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하민지 기자 | 입력 2023.07.11 15:14 |수정 2023.07.11 15:46

 

  • 기자명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 기자명 
  •  
  •  
  •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 기자명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독립형 주거 공간 제공한다더니…
한 공간에 4명, 한 시설에 20명 이상
장애인들 “개 목줄 색깔 바꾼다고 뭐가 달라지나”

보건복지부가 소규모 장애인거주시설을 늘리는 내용의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장애인들은 “‘집단생활’이라는 시설의 구조적 문제는 건드리지 않은 채 ‘좋은 시설 만들기’에 힘쓰는 내용이다. 국제적 기준을 거스르는 기만적 태도”라며 크게 반발했다.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아래 탈시설연대) 등 장애인운동단체 활동가들은 7일 오전 8시, 서울시 영등포구 9호선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개악안을 저지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성토했다.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사무국장이 “시설수용은 선택이 아니라 차별이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하민지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사무국장이 “시설수용은 선택이 아니라 차별이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하민지

- 4명이 같이 사는데 ‘독립형’?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15일,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개정령안은 장애인 거주시설 유형으로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을 신설하고 이에 대한 설치·운영 기준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관련 자료: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복지부는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을 “장애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을 제공하는 여러 개의 개별 주거 공간을 설치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주거지원·일상생활지원·지역사회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라 설명한다. 쉽게 말하면 ‘서비스가 포함된 내 집 같은 시설’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장애인에게 사적 공간을 보장하며 지역사회와 통합을 지향하”고자 이같이 개정한다고 밝혔다.

사적 공간을 보장한다지만 혼자 살 수 있는 건 아니다. 복지부는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의 규모를 “상시 20명 이상 생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별 주거 공간을 마련하되, 각 주거 공간의 정원은 4명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고 설명한다. 독립적 주거 공간에는 침실(1인 1실 제공), 거실, 주방 공간, 화장실 등이 갖춰져야 한다. 여기서 최대 4명까지 같이 살 수 있으며, 이러한 주거 공간이 한데 모인 시설에는 20명 이상 단체로 거주할 수 있다는 뜻이다.

복지부는 이번 개정령안 ‘규제영향분석서’ 비용편익분석에서 “추가적 비용 없이 거주 장애인의 편익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한다. 거주 장애인의 삶이 실제 크게 개선될지는 미지수다. 침실의 경우 1인 1실을 보장하겠다면서도 2인 1실 제공까지 열어뒀다. 수십 명이 한 공간에 거주하는 근본적 문제는 전혀 건드리지 않았다.

복지부의 2020년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에 따르면 한 방에 평균 4.7명이 살고 있었다. 복지부는 이런 집단거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 주거 공간을 최대 4명까지만 쓰도록 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예외 조항을 둬서 한 방에 5명 이상 거주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놨다. “다만, 이용자의 동의를 받고, 시설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친 후,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개별 주거 공간의 정원을 5명 이상으로 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단 것이다.

복지부는 ‘이용자의 동의를 받겠다’곤 하지만 시설거주 장애인이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기 어렵고 중증발달장애인이 의사 표현을 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점을 고려할 때, 시설이 동의여부를 조작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활동가들이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투쟁”을 외치고 있다. 현수막에는 “우리는 시설 개선이 아니라 탈시설을 원한다! 시설 확대하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 반대 기자회견”의라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활동가들이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투쟁”을 외치고 있다. 현수막에는 “우리는 시설 개선이 아니라 탈시설을 원한다! 시설 확대하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 반대 기자회견”의라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

- 장애인들 “개 목줄 색깔 바꾼다고 뭐가 달라지나”

장애인들은 개정령안을 크게 비판했다. 탈시설연대는 “개정령안은 기존 시설의 구조만 변경하고 시설의 구조적 문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내용이다. 이대로라면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로부터의) 분리 정책은 절대 해결될 수 없다”며 “장애인은 여전히 집단생활로 자기 결정권이 박탈되고 개인의 삶이 없는 채로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정부는 ‘독립형 서비스’ 운운하며 기존 시설에 투입되는 기능보강사업비를 대폭 늘릴 수 있다. 이는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아래 유엔위원회)의 권고를 전면 부정하는 행위다. 유엔위원회는 현존하는 시설에 대한 투자를 금지하고 지역사회 자립생활 예산을 늘리라고 권고했다. 정부는 이에 완전히 역행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가 “격리와 배제, 거주시설 반대”라고 적힌 피켓을 목에 걸고 발언 중이다. 사진 하민지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가 “격리와 배제, 거주시설 반대”라고 적힌 피켓을 목에 걸고 발언 중이다. 사진 하민지

시설에서 장기간 거주하다 탈시설한 장애인들의 성토도 이어졌다. 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는 “시설에서 15년을 살았다. 지옥 같은 시간이었다. 주먹으로 때리고, 욕하고, 발달장애인이 의사 표현 못 한다고 폭행하고, 밖에 절대 내보내 주지 않았다. 내부고발자가 없는 이상 시설 문제는 아무도 알 수 없다”며 “개정령안이 시행되지 않도록 끝까지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상지 씨가 “투쟁”을 외치고 있다. 그의 옆에는 “지역사회 함께 살자”라고 적힌 피켓이 있다. 사진 하민지조상지 씨가 “투쟁”을 외치고 있다. 그의 옆에는 “지역사회 함께 살자”라고 적힌 피켓이 있다. 사진 하민지

20년간 시설에 갇혀 살았던 탈시설연대 회원 조상지 씨는 “좋은 시설은 없다”고 강조했다.

조 씨는 “사람은 경험 속에서 생각할 능력이 만들어지는데 시설은 생각할 기회를 주지 않는다. 내가 경험하는 일들이 인간적인지, 비인간적인지 판단할 수 없게 만들며 시설 밖으로 나오면 개죽음당한다고 세뇌한다”면서 “좋은 시설과 나쁜 시설의 차이는 ‘마당에 묶어놓고 사람들이 먹다 남은 밥을 먹는 개’와 ‘집안에서 사료 먹는 개’의 차이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개정안은 ‘집 안에서 사료 줄 테니 계속 시설에 있어라’라며 장애인을 세상과 격리하는 것”이라면서 “까만색 목줄을 형광으로 바꾼다고 시설이 감옥이라는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 좋은 시설은 없다”고 성토했다.

탈시설연대는 “장애인에게 필요한 건 탈시설과 지역사회 자립생활 권리 보장이다. 이를 위해선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장애인복지법 전면 개정,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이 필요하다”라며 “해당 개정령안 시행을 막기 위한 의견서를 모아 복지부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뉴스기사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왼쪽부터)클라우츠 라흐비츠(II 대표), 아나 루시아 아렐라노(IDA 의장),... 이음센터 2020.02.12 182
95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94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응책이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로 리모델링? file 이음센터 2020.03.26 184
93 뉴스기사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file 이음센터 2020.04.29 184
92 뉴스기사 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file 이음센터 2020.07.20 185
91 뉴스기사 장애인이 편의점도 못 가게 하는 법"..위헌심판제청 신청 file 이음센터 2021.04.13 185
90 뉴스기사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기획연재] 장애인, 노동을 묻다 ② 고 김재순 산재 사건을 통해 본 장애인노동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편집자 주] ... 이음센터 2020.09.18 190
89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90
88 뉴스기사 ‘차별하면 안 된다’, 알면서 왜 차별금지법 반대해? ‘차별하면 안 된다’, 알면서 왜 차별금지법 반대해? [칼럼] 조미경의 장애 그리고 페미니즘 등록일: 2020년 9월 18일 차별, 받고 싶지도 하고 싶지도... 이음센터 2020.09.21 191
87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 이음센터 2020.03.20 192
86 뉴스기사 고 송국현씨 장례, 복지부 사과 때까지 무기한 연기 고 송국현씨 장례, 복지부 사과 때까지 무기한 연기 장례준비위원회, 복지부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대책 촉구20일, 추모결의대회 후 복지부 장관 집까지 행진 등... 이음센터 2020.04.14 192
85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193
84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83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82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196
81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7
80 뉴스기사 탈시설,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일 file 이음센터 2020.12.17 197
79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이음센터 2020.04.01 199
78 뉴스기사 장애를 당당히 드러내고 즐기는 사회가 되길.... file 이음센터 2020.06.24 199
77 뉴스기사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코로나19 확산지 대구, 정부 공백 메꾸는 장애인 활동가들 생필품 후원 관리부터 배달까지... 기존 업무 마비 주말 방문순회 이면에는 부족한 활동지원시간 문제... 이음센터 2020.03.12 2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