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1년 4월 30일, ‘향유의집’ 폐쇄되던 날

  • 기자명 강혜민 기자 

  •  입력 2021.05.01 10:35

  •  수정 2021.05.01 10:

‘마로니에 8인’과의 동행
“한없이 커 보였던 시설이 이젠 되게 작아 보여”

사람들이 향유의집 본관 3층에서 2층으로 이어지는 경사로를 내려오고 있다. 가장 앞에는 김동림 씨가 있다. 사진 강혜민사람들이 향유의집 본관 3층에서 2층으로 이어지는 경사로를 내려오고 있다. 가장 앞에는 김동림 씨가 있다. 사진 강혜민

층과 층 사이는 계단이 아닌 매끄러운 경사로로 이어져 있다. 휠체어 탄 이들에게 친절해 보이는 이 경사로는 제법 가팔라서 수동휠체어는 오르기 어렵다. 2층으로 들어가면 긴 복도를 가운데 두고 열 개의 방이 서로를 마주 보고 있다. 일반 원룸보다 아주 조금 큰 이 방에서 과거엔 네 명이 함께 살았다. 방 두 개가 가운데 화장실을 통해 이어져 있는 기이한 형태다. 중증장애인 여덟 명이 화장실 한 개를 나누어 써야 했으니, 누군가는 새벽 다섯 시부터 일어나서 씻어야 했다.

이제 이곳에는 아무도 살지 않는다. 옷장에 두고 간 몇 개의 티셔츠, 장롱 속 이불 따위가 미련 없이 방에 버려져 있다. 한때 이 건물에는 120여 명의 장애인이 수용되어 있었다.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에 있는 장애인거주시설 향유의집 이야기다. 과거 이름은 석암베데스다요양원.

이곳이 4월 30일, 완전히 문을 닫는다. 2018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76명이 지원주택으로 떠났다. 모든 시설 거주인이 지역사회로 떠나 텅 비어버린 시설이 문을 닫는, 그야말로 역사적인 날이다.

향유의집 본관 3층. 과거에는 이곳 또한 거주 장애인들의 생활공간이었으나 거주인 수가 줄어들면서, 건물 바깥의 별도 컨테이너건물에 있던 사무실이 이곳으로 들어왔다. 다르게 구성된 바닥 재질은 과거의 흔적이다. 왼쪽은 복도였고, 오른쪽은 거주인들의 방이었다. 사진 강혜민향유의집 본관 3층. 과거에는 이곳 또한 거주 장애인들의 생활공간이었으나 거주인 수가 줄어들면서, 건물 바깥의 별도 컨테이너건물에 있던 사무실이 이곳으로 들어왔다. 다르게 구성된 바닥 재질은 과거의 흔적이다. 왼쪽은 복도였고, 오른쪽은 거주인들의 방이었다. 사진 강혜민
강민정 향유의집 사무국장과 과거 시설 생활인이었던 김진수 씨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강 사무국장은 김진수 씨를 ‘진수 아저씨’라고 불렀다. 사진 강혜민강민정 향유의집 사무국장과 과거 시설 생활인이었던 김진수 씨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강 사무국장은 김진수 씨를 ‘진수 아저씨’라고 불렀다. 사진 강혜민

“이제 끝났어, 향유의집도 끝이야.”

“나는 이런 날이 안 올 줄 알았어.”

오늘이 마지막 출근일이 된 향유의집 사무국장 강민정의 말에 ‘진수 아저씨’가 답했다. 그들은 과거엔 거주인들의 생활공간이었으나 현재는 사무실이 된 3층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거주인 수가 줄어들면서 별도의 컨테이너건물에 있던 사무실이 건물 안으로 들어왔다. ‘진수 아저씨’의 전화벨이 울린 것은 그때였다.

“어, 동림아. 3층 네 방 앞에 있다.”

잠시 후, 전동휠체어를 탄 김동림이 나타났다. 김동림이 ‘과거 김동림의 방’ 앞에서 내부를 쓱 둘러본다. ‘시설 폐지’를 기념하며 ‘마로니에 8인’ 김동림, 김진수, 한규선은 4월 30일, 향유의집을 찾았다.

김동림 씨가 자신이 살던 3층 방 안에 서 있다. 3층이 사무실로 사용되면서 이곳도 더는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방 안엔 침대 세 개와 물리치료기기가 놓여 있다. 사진 강혜민김동림 씨가 자신이 살던 3층 방 안에 서 있다. 3층이 사무실로 사용되면서 이곳도 더는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방 안엔 침대 세 개와 물리치료기기가 놓여 있다. 사진 강혜민
한규선 씨가 과거 자신이 살던 방 안에 서 있다. 사진 강혜민한규선 씨가 과거 자신이 살던 방 안에 서 있다. 사진 강혜민

김동림은 스물여섯이던 1987년 9월에 석암베데스다요양원에 입소해 마흔여덟이던 2009년 그곳에서 나왔다. 그해, 시설 운영자인 사회복지법인 석암재단(현 프리웰)의 비리를 제보하고 비리 척결을 싸우던 시설 거주인들은 문제를 일으킨 사람들을 내쫓아도 자신의 삶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여전히 배고플 때 밥을 먹을 수 없고 외출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지긋지긋한 이 시설을 나가자고 결심했다. 그 길로 보따리 싸 들고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공원에서 무작정 농성을 시작했다. ‘장애인도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살 수 있도록 집을 달라’는 것이 요구였다. 농성은 62일간 이어졌고, 그 결과 전국 최초로 자립생활주택이 만들어졌다. 탈시설 정책의 초석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 ‘마로니에 8인’의 투쟁이다.

‘마로니에 8인’은 이후에도 탈시설-자립생활운동을 이어갔다. 세상의 모든 시설을 없애고 싶었던 그들은 마침내 그들이 살던 시설을 없앨 수 있게 됐다. 장애인운동의 성과이면서 ‘마로니에 8인’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싸움이었다.

‘정말 시설이 폐쇄될 수 있을까’ 의구심으로 가득했던 시간을 뚫고 도착한 2021년 4월 30일은 슬프면서도 너무 좋고 뭉클했다. 김동림은 “한없이 커 보였던 시설이 오늘은 되게 조그만해 보인다”고 했다.

향유의집 내부를 둘러보는 사람들. 사진 강혜민향유의집 내부를 둘러보는 사람들. 사진 강혜민
거주인이 생활하던 방 내부. 운영자인 사회복지법인 프리웰의 탈시설 정책 추진으로 거주인 수가 줄어들면서는 한 사람이 한 개의 방을 사용했다. 사진 강혜민거주인이 생활하던 방 내부. 운영자인 사회복지법인 프리웰의 탈시설 정책 추진으로 거주인 수가 줄어들면서는 한 사람이 한 개의 방을 사용했다. 사진 강혜민

“시설이 왜 작아 보였냐면, 내가 나왔으니깐. 내가 계속 (시설에) 있었더라면 커 보였겠지. 시설 박차고 나올 수 있게끔 사람들이 도와주고, 그동안 나는 이만큼 컸으니깐.”

김동림이 허공에 그래프를 그리며 말했다. “시설에 있었을 때 내 삶은 이렇게 밑바닥이었어. 지금은 이만큼 올라갔지(대각선이 위로 쭉쭉 올라간다). 그런데 시설은 항상 밑바닥이니깐. 지금은 모든 시설이 다 조그만하게 보여. 아무리 좋은 시설이어도 시설은 시설이니깐.”

위에서 내려다보니 전체 구조가 투명하게 보인다는 듯, 김동림이 말했다. “우리가 외치잖아. ‘자유로운 삶, 시설 밖으로’ 그 말이 맞는 것 같아. 시설은 감옥이야, 감옥.”

향유의집 내부. 긴 복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여러 개의 방이 있다. 방 안에는 과거 세네 명씩 함께 거주했다.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방문은 늘 열려 있었다. 사진 강혜민향유의집 내부. 긴 복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여러 개의 방이 있다. 방 안에는 과거 세네 명씩 함께 거주했다.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방문은 늘 열려 있었다. 사진 강혜민
‘문제행동’하는 발달장애인을 감금시키기 위해 과거 향유의집(구 석암베데스다요양원)이 사용했던 나무문. 복도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나무문에는 세 개의 잠금장치가 달려있다. 사진 강혜민‘문제행동’하는 발달장애인을 감금시키기 위해 과거 향유의집(구 석암베데스다요양원)이 사용했던 나무문. 복도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나무문에는 세 개의 잠금장치가 달려있다. 사진 강혜민

‘자유로운 삶’을 말하며 김동림은 아내 이야기를 했다. 아내 미경도 탈시설 장애인이다. 시설에서 나온 김동림은 1년의 연애 끝에 2011년 미경과 결혼했다.

“시설에 있었을 때는 자유를 못 느꼈는데, 자유를 느끼고 자유라는 단어를 알았을 때. 미경인 자유라는 말만 들어도 눈물을 보여.”

자유는 일과시간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느끼는 것’이었다. 계절마다 미경과 꽃구경 가서 느끼는 바람, 친구와 함께 먹는 맛있는 밥, 탈시설을 외치는 집회에서의 해방감. 이론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온전히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자유’가 시설 밖에 있었다. 자유를 품은 김동림이 말했다.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 내가 많이 지역사회로 내보내야겠다. 그게 내 꿈이야.”

2021년 4월 30일, 폐쇄된 사회복지법인 프리웰 산하 향유의집. 2009년 향유의집(구 석암베데스다요양원)을 나와 자립생활정책을 요구하며 투쟁했던 ‘마로니에 8인’ 한규선, 김동림, 김진수 씨(왼쪽부터). 그 뒤로는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포장애인야학 활동가들과 강민정 향유의집 사무국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있다. 현재 김진수 씨는 김포센터 소장이며, 김동림 씨는 김포야학 교감선생님으로 활동하면서 장애인 탈시설-자립생활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2021년 4월 30일, 폐쇄된 사회복지법인 프리웰 산하 향유의집. 2009년 향유의집(구 석암베데스다요양원)을 나와 자립생활정책을 요구하며 투쟁했던 ‘마로니에 8인’ 한규선, 김동림, 김진수 씨(왼쪽부터). 그 뒤로는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포장애인야학 활동가들과 강민정 향유의집 사무국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있다. 현재 김진수 씨는 김포센터 소장이며, 김동림 씨는 김포야학 교감선생님으로 활동하면서 장애인 탈시설-자립생활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강혜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장애인도 게임하고싶다 장애인은 무언가를 하고자 할 때 비장애인보다 몇 곱절 많은 유/무형의 노력을 하고 있다. 시간이 흐르고 이에 따라 사회가 발전하면서 환경도 변해가고 있지만, ... 김민수 2021.05.04 296
46 에이블뉴스 뉴 스 포 토 커뮤니티 최신뉴스   인기뉴스   정보세상   오피니언   정치/정책   인권/사회   노동/경제   통합교육   복지/건강   여성/아동   자립생활   문화... 창영 2021.05.04 183
45 가족 학대는 무죄? 장애인에 절망 안기는 ‘친족상도례’ 개정돼야 가족 학대는 무죄? 장애인에 절망 안기는 ‘친족상도례’ 개정돼야기자명 허현덕 기자   입력 2021.04.15 11:45 지적장애인 금전 피해 2억 원, 가해자 친족이라 처... 즐거운여행자 2021.05.04 369
44 활동지원대폭삭감정보공개불가 전체메뉴 버튼 비마이너 후원 로그인 메뉴닫기검색검색전체기사   탈시설·자립생활   빈곤   장애여성   장애일반   기획연재   오피니언   사회   미디어   인... 이서영 2021.05.04 163
43 나가고싶다 “나, 나가고 싶다. 나를 데리고 나가라”던 한 거주장애인의 외침으로 시작된 장애인 탈시설 운동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장애인거주시설(아래 거주시설) 향유의집... 지영 2021.05.04 180
42 131주년 노동절, 장애계 자본이 만든 생산섬기준 바꿔나가자 131주년 노동절, 장애계 “자본이 만든 생산성 기준 바꿔나가자”기자명 강혜민 기자     입력 2021.05.01 19:32    수정 2021.05.01 19:33 열악한 장애인 노동현실... 백호 2021.05.04 167
41 장애인활동가 도로점거 4개 정부부처 장관 면담 촉구하며 왕복 6차선 도로 점거 경찰, 과잉진압하며 폭력행사 장관 면담 약속은 못 받아냈지만 “끝까지 투쟁할 것” 결의세종시 B3 버스 ... 이지한 2021.05.04 187
40 김상진임니다 안녕하세요김상진입니다이쁘계봐주세요.   DS1CIT 2021.05.04 179
39 이음식구들 함께 걸어가자 ~ 즐거운여행자 2021.05.04 173
38 공공일자리화이팅 나도 일한다 이지한 2021.05.04 149
37 나도일하고싶다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공공일자리화이팅 중증장애인최저임금적용제외조항페지하라 빈찬 2021.05.04 121
36 할수있다 장애도 일을 하고 싶으다 1 창영 2021.05.04 146
35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공공일자리 선생님이 되고싶습니다 1 김민수 2021.05.04 143
» 2021년4월30일 향유의집 폐쇄되다.!!! 2021년 4월 30일, ‘향유의집’ 폐쇄되던 날기자명 강혜민 기자   입력 2021.05.01 10:35  수정 2021.05.01 10: ‘마로니에 8인’과의 동행 “한없이 커 보였던 시설이... 백호 2021.05.04 200
33 2021년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관련 공지알림  저는 이번해 2021년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복지형노동일자리에 출근하게 된 진승우(JIN SEUNG-WOO)라고 합니다>♡<!!!!!!!!! 아무쪼록 ... JEWELPETCODE2NKRIS 2021.05.04 166
32 장애인과 비장애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동등하고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받을  권리가 있다 1 베르테르 2021.05.04 157
31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ㆍ노동하고 싶다 jinjin 2021.05.04 138
30 노동자일하고싶다 file 지영 2021.05.04 124
29 자유롭게 살고싶다 곧 자유로운 하늘이 보인다 멋쟁이 2021.05.04 132
28 저는 공공일자리 근로자 이음센터에 다닙니다 file 슈퍼우먼 2021.05.04 1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