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1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인운동 내 열사규정 없어, 시급히 논의 필요

출범 10주년 맞은 장애해방열사_, 기념 토론회 개최

 

 

 

 

등록일: 20201015

 

 

 

 

1602761067_37738.jpg장애해방열사_단 10주년 기념 토론회가 15일 오후 2시 대학로 유리빌딩 4층 강당에서 열렸다. 왼쪽에서부터 박김영희 장애해방열사_단 대표, 김병태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 회장,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사진 강혜민


장애해방열사_단(아래 열사_단)이 출범 10주년을 맞았다. 10년 전, 출범 당시 열한 분의 열사를 모시며 시작했으나, 현재는 마흔여 명에 이르는 열사와 희생자를 추모하고 있다.

 

열사_단 10주년 기념 토론회가 15일 오후 2시 대학로 유리빌딩 4층 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 이원교 우동민열사추모사업회 회장, 이창훈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연대 집행위원장이 축사를 전했으며, 노동가수 박준이 축하공연으로 흥을 더했다. 

 

열사_단은 2010년 3월 26일 당시 보건복지부 앞에서 열린 장애해방열사 합동추모제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공식출범했다. 3월 26일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을 폭로하며 싸우다 2001년 숨진 최옥란 열사의 기일이다. 진보적 장애인운동 진영은 2005년부터 최옥란 열사의 기일인 3월 26일에 맞춰 ‘장애인대회’를 열고 4월 20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까지 집중 투쟁을 벌인다.

 

장애계는 84년 ‘서울거리에 턱을 없애주시오’라는 유서를 남기고 음독자결한 김순석 열사를  장애해방열사의 시초로 본다. 이후 95년 장애인 노점상 최정환·이덕인 열사의 죽음이 있었으며, 2000년대 초 최옥란·정태수·박흥수 열사가 산화했다. 2010년 이후에는 열사보다는 장애인복지제도의 사각지대로 인해 안타깝게 숨진 ‘희생자’들이 더 많아졌다. 활동지원사가 없는 사이 숨진 김주영·송국현·오지석, 인천 해바라기시설에서 의문사한 이재진, 장애 의무 재판정 후 등급 외 판정을 받아 자결한 박진영 등이 있다.

 

1602761086_93979.jpg토론회장 한 벽면에는 장애해방열사·희생자 43명의 영정이 현수막으로 프린트되어 걸려 있다. 사진 강혜민

 

장애해방열사들이 기록되고 기억되는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장애인운동 내에서 장애해방을 위해 그 삶을 온전히 쏟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장애해방’이란 대체 무엇일까?

 

이날 ‘장애해방운동의 역사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발제한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는 “‘해방’이란 다소 추상적인 개념일 수밖에 없기에 그 해방의 실현태에 대한 보다 구체화된 상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면서 지난 30여 년간 이어져 온 진보적 장애인운동의 역사를 짚으며 ‘장애해방’의 구체적 상을 그려나갔다.

 

김 연구활동가는 장애인운동의 흐름을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1기에는 노동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고용할당제를 통한 노동시장의 참여’처럼 자본주의 시장 시스템 내에서의 장애인 지분 확보에 그쳤다. 반면 2기 장애인운동(2001~2007년)에서는 7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이동권, 교육권, 차별금지, 사회서비스 등의 기본권 영역에서 급속적이면서 눈부신 성과를 만들어냈다. 서구의 장애인운동이 20~30여 년에 걸쳐 이뤄낸 성과들을 단숨에 성취해낸 것이다. 이때 운동의 주체가 중증장애인과 장애인 부모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3기(2008년 이후)에는 시설 문제가 과거의 ‘님비 대응 투쟁’과 ‘시설 민주화 투쟁’을 넘어 탈시설 투쟁으로, 노동 문제는 ‘노동시장으로의 참여’를 넘어 ‘노동권의 공적 보장’을 제기하는 단계로 진전했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김 연구활동가는 “장애해방의 ‘잠정적’ 실현태를 시설사회의 철폐와 만인을 위한 노동사회의 구축(장애 배제적 노동사회의 철폐)으로 상정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이는 노동 및 시설문제가 ‘장애인’이라는 범주 자체의 생성과 그 역사적 기원에 맞물려 있는 매우 근본적 의제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그리고 장애해방열사들은 바로 이러한 역사를 온몸으로 밀고 온 이들이다. 따라서 열사_단이 지난 10년 간 주력한 활동은 △열사 및 희생자 추모제 △326 장애해방열사 합동추모제 기획 및 진행 △장애해방열사배움터 개최 △열사 자료 아카이빙이다.

 

박김영희 열사_단 대표는 “단순 추모제를 넘어 열사의 정신을 현장 활동가들에게 전파하는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특히 열사 배움터는 신입활동가들이 장애인운동의 역사를 배우고 그 속에서 장애해방열사와 희생자들의 삶과 정신을 되새김으로써 비장애중심의 사회에서 장애인운동의 전망을 찾아가는 좋은 교육이 되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도 박김 대표는 “아직 진보적 장애인운동 내에서는 ‘열사’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2011년 1월 2일 돌아가신 우동민 열사 안장 이후 열사 추대는 중단된 상태”라면서 “열사_단에서 독단적으로 진행할 수도 없고 개별 추모단위의 책임과 의무도 있기에 구체적 논의를 아직까지 하지 못했다. 장애계 내에서 (가칭)장애해방열사추대위원회를 구성해 시급히 논의해야 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출처: http://www.beminor.com/detail.php?number=15178&thread=04r03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뉴스기사 인식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보편적 디자인을 위하여 file 이음센터 2020.12.08 221
55 뉴스기사 15년 탈시설운동의 성과, 국회의원 68명 공동발의로 ‘탈시설지원법안’ 발의 file 이음센터 2020.12.14 265
54 뉴스기사 탈시설,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일 file 이음센터 2020.12.17 197
53 뉴스기사 서울시장 보궐선거 겨냥해 후보 11명 내는 ‘탈시설장애인당’ 창당 file 이음센터 2020.12.22 137
52 뉴스기사 서울시청 앞 45개 텐트,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탈시설을 촉구하다 file 이음센터 2020.12.30 142
51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유엔 특보에 ‘집단감염 신아원’ 긴급 진정 file 이음센터 2021.01.11 130
50 뉴스기사 장애계, ‘시설에서 죽어야 하는 사회’ 철폐하는 한 해 만들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11 122
49 뉴스기사 장애계, 신아재활원 긴급 탈시설 이행 촉구 천막농성 file 이음센터 2021.01.26 162
48 뉴스기사 탈시설 장애인, 대구시가 고르겠다? file 이음센터 2021.01.26 119
47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11명, ‘서울시장 후보’ 본격 선거유세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1.28 174
46 뉴스기사 탈시설 농성장서 열린 시설희생자 추모제 "탈시설 세상 만들자" file 이음센터 2021.02.01 167
45 뉴스기사 신아원 농성장 정리… "더 강력한 탈시설지원법 제정 투쟁" 예고 file 이음센터 2021.02.09 180
44 뉴스기사 자매끼리 다툰다는 이유로 ‘시설 재입소’ 결정한 포항시 file 이음센터 2021.02.09 119
43 뉴스기사 ‘모든 장애인은 시험응시할 수 없다’는 한국애견협회 file 이음센터 2021.03.24 174
42 뉴스기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번역] 임신중지와 장애: 교차적 인권 기반 접근을 향하여 등록일: 2020년 12월 21일 김보영 기자 [기획연재] 장애, 성을 밝히고 재생산에 올라타다 [공동기획] ... 이음센터 2021.03.24 173
41 뉴스기사 나의 멋진 엄마가 감옥에 갔다, ‘저항’이라고 했다 file 이음센터 2021.03.25 165
40 뉴스기사 탈시설장애인당 공식활동 종료… “진짜정치 이제 시작” file 이음센터 2021.03.25 132
39 뉴스기사 여주 라파엘의집’, 코로나 집단감염에 장애인 학대까지 file 이음센터 2021.03.25 246
38 뉴스기사 한국 장애계, CRPD 노동권 일반논평에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반영해야” file 이음센터 2021.03.26 203
37 뉴스기사 안녕하세요, ‘노동자 조상지’입니다. file 이음센터 2021.03.26 2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