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3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24일 포항시의회 추경 통과7월부터 중증장애인 3명 대상 24시간 활동지원 예정

포항시 장애인들 내년도 본예산에 제대로 반영될 때까지 투쟁할 것

 

 

 

 

                                                                                                                           등록일: 2020428

 

 

 

 

1588061193_13840.jpg

23, 포항시 장애계 및 시민단체들이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을 맞아 포항시청 앞에서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장애인 생존권 보장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참가자들은 포항시에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서비스 예산 지원 등을 요구했다. 사진제공 포항IL센터

 

 

포항시가 7월부터 경북 지역 최초로 중증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하루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시작한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24, 포항시의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중증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24시간 예산안이 통과됐다. 포항시는 기존 국비 등의 예산 지원을 고려해 중증장애인 한 사람당 1년에 58백만 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1년 동안 3명의 중증장애인에 대해 총 174백만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7월부터 6개월간 총 8,74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며, 지원대상자 신청을 통해 하루 24시간 활동지원이 꼭 필요한 3명의 중증장애인을 선정해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포항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아래 포항IL센터)를 비롯해 포항시 장애인단체들은 작년부터 포항시에 24시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지난 219일에는 포항시 장애인들이 포항시장실을 기습 점거해 하루 24시간 활동지원 보장을 촉구했다. 이에 포항시장은 중증장애인 5명에 대한 24시간 활동지원 예산이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성열 포항IL센터 사무국장은 작년 10월에 중증장애인 5명에 대한 24시간 활동지원 예산안이 포항시의회 안건에 올라갔지만, 심의조차 되지 않았다. 올해는 투쟁을 통해 다시 추경에 5명에 대한 예산안이 상정됐으며, 이중 2명이 삭감된 3명에 대한 예산안이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사무국장은 “47일부터 현재까지 포항시청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나가고 있다라며 포항시에서 독거 중증장애인 추가지원으로 최대 활동지원 시간을 받는 약 15명의 장애인과 중복발달장애로 지원이 필요한 분들 모두 24시간 활동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내년 본예산에 제대로 반영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포항시는 지난 2017년 지진으로 인해 재난특별지역으로 선정되었고, 이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많이 발생한 경북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김 사무국장은 감염 예방과 재난 안전을 위해서라도 재난에 취약한 중증장애인에게 활동지원 24시간은 절실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청 관계자에게 이번 예산안이 통과된 계기를 묻자 포항IL센터에서 지속적으로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을 요구했다면서 다른 시, 도 단위를 확인해보니 광역시 차원에서 지원할 뿐 경상북도나 전라남도 등에서는 지원하지 않아 곤란했다. 그러나 (장애계가) 포항시는 경상북도에서 큰 도시인만큼 선진적으로 추진해달라고 요구해 그 필요성을 인정하게 되어 진행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계자는 “24시간 활동지원을 받지 못해 생명이 위험한 장애인을 방치하면 안 되지 않나. 지자체가 예산이 부족해 부담되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가 (24시간 활동지원에 대한) 기준을 정해 지방정부가 따라갈 수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출처: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14620&thread=04r0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뉴스기사 올해 65세 활동지원 끊긴 최중증장애인, 서울시가 지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01 346
69 뉴스기사 ‘사회적 거리두기’ 한국수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file 이음센터 2020.05.27 339
68 뉴스기사 자폐성 장애인과 가까워지는 7걸음 매년 4월 2일은 세계 자폐성장애 인식의날 (세계 자폐인의 날)입니다. 처음 만난 사람과 대화할 때,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쓰시나요?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공... 이음센터 2020.05.26 384
67 뉴스기사 휠체어 타고 레트로 감성여행 '서천 판교마을’ file 이음센터 2020.05.25 435
66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382
65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329
64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307
63 뉴스기사 ‘나를 보라’ 제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file 이음센터 2020.05.18 298
62 뉴스기사 서울시, 드디어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만든다 file 이음센터 2020.05.15 333
61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401
60 뉴스기사 신길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 2심에서도 유족 승소 file 이음센터 2020.05.14 347
59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328
58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320
57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368
56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241
55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279
54 뉴스기사 질병 후,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달라졌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299
53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332
» 뉴스기사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24일 포항시의회 추경 통과… 7월부터 중증장애인 3명 대상 24시간 활동지원 예정 포항시 장애인... file 이음센터 2020.04.29 368
51 뉴스기사 [장애인 교육권③] 장애인교사들, 온라인 개학으로 소외감 증폭 [장애인 교육권③] 장애인교사들, 온라인 개학으로 소외감 증폭 온라인 개학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작 지원 전무해 교육부에 담당부처조차 없어… 소수인 ... 이음센터 2020.04.29 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