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원주택 10만호공대위 출범심상정·장혜영 관련 법안 발의

 

 

탈시설 주거모델로 주목받아온 지원주택, ‘주거서비스지원법발의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법안 발의 환영, 입법 활동 전개할 것

탈시설·탈원화 흐름에 맞춰, 주거와 함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지원하는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도입을 위한 법안이 마침내 국회에 발의됐다. 법안 통과를 위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공동대책위원회도 꾸려졌다.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장혜영 의원, 심상정 의원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탈시설·탈원화 흐름에 맞춰, 주거와 함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지원하는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도입을 위한 법안이 마침내 국회에 발의됐다. 법안 통과를 위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공동대책위원회도 꾸려졌다.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장혜영 의원, 심상정 의원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탈시설 주거모델로 주목받아온 지원주택, ‘주거서비스지원법발의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법안 발의 환영, 입법 활동 전개할 것

탈시설·탈원화 흐름에 맞춰, 주거와 함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지원하는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도입을 위한 법안이 마침내 국회에 발의됐다. 법안 통과를 위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공동대책위원회도 꾸려졌다.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장혜영 의원, 심상정 의원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 장혜영 의원, 심상정 의원이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투쟁을 외치고 있다. 사진 하민지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등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장애인·고령자 등 지원주택 10만호 공급 공동대책위원회(아래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19일 오전 10시 국회의사당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제·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입법 및 예산 반영을 목표로 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설에서 나온 탈시설 장애인에게 시급한 것 중 하나가 주거의 안정성이다. 그런 점에서 지원주택은 최근 탈시설 장애인 지원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주거만 제공하던 것에서 나아가, 실질적인 자립생활이 가능하도록 생활전반의 서비스가 함께 지원된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또한, 주택계약자가 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 서비스공급자가 아니라 장애인 당사자라는 점에서 기존의 체험홈, 자립생활주택과도 다르다.

 

 

현재 장애인 지원주택제도는 서울시에만 도입되어 있다. 기존에 지원주택은 노숙인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장애계의 끈질긴 요구에 201912,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지원주택을 선보였다. 그러나 장애인 탈시설이라는 정부 정책의 방향성에 맞춰 정부 차원의 자립생활 보장을 위한 주거 정책이 필요해졌다.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장혜영 의원이 주거서비스지원법 제정안 발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유일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등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장애인·고령자 등 지원주택 10만호 공급 공동대책위원회(아래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19일 오전 10시 국회의사당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제·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입법 및 예산 반영을 목표로 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설에서 나온 탈시설 장애인에게 시급한 것 중 하나가 주거의 안정성이다. 그런 점에서 지원주택은 최근 탈시설 장애인 지원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주거만 제공하던 것에서 나아가, 실질적인 자립생활이 가능하도록 생활전반의 서비스가 함께 지원된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또한, 주택계약자가 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 서비스공급자가 아니라 장애인 당사자라는 점에서 기존의 체험홈, 자립생활주택과도 다르다.

현재 장애인 지원주택제도는 서울시에만 도입되어 있다. 기존에 지원주택은 노숙인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장애계의 끈질긴 요구에 201912,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지원주택을 선보였다. 그러나 장애인 탈시설이라는 정부 정책의 방향성에 맞춰 정부 차원의 자립생활 보장을 위한 주거 정책이 필요해졌장혜영 의원이 주거서비스지원법 제정안 발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유일 

 

 

 

 

19일 국회에 발의된 주거약자 주거유지 지원서비스에 관한 법률안(아래 주거서비스지원법)’은 그러한 요구를 담았다. 해당 법안을 대표발의한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그동안 우리 사회는 비장애인에게 친화적인 주택에 맞춰 장애인을 훈련해 왔다. 이제는 집을 장애인에게 맞추고,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집에 결합하겠다는 게 이 법안의 골자라며 자립을 준비하게 한다며 장애인을 시설에서 훈련하는 방식을 넘어, 서비스까지 결합한 집을 제공해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게 환경을 갖추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거서비스지원법안에서는 장애인, ‘노숙인 등’, 정신질환자 등을 주거약자라고 규정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약자를 위한 지원주택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법안에는 지원주택의 범위 재원 확보 방안 서비스 제공기관 선정 주거유지지원서비스 내용 및 업무 범위 등의 내용을 담았다.

 

 

 

심상정 의원이 주거약자지원법 개정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유일

 

 

 

 

19일 국회에 발의된 주거약자 주거유지 지원서비스에 관한 법률안(아래 주거서비스지원법)’은 그러한 요구를 담았다. 해당 법안을 대표발의한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그동안 우리 사회는 비장애인에게 친화적인 주택에 맞춰 장애인을 훈련해 왔다. 이제는 집을 장애인에게 맞추고,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집에 결합하겠다는 게 이 법안의 골자라며 자립을 준비하게 한다며 장애인을 시설에서 훈련하는 방식을 넘어, 서비스까지 결합한 집을 제공해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게 환경을 갖추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거서비스지원법안에서는 장애인, ‘노숙인 등’, 정신질환자 등을 주거약자라고 규정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약자를 위한 지원주택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법안에는 지원주택의 범위 재원 확보 방안 서비스 제공기관 선정 주거유지지원서비스 내용 및 업무 범위 등의 내용을 담았다.심상정 의원이 주거약자지원법 개정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김유일

 

 

이 법안과 함께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아래 주거약자지원법)’도 개정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주거약자로 장애인, 고령자만 명시돼 있었다면 개정안에는 노숙인 등’, 정신질환자로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주거유지지원서비스 조항을 신설했다.

 

 

나아가 연령, 성별, 국적,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주거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국가와 지자체가 의무적으로 지원하고, 입주기간·임차료 등 임대조건을 입주자에게 적정한 수준으로 책정할 의무가 추가됐다.

 

 

주거약자지원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첫 번째 사망자는 청도대남병원 정신과 폐쇄병동에서 발생했다. 102명 정신장애인 전원이 코로나19에 감염됐고 그중 8명이 돌아가셨다. 재난상황에서 죽음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삶이 시설에서의 삶이라는 걸 여지없이 볼 수 있었다문재인 대통령은 42번째 국정과제로 탈시설을 공약했지만 아직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 법안 발의 이후 장애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석원 씨(가운데)와 심상정 의원(오른쪽)이 ‘투쟁’을 외치고 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든 피켓에는 ‘지역사회에 공간이 있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주거권 보장하라!’ 등의 구호가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

이 법안과 함께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아래 주거약자지원법)’도 개정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주거약자로 장애인, 고령자만 명시돼 있었다면 개정안에는 노숙인 등’, 정신질환자로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주거유지지원서비스 조항을 신설했다.

나아가 연령, 성별, 국적,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주거약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국가와 지자체가 의무적으로 지원하고, 입주기간·임차료 등 임대조건을 입주자에게 적정한 수준으로 책정할 의무가 추가됐다.

주거약자지원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첫 번째 사망자는 청도대남병원 정신과 폐쇄병동에서 발생했다. 102명 정신장애인 전원이 코로나19에 감염됐고 그중 8명이 돌아가셨다. 재난상황에서 죽음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삶이 시설에서의 삶이라는 걸 여지없이 볼 수 있었다문재인 대통령은 42번째 국정과제로 탈시설을 공약했지만 아직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 법안 발의 이후 장애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석원 씨(가운데)와 심상정 의원(오른쪽) ‘투쟁을 외치고 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든 피켓에는 ‘지역사회에 공간이 있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주거권 보장하라!’ 등의 구호가 적혀 있다. 사진 김유일 

 

 

 

 

시설에서 나와 현재 지원주택에서 살고 있는 김석원 씨는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김 씨는 내가 원하고 좋아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TV도 볼 수 있고 먹고 싶은 것도 많이 먹을 수 있다. 내 방도 있다. 지원주택이 없으면 못 했을 것이다. 지원주택 관련 제·개정안이 통과돼 더 많은 지원주택이 생기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는 기자회견문에서 시설이나 병원은 집이 아니다. 우리가 요구하는 지원주택은 대안적 주거모델이다.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안정적인 독립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주택과 함께 주거유지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0만 호공급쟁취를 선언한 이유에 대해서는 장애인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인이 3만 명, 정신건강증진시설에 장기입소한 정신장애인이 4만 명, 노숙인이 1만 명 등 지원주택이 필요한 사람은 총 8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 지원주택 수요도 점차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수요에 따른 공급계획 수립은커녕 지원주택 도입조차 못 하고 있다며 이날 발의된 제·개정안의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입법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시설에서 나와 현재 지원주택에서 살고 있는 김석원 씨는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한 활동가가 ‘지원주택 법적근거 마련하라!’,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주거권 보장하라!’라고 적힌 피켓 두 개를 들고 기자회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하민지. 김 씨는 내가 원하고 좋아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TV도 볼 수 있고 먹고 싶은 것도 많이 먹을 수 있다. 내 방도 있다. 지원주택이 없으면 못 했을 것이다. 지원주택 관련 제·개정안이 통과돼 더 많은 지원주택이 생기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지원주택10만호공대위는 기자회견문에서 시설이나 병원은 집이 아니다. 우리가 요구하는 지원주택은 대안적 주거모델이다.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안정적인 독립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주택과 함께 주거유지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0만 호공급쟁취를 선언한 이유에 대해서는 장애인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인이 3만 명, 정신건강증진시설에 장기입소한 정신장애인이 4만 명, 노숙인이 1만 명 등 지원주택이 필요한 사람은 총 8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 지원주택 수요도 점차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수요에 따른 공급계획 수립은커녕 지원주택 도입조차 못 하고 있다며 이날 발의된 제·개정안의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입법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한 활동가가 지원주택 법적근거 마련하라!’,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주거권 보장하라!’라고 적힌 피켓 두 개를 들고 기자회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하민지

                                                                                       

                                                                          

 하민지 기자 abc@beminor.com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비마이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로 기사보내기  트위터()로 기사보내기  URL복사()로 기사보내기

 하민지 기자  abc@beminor.com

다른기사 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 뉴스기사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그 시작은 ‘부양의무제 완전 폐지’ file 이음센터 2020.06.17 197
135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196
134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195
133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194
132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193
131 뉴스기사 고 송국현씨 장례, 복지부 사과 때까지 무기한 연기 고 송국현씨 장례, 복지부 사과 때까지 무기한 연기 장례준비위원회, 복지부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대책 촉구20일, 추모결의대회 후 복지부 장관 집까지 행진 등... 이음센터 2020.04.14 192
130 뉴스기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사 없이 홀로 버틴 11일의 자가격리 제대로 씻지도, 먹지도 못한 채 한쪽 팔로 겨우 생활 자가격리가 끝나도 여전히 불안정한 일상 등록일 ... 이음센터 2020.03.20 192
129 뉴스기사 ‘차별하면 안 된다’, 알면서 왜 차별금지법 반대해? ‘차별하면 안 된다’, 알면서 왜 차별금지법 반대해? [칼럼] 조미경의 장애 그리고 페미니즘 등록일: 2020년 9월 18일 차별, 받고 싶지도 하고 싶지도... 이음센터 2020.09.21 191
128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섹슈얼리티의 시설화’를 넘어서기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1.20 190
127 뉴스기사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기획연재] 장애인, 노동을 묻다 ② 고 김재순 산재 사건을 통해 본 장애인노동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편집자 주] ... 이음센터 2020.09.18 190
126 뉴스기사 장애인이 편의점도 못 가게 하는 법"..위헌심판제청 신청 file 이음센터 2021.04.13 185
125 뉴스기사 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file 이음센터 2020.07.20 185
124 뉴스기사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file 이음센터 2020.04.29 184
123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응책이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로 리모델링? file 이음센터 2020.03.26 184
122 뉴스기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최근 두 달 서울에서만 발달장애인 세 명 ‘추락사’ 잇따른 발달장애인·부모 사망사건에도 대책 마련 안 한 정부가 부른 참사 부모연대 &ldquo... 이음센터 2020.10.08 183
121 뉴스기사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국제 장애단체 리더 3인 인터뷰…“정부, 장애인 복지에 돈 더 써야” (왼쪽부터)클라우츠 라흐비츠(II 대표), 아나 루시아 아렐라노(IDA 의장),... 이음센터 2020.02.12 182
120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181
119 뉴스기사 신아원 농성장 정리… "더 강력한 탈시설지원법 제정 투쟁" 예고 file 이음센터 2021.02.09 180
118 뉴스기사 “장애계의 전태일, ‘김순석 열사’ 동상·기념관 건립하라” “장애계의 전태일, ‘김순석 열사’ 동상·기념관 건립하라” 서울시장 앞으로 유서 남기고 떠난 김순석 열사, 36주기 추모제 열려 ... 이음센터 2020.09.21 180
117 뉴스기사 2021년 새롭게 달라지는 장애인정책 file 이음센터 2021.04.08 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