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조회 수 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를 보라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개막작 김다예 선언폐막작 느릿느릿 달팽이 라디오선정

전염병과 장애인’, ‘장애인 노동권등을 주제로 부대행사도

 

 

                                                                                                                            등록일 202058

 

 

 

 

 

 

 

 

1588914757_74027.jpg

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포스터.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제공

 

 

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나를 보라가 오는 28()부터 30()까지 3일간 서울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열린다.

 

이번 영화제는 나를 보라라는 주제로 타인이 바라보는 나를 마주하고, 스스로 질문을 던져 새롭게 생각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작품에서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고 노동하며 지내는 보통의 삶이 펼쳐진다. 주최 측은 보통의 삶이 쉽지 않은 세상에서 그 사람이 장애를 가졌을 때 구성해야 할 환경이 무엇인지 함께 상상하고 연대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했다라고 전했다.

 

영화제에서는 공식 선정작 10, 초청작 3, 연대작 1편으로 모두 14편을 상영한다. 개막작으로는 우울증, 공황장애 환자인 김다예 씨가 주변에 자기 병을 알리는 과정을 담은 김다예 선언(연출 김다예)’이 선정됐다. 폐막작은 빛보다 어둠이 익숙한 시각장애인이 라디오로 세상과 소통하는 내용을 담은 느릿느릿 달팽이 라디오(연출 양동준)’를 상영한다. 그 밖에도 우리 사랑 이야기’, ‘길가의 풀’ ‘사랑하는 그대처럼 3편의 해외초청작도 볼 수 있다.

 

모든 영화는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상영작에는 한글 자막과 수어통역이 화면에 담겨 있다. 선정작 10편은 시각장애인 화면해설도 지원한다. ·폐막식을 비롯한 관객과의 대화 등 모든 행사 프로그램에 수어통역을 지원한다.

 

영화제는 오는 28일 정오부터 마로니에 공원에서 작품 상영을 시작으로, 오후 630분에는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에서 개막식이 열린다. 30일 오후 6시부터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 야외무대에서 폐막작을 상영하고 마무리된다.

 

영화제 기간에는 영화 상영뿐 아니라 전염병과 장애인’, ‘장애인 노동권’,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등을 주제로 부대행사도 마련돼 있다.

 

, 창작공간 비닷에서 진행하는 공공연한 일자리의 사실나와 함께 살자등의 부대행사는 선착순 30명으로 사전신청을 받고 있다. 사전접수 관련 안내는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홈페이지(www.420sdff.com) 공지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1588914924_31048.jpg

프로그램 진행순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뉴스기사 올해 65세 활동지원 끊긴 최중증장애인, 서울시가 지원한다. file 이음센터 2020.06.01 346
69 뉴스기사 ‘사회적 거리두기’ 한국수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file 이음센터 2020.05.27 339
68 뉴스기사 자폐성 장애인과 가까워지는 7걸음 매년 4월 2일은 세계 자폐성장애 인식의날 (세계 자폐인의 날)입니다. 처음 만난 사람과 대화할 때,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을 쓰시나요?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 공... 이음센터 2020.05.26 384
67 뉴스기사 휠체어 타고 레트로 감성여행 '서천 판교마을’ file 이음센터 2020.05.25 435
66 뉴스기사 뚜렛증후군, 처음으로 장애인등록 이뤄져 file 이음센터 2020.05.22 382
65 뉴스기사 [부고] 윤은주 동료지원가, 패혈증으로 17일 사망 file 이음센터 2020.05.20 329
64 뉴스기사 장애인들, 선거 때마다 반복된 참정권 침해에 중앙선관위 항의 방문 file 이음센터 2020.05.20 307
» 뉴스기사 ‘나를 보라’ 제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나를 보라’ 제18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8일 열린다 개막작 ‘김다예 선언’ 폐막작 ‘느릿느릿 달팽이 라디오’ 선정 &lsqu... file 이음센터 2020.05.18 298
62 뉴스기사 서울시, 드디어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만든다 file 이음센터 2020.05.15 333
61 뉴스기사 코로나19 대책에서 배제된 빈곤층, 어떻게 개선될 수 있나 file 이음센터 2020.05.15 401
60 뉴스기사 신길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 2심에서도 유족 승소 file 이음센터 2020.05.14 347
59 뉴스기사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코로나19 방역 대책 마련해야” 1인 시위 돌입 file 이음센터 2020.05.14 328
58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약속 file 이음센터 2020.05.11 320
57 뉴스기사 [고병권의 묵묵]삶이 가장 축소된 순간, 혼자여선 안돼 file 이음센터 2020.05.11 368
56 뉴스기사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집회 금지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인권으로 읽는 세상 ‘감염병 예방’, ‘권력기관 보호’, ‘소음’에 갇힌 집회시위의 권리 등... 이음센터 2020.05.07 241
55 뉴스기사 노동절, 장애인노조 깃발 휘날리며 “장애인도 노동자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279
54 뉴스기사 질병 후, 나를 둘러싼 모든 것이 달라졌다 file 이음센터 2020.05.04 299
53 뉴스기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로 드러난 ‘장애인 수용시설’ 문제, 서울에서도 해결 촉구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해야” 서울에서도 ... 이음센터 2020.05.01 332
52 뉴스기사 포항시, 경북 최초로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시작 file 이음센터 2020.04.29 368
51 뉴스기사 [장애인 교육권③] 장애인교사들, 온라인 개학으로 소외감 증폭 [장애인 교육권③] 장애인교사들, 온라인 개학으로 소외감 증폭 온라인 개학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작 지원 전무해 교육부에 담당부처조차 없어… 소수인 ... 이음센터 2020.04.29 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