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하민지 기자 | 입력 2023.07.11 15:14 |수정 2023.07.11 15:46

 

  • 기자명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 기자명 
  •  
  •  
  •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 기자명 하민지 기자 
  •  
  •  입력 2023.07.11 15:14
  •  
  •  수정 2023.07.11 15:46
  •  
  •  댓글 0

 

독립형 주거 공간 제공한다더니…
한 공간에 4명, 한 시설에 20명 이상
장애인들 “개 목줄 색깔 바꾼다고 뭐가 달라지나”

보건복지부가 소규모 장애인거주시설을 늘리는 내용의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장애인들은 “‘집단생활’이라는 시설의 구조적 문제는 건드리지 않은 채 ‘좋은 시설 만들기’에 힘쓰는 내용이다. 국제적 기준을 거스르는 기만적 태도”라며 크게 반발했다.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아래 탈시설연대) 등 장애인운동단체 활동가들은 7일 오전 8시, 서울시 영등포구 9호선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개악안을 저지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성토했다.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사무국장이 “시설수용은 선택이 아니라 차별이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하민지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사무국장이 “시설수용은 선택이 아니라 차별이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하민지

- 4명이 같이 사는데 ‘독립형’?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15일,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 개정령안은 장애인 거주시설 유형으로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을 신설하고 이에 대한 설치·운영 기준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관련 자료: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복지부는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을 “장애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을 제공하는 여러 개의 개별 주거 공간을 설치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주거지원·일상생활지원·지역사회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라 설명한다. 쉽게 말하면 ‘서비스가 포함된 내 집 같은 시설’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복지부는 “장애인에게 사적 공간을 보장하며 지역사회와 통합을 지향하”고자 이같이 개정한다고 밝혔다.

사적 공간을 보장한다지만 혼자 살 수 있는 건 아니다. 복지부는 독립형 주거서비스 제공기관의 규모를 “상시 20명 이상 생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별 주거 공간을 마련하되, 각 주거 공간의 정원은 4명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고 설명한다. 독립적 주거 공간에는 침실(1인 1실 제공), 거실, 주방 공간, 화장실 등이 갖춰져야 한다. 여기서 최대 4명까지 같이 살 수 있으며, 이러한 주거 공간이 한데 모인 시설에는 20명 이상 단체로 거주할 수 있다는 뜻이다.

복지부는 이번 개정령안 ‘규제영향분석서’ 비용편익분석에서 “추가적 비용 없이 거주 장애인의 편익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한다. 거주 장애인의 삶이 실제 크게 개선될지는 미지수다. 침실의 경우 1인 1실을 보장하겠다면서도 2인 1실 제공까지 열어뒀다. 수십 명이 한 공간에 거주하는 근본적 문제는 전혀 건드리지 않았다.

복지부의 2020년 ‘장애인거주시설 전수조사’에 따르면 한 방에 평균 4.7명이 살고 있었다. 복지부는 이런 집단거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 주거 공간을 최대 4명까지만 쓰도록 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예외 조항을 둬서 한 방에 5명 이상 거주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놨다. “다만, 이용자의 동의를 받고, 시설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친 후,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개별 주거 공간의 정원을 5명 이상으로 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단 것이다.

복지부는 ‘이용자의 동의를 받겠다’곤 하지만 시설거주 장애인이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기 어렵고 중증발달장애인이 의사 표현을 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점을 고려할 때, 시설이 동의여부를 조작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활동가들이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투쟁”을 외치고 있다. 현수막에는 “우리는 시설 개선이 아니라 탈시설을 원한다! 시설 확대하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 반대 기자회견”의라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활동가들이 국회의사당역 승강장에서 “투쟁”을 외치고 있다. 현수막에는 “우리는 시설 개선이 아니라 탈시설을 원한다! 시설 확대하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 반대 기자회견”의라 적혀 있다. 사진 하민지

- 장애인들 “개 목줄 색깔 바꾼다고 뭐가 달라지나”

장애인들은 개정령안을 크게 비판했다. 탈시설연대는 “개정령안은 기존 시설의 구조만 변경하고 시설의 구조적 문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내용이다. 이대로라면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로부터의) 분리 정책은 절대 해결될 수 없다”며 “장애인은 여전히 집단생활로 자기 결정권이 박탈되고 개인의 삶이 없는 채로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정부는 ‘독립형 서비스’ 운운하며 기존 시설에 투입되는 기능보강사업비를 대폭 늘릴 수 있다. 이는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아래 유엔위원회)의 권고를 전면 부정하는 행위다. 유엔위원회는 현존하는 시설에 대한 투자를 금지하고 지역사회 자립생활 예산을 늘리라고 권고했다. 정부는 이에 완전히 역행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가 “격리와 배제, 거주시설 반대”라고 적힌 피켓을 목에 걸고 발언 중이다. 사진 하민지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가 “격리와 배제, 거주시설 반대”라고 적힌 피켓을 목에 걸고 발언 중이다. 사진 하민지

시설에서 장기간 거주하다 탈시설한 장애인들의 성토도 이어졌다. 추경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는 “시설에서 15년을 살았다. 지옥 같은 시간이었다. 주먹으로 때리고, 욕하고, 발달장애인이 의사 표현 못 한다고 폭행하고, 밖에 절대 내보내 주지 않았다. 내부고발자가 없는 이상 시설 문제는 아무도 알 수 없다”며 “개정령안이 시행되지 않도록 끝까지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상지 씨가 “투쟁”을 외치고 있다. 그의 옆에는 “지역사회 함께 살자”라고 적힌 피켓이 있다. 사진 하민지조상지 씨가 “투쟁”을 외치고 있다. 그의 옆에는 “지역사회 함께 살자”라고 적힌 피켓이 있다. 사진 하민지

20년간 시설에 갇혀 살았던 탈시설연대 회원 조상지 씨는 “좋은 시설은 없다”고 강조했다.

조 씨는 “사람은 경험 속에서 생각할 능력이 만들어지는데 시설은 생각할 기회를 주지 않는다. 내가 경험하는 일들이 인간적인지, 비인간적인지 판단할 수 없게 만들며 시설 밖으로 나오면 개죽음당한다고 세뇌한다”면서 “좋은 시설과 나쁜 시설의 차이는 ‘마당에 묶어놓고 사람들이 먹다 남은 밥을 먹는 개’와 ‘집안에서 사료 먹는 개’의 차이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개정안은 ‘집 안에서 사료 줄 테니 계속 시설에 있어라’라며 장애인을 세상과 격리하는 것”이라면서 “까만색 목줄을 형광으로 바꾼다고 시설이 감옥이라는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 좋은 시설은 없다”고 성토했다.

탈시설연대는 “장애인에게 필요한 건 탈시설과 지역사회 자립생활 권리 보장이다. 이를 위해선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장애인복지법 전면 개정,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이 필요하다”라며 “해당 개정령안 시행을 막기 위한 의견서를 모아 복지부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뉴스기사 서울시, ‘시설단위 장애인 탈시설 모델’ 개발 나선다 file 이음센터 2020.03.24 173
95 뉴스기사 서울시, 65세 이상 고령장애인 ‘활동지원 시 추가’ 지원한다 허현덕기자 2021년6월8일10시12분 기존 활동지원 이용자, 만 65세 이후 월 100~200시간 시 추가 지원 시설 퇴소 만65세 이상 장애인, 월 120~320시간 지원&hellip... 이음센터 2021.06.09 233
94 뉴스기사 서울시, 10월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변환사업’ 시범사업 시행 file 이음센터 2020.09.16 152
93 뉴스기사 서울시 장애인 탈시설 권리를 위해 앞장 선 문애린 이규식 이형숙 선처를 위한 탄원서 제출 함께 해요! file 이음센터 2020.06.17 279
92 뉴스기사 생명 윤리와 장애 예방: 임신중절은 여성의 기본권을 박탈하는 행위 김형식 전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에이블뉴스DB 임신중절은 여성의 기본권을 박탈하는 행위 어렵지만 한번쯤은 짚어보고 싶다는 주제였다. 한번은 아일랜... 이음센터 2020.02.19 255
91 뉴스기사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산재에서 장애인노동자는 왜 셈해지지 않나 [기획연재] 장애인, 노동을 묻다 ② 고 김재순 산재 사건을 통해 본 장애인노동 등록일: 2020년 9월 17일 [편집자 주] ... 이음센터 2020.09.18 190
90 뉴스기사 사망사건 발생한 시설에서 구조된 학대 피해 장애인들, 또다시 거주시설로? 사망사건 발생한 시설에서 구조된 학대 피해 장애인들, 또다시 거주시설로? 경기도장애인권익옹호기관, ‘피해자 16명 가운데 14명 전원 조치’ 의견 ... 이음센터 2020.06.15 151
89 뉴스기사 복지부 장관 면담 요구하던 활동가4명 연행...장관 면담하곘다 약속 복지부 장관 면담 요구하던 활동가 4명 연행… 장관 “면담하겠다” 약속 기자명 허현덕 기자 입력 2021.07.02 20:26 수정 2021.07.02 20:30 댓... 이음센터 2021.07.07 328
» 뉴스기사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복지부 ‘시설 쪼개서 좋은 시설 만들자’… 장애인들 “때려치워라” 하민지 기자 | 입력 2023.07.11 15:14 |수정 2023.07.11 15:46   기자명 하민지 기자     입... 이음센터 2023.08.22 85
87 뉴스기사 복지관 ‘비리·악행’ 보다 못해 행동 나선 사회복지사들 복지관 ‘비리·악행’ 보다 못해 행동 나선 사회복지사들 김빛이나 기자 (kshine09@newscj.com) ▲ 사회복지사들과 공공운수노동조합이 19일 오... 이음센터 2020.03.05 570
86 뉴스기사 복지TV뉴스24 _ 제12회 이음여행, ‘그들이 말하는 자립생활’ / 2023.08.30 이음센터 2023.08.31 95
85 뉴스기사 보조공학 기기와 나의 삶, 욕망에 대하여 보조공학 기기와 나의 삶, 욕망에 대하여 [칼럼] 김상희의 삐딱한 시선 29일간의 병원 생활 ③ 등록일: 2020년 9월 16일 - 나는 일생일대 대형 사고를 치기로 했다... 이음센터 2020.09.18 162
84 뉴스기사 백종원 더본코리아,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file 이음센터 2020.09.03 159
83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채용으로 기업 홍보하더니, 괴롭힘에는 모른 척? file 이음센터 2020.10.08 143
82 뉴스기사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과도한 서류가 상담을 방해한다 상담형식은 계속 바뀌는데… 수년째 바뀌지 않는 ‘필수서류’들 서류는 많고 급여는 적고... 이음센터 2020.10.20 249
81 뉴스기사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박능후 장관 “부양의무자 기준, 2년 내로 완전 폐지하겠다” 수급비 52만 원으로는 최저 생존만 가능… 현실성 없는 생계급여 인상돼야 아들에... 이음센터 2020.07.06 206
80 뉴스기사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바이러스는 어떻게 질병이 되는가 [칼럼] 안희제의 말 많은 경계인 등록일 [ 2020년03월03일 11시54분 ] 코로나바이러스-19 ⓒ픽사베이 코로나바이러스-19(아래 ... 이음센터 2020.03.04 205
79 뉴스기사 메르스 이후 4년, ‘코로나19’에도 장애인 대책 없어… “정부가 더 무섭다” 메르스 이후 4년, ‘코로나19’에도 장애인 대책 없어… “정부가 더 무섭다” 감염병 대책에서 또다시 ‘민낯’ 드러낸 ... 이음센터 2020.02.26 226
78 뉴스기사 마스크 쓰지 않고 치료받을 권리 file 이음센터 2020.11.05 157
77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