가느라 벅찬 상황이기 때문이다. 상담자는 들리지 않는 그들의 말을 잘 알아주기 어렵다. 매 순간 상담은 흔들리고 방향을 잃는다. 그저 함께 부둥켜안고 우는 일이 태반일 수도 있다. 그래도 묵묵히 상담을 연장하여 2년을 버티다 보면 그제야 눈이 좀 열리거나 숨을 쉬게 되는 내담자도 있다. 결국은 지속적인 상담을 버틸 힘이 있는 ‘건강한’ 내담자가, 가족이 상담의 ‘이득’을 얻는다. 그러니 아마도 상담이 가장 필요한 사람은 상담의 도움을 받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현재 이 상담바우처(월 16만 원)는 최대 2년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이후 2년간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왜 2년이 지나면 한동안은 다시 받지 못하게 만들었을까? ‘수혜’를 받는 사람이 더 많아질 수 있도록 ‘형평성’을 고려한 것일까? 중증발달장애 자녀를 둔 공황장애를 겪는 부모 한 사람이 다시 상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날을 기다리고 있다. 아마 내년 하반기에 기간 제한이 풀릴 것이다. 그때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

 

1603116040_90661.jpg

2013년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발달장애인 부모에 대한 심리·정서적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 중 상담지원 사업의 세부 절차와 내용을 정리한 도표. 상담서비스는 접수면접, 초기상담, 중기상담, 상담종결 총 4단계로 이뤄지며 각 회기마다 과도한 양의 서류가 요구된다. 문제는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현장에서 꾸준히 제기되었음에도 2020년 현재에도 내용과 형식이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 현실 담지 못하는 서류 양식들, 오히려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자는 매회기 써야 하는 상담기록지 안에 자신이 버텨야 하는 그 모호한 과정을 충분히 적지 못한다. 회기 기록지는 ‘인지심리학적’ 틀거리로 짜여 있어서 그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쓰는 이에겐 익숙하지 않다. 상담자는 상담 중에 한 일과 별 상관없는 것을 적어야 할 수도 있다. 상담은 비밀유지가 중요한 작업이다. 그런데 바우처 안에 있는 서비스들은 ‘점검’이라는 이름으로 기록을 남기고 공유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제대로 내담자를 공감하고 충분히 이해할 수 없어서 당황하고 무기력해졌을 상담자는 길고 어색한 틀의 보고서를 쓰는 수고를 매회기 해야 한다. 필수 문서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지나치게 세세하지 않아도 되니 간략 명료하게 ‘대충’ 쓰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 칸에 네 줄 이상 육하원칙에 따라 작성하라’는 기록지의 안내로 그 후부터는 아예 ‘소설을 쓰게 되었다’는 얘기를 건너들은 적이 있다.

 

부록으로 들어 있는 서류양식에는 ‘사례 개념화’ 과정을 적는 필수문서도 있고 각 회기를 연결하는 작업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식은 너무 형식적이어서, 오히려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무엇이 소중하고 중요하고 위급한지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내담자들의 관심사와 필요는 그달에 생기는 사건 사고에 따라, 그의 마음속 폭풍에 따라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커졌다 작아진다. 어떤 이는 죽음을 오가거나 가족 내 심각한 갈등이 늘 잠재한 위기상담이고, 어떤 이는 장애자녀와 다른 자녀들을 잘 키울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하거나 잘하고 있는지, 지지가 필요할 뿐인 경우도 있다. 다른 이는 부부문제를 가져오기도 하며, 원가족 문제를 주섬주섬 꺼내기도 한다. 때로 아이에 대한 양육 정보가 필요해서 왔는데 왜 부부얘기를 하고 원가족 얘기를 해야 하냐고 뚱한 얼굴을 하는 내담자도 있고, 이혼을 위한 과정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내담자들이 매번 자기 주제로 돌아가 맴을 돌며 어려움을 겪더라도,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여 이를 다룰 분별력과 힘이 생길 때까지 그를 기다려주어야 한다. 이들은 문제의 명료화, 통찰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까다롭고 상처받기 쉬운 내담자들이다. 

 

1603115867_74786.jpg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사업에서 상담자가 필수로 작성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인 사례개념화 요약지. 보건복지부의 ‘2020년 발달장애인 지원 사업안내’ 캡처

 

그러니 상담자는 끊임없는 공부와 동시에 상담이 잘 안 되어도 어쩔 수 없다는 약간의 포기와 용기가 필요하다. 내담자가 모호하게 얘기해도 똑바로 알아들을 초능력이 필요하다. 이해가 왜곡되어 해석이 엉뚱한 것으로 바뀌면, 내담자의 얼굴이 금방 굳는다. “장애아이 키우는 제 말을 이해하시긴 어렵죠.” 차가운 평가가 두터운 방어의 펀치가 되어 날아온다. 그의 마음을 어떻게 녹일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네, 제가 장애 쪽은, (법 절차는), (학교 행정은) 잘 몰라서요…” 말간 대답이 상담자의 용기 있는 직면이고 자기 노출이어도 어떤 내담자는 날카롭게 상처받은 얼굴로 마음이 굳어 무겁게 돌아앉는다. 어쨌든 조금은 도움 되었다고, 우리 사는 게 어쩔 수 없는 일인 것 아니냐며 홀가분하다며 상담을 중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포기에 가까운 수용이 장애부모에게 줄 수 있는 혜안의 최선일까? 상담자가 더 유능했다면 그를 일으키거나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도울 수 있었을까? 무기력한 현실에 상담자는 진이 빠진다.

 

이 모든 일은 그나마 자격증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어야, 기관의 규모가 담보되어야, 지역에 부모상담지원을 신청할 수 있을 만큼 정보가 충분한 부모가 있어야 가능하다. 예산을 받아두고도 신청하는 사람이 없으면 다음 해에는 예산이 사라진다. 때로는 행정복지센터와 부모에게 이 낯선 서비스의 존재를 다시 확인해주어야 하고 그 부모의 자녀는 다른 영역이 아니라 발달장애(지적, 자폐성장애)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상담자는 ‘과연 무슨 도움이 되긴 할까’하는 회의감과 피곤을 가득 담은 얼굴로 앞에 앉은 내담자를 드디어 만날 수 있다. 물론, 모든 국가서비스와 지자체서비스가 그러하듯 서류 작업과 점검 사항은 많고, 받을 수 있는 급여·비용은 적다. 자, 그렇다면 상담자는 이 무지막지하게 힘든 상담을 계속할 힘을 과연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1603115891_46925.jpg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사업에서 상담자가 필수로 작성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인 상담기록지의 틀. 보건복지부의 ‘2020년 발달장애인 지원 사업안내’ 캡처

 

필자 소개


이경아. 장애부모이자 특수교육 박사로, 장애 및 경계인의 개인상담과 부모교육, 가족상담,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008년도에 청소년상담사 2급 자격을 취득한 후에 상담 경력을 쌓았고, 이후 청소년 상담사 1급, 가족상담사 전문가 자격을 취득하였다. 현재 도닥임아동발달센터를 운영 중이다.

 

 

 

 

출처: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188&thread=03r0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현장의 젠더 불평등을 말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1.20 159
155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89
154 뉴스기사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여성장애인 ‘교육권 배제’ 한맺힌 외침 57.8% 초등학교 이하… “특화된 교육권 확보” “생애주기별 맞춤형”, 결론은 &... 이음센터 2020.11.13 157
153 뉴스기사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장애인도 고객” 커피전문점 콧대 꺾다 휠체어 앞 ‘턱’…“들어가고파” 뿅망치로 쾅쾅 ‘1층이 있는 삶’ ... 이음센터 2020.11.13 147
152 뉴스기사 정중한 욕심 정중한 욕심 한혜경 기자 등록일: 2020년 11월 6일 [비마이너X다이애나랩 기획연재] 차별 없는 가게의 조건 안내견을 꼭 끌어안은 모습. 시각장애인인 나는 안내... 이음센터 2020.11.11 165
151 뉴스기사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인터뷰] 김경민의 죽음으로 드러난 ‘미신고시설의 실체’ 허현덕 기자 2020년 11월 10일 미신고시설 활동지원사 폭행 사망 사건 유족, 김경태 씨 개... 이음센터 2020.11.11 171
150 뉴스기사 마스크 쓰지 않고 치료받을 권리 file 이음센터 2020.11.05 157
149 뉴스기사 장애계 “어울림플라자 문제, 서울시교육청이 나서라” 촉구 file 이음센터 2020.11.03 141
148 뉴스기사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탈시설 핵심으로 떠오른 지원주택, 전국 확산 가능할까?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년 10월 21일 장애계, “지원주택법·주거약자법·탈시설지원... 이음센터 2020.10.29 298
147 뉴스기사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2년간 장애인식개선교육 받은 국회의원 ‘0’명 허현덕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2일 [2020 국감] 국회의원 장애인식개선교육 이수율 0% 국가인권위... 이음센터 2020.10.29 137
146 뉴스기사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장애인들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 ‘탈시설지원법’만이 해답” 이가연 기자 등록일: 2020년 10월 28일 코로나19로 장애인 생존 위기 왔... 이음센터 2020.10.29 142
145 뉴스기사 코로나 시대에 동북아 장애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file 이음센터 2020.10.27 129
144 뉴스기사 교육부의 ‘건강상태 자가진단’ 시스템, 시각장애학생 배제? file 이음센터 2020.10.27 278
»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들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이음센터 2020.10.20 249
142 뉴스기사 “장애인운동 내 ‘열사’ 규정 없어, 시급히 논의 필요” file 이음센터 2020.10.20 144
141 뉴스기사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코로나19 핑계로 장애인 예산 무더기 ‘삭감’ 서울시 대대적 홍보한 중증장애인 사업, 내년도 무산 위기 장애계 “장애인 생존권 보장하... 이음센터 2020.10.16 167
140 뉴스기사 유은혜 장관,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필요성에 “공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10.12 139
139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38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채용으로 기업 홍보하더니, 괴롭힘에는 모른 척? file 이음센터 2020.10.08 143
137 뉴스기사 [서평] 장애아를 낳는다는 것에 대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0.05 2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